• 제목/요약/키워드: distress

검색결과 1,635건 처리시간 0.029초

남성 규범 순응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남성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Mediating Effect of Male Gender Role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to Masculine Norm and Psychological Distress)

  • 백주희;양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53-466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성인 남성의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있어서 성역할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차원적인 남성 규범에 대한 순응이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예측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39세의 남성 참여자 358명을 대상으로 남성 규범 척도, 남성 성역할 갈등척도 그리고 일반정신건강 척도를 사용하여 본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 결과, 남성 규범의 하위 요인에 따라 남성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남성 규범의 하위 요인인 '힘과 통제'와 '직업과 자립', '정서 억제'는 각각 성역할 갈등의 하위요인인 '여성성에 대한 공포'를 매개로 하여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남성 규범 중 '남성 리더십'과 '가족 부양자'는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부적인 직접 효과를 가졌으며, 성역할 갈등을 매개로 한 간접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남성 규범의 하위 요인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해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지며, 특히 성역할 갈등 중 여성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야기함으로써 남성 규범의 역기능적 역할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미주한인 노인이민자와 한국노인의 동거형태와 심리적 고통에 관한 연구 (Living Arrangement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Older Korean Immigrants and older Koreans)

  • 장미야
    • 한국노년학
    • /
    • 제39권3호
    • /
    • pp.635-65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주 한인노인(older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과 한국에 거주하는 노인(older Koreans in South Korea)을 대상으로 동거형태(living arrangements)와 심리적 고통(psychological distress)과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이 두 나라의 노인 인구 설문조사는 60세에서 79세 사이에 해당하는 참여자(480명)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거형태와 심리적 고통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미주에 거주하는 '독거(living alone)' 노인의 26.4%와 '배우자와 살고 있는 노인(living with a spouse)'의 7.3%가 '심한' 심리적 고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한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의 20.0%와 '배우자와 살고 있는' 노인의 20.6%가 '심한' 심리적 고통을 겪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계층적 다변량 분석은 미주 한인 독거노인과 한국거주 독거노인 모두 심리적 고통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배우자와 살고 있는 노인과 다른 사람(living with others)과 살고 있는 미주 한인노인의 심리적 고통에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나 한국에 거주하는 노인은 유의미한 변수가 아니었다. 이 연구는 또한 미주 한인 독거노인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한국거주의 '부부와 살고 있는 노인'과 사회적지지(social support)와 네트워크(social networks)에 대한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과 한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상황들을 탐색함으로써 기존의 문헌에 기여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미주 한인노인과 한국 노인의 심리적 고통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갑상샘암 환자에서 수술 및 치료과정에서 유도된 갑상샘 호르몬 결핍이 정서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rgical Operation and Induced Thyroid Hormone Deficiency During Cancer Treatment on Emotional Distress in Thyroid Cancer Patients)

  • 김종선;최원정;장항석;이용상;오영자;석정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20권2호
    • /
    • pp.75-81
    • /
    • 2012
  • 연구목적 : 갑상샘암 환자는 수술 및 방사성 요오드치료를 포함한 치료과정 동안 우울, 불안을 포함한 정서적 디스트레스(distress)를 경험할 수 있다. 이번 전향적 연구는 분화갑상샘암 환자의 치료과정 중 수술 전, 수술 후, 일시적 갑상샘 기능저하 상태의 세 시점에서 우울과 불안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 병원우울불안척도와 디스트레스온도계를 사용하여 41명의 분화갑상샘암 환자의 수술 전, 수술 후, 일시적 갑상샘 기능저하 상태의 우울, 불안 정도를 순차적으로 측정하였다. 전체 환자군을 대상으로 치료과정에 따른 디스트레스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디스트레스온도계로 측정한 스트레스 점수 4점을 기준으로 스트레스가 높은 군과 낮은 군으로 나누어 디스트레스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Window용 IBM SPSS (PASW) 18.0을 이용하였으며 디스트레스의 변화는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병원불안우울척도의 불안점수는 수술 전($6.93{\pm}3.97$)이 수술 후($4.22{\pm}2.92$) 및 일시적 갑상샘 기능저하상태($4.93{\pm}3.64$)에서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스트레스가 높은 군과 낮은 군에서 병원우울불안척도의 불안점수는 측정시기별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두 집단 사이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병원우울불안척도의 측정시기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두 집단간의 차이만 유의하였다. 결 론 : 분화갑상샘암 환자의 치료과정에서 유도되는 갑상샘 호르몬 결핍은 분화갑상샘암 환자의 정서적 디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분화갑상샘암 환자들에서의 정서적 디스트레스는 수술 전에 경험하는 불안감 및 염려와의 연관성이 높아보이며, 수술 전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평가와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 PDF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비외감기업의 부실화 유형 분석 (The Pattern Analysis of Financial Distress for Non-audited Firms using Data Mining)

  • 이수현;박정민;이형용
    • 지능정보연구
    • /
    • 제21권4호
    • /
    • pp.111-13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일종인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 SOM)를 이용하여 비외감기업의 부실화 유형을 구분하고자 한다. 자기조직화지도는 인공 신경망을 기초로 자율학습을 통해 입력된 값을 유사한 군집끼리 묶어내는 방법으로, 기존의 통계적 군집 분류 방법보다 성능이 뛰어나고, 고차원의 입력데이터를 저차원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주요 분석대상이었던 외감기업에 비해 부실화 빈도는 높지만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으로 인해 분석대상에서 다소 제외되었던 비외감기업의 부실화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유형별 구체적인 사례도 소개하고자 한다. 재무자료수집이 가능한 100개의 비외감 부실기업에 대해 분석한 결과, 비외감기업의 부실화 유형은 다섯 가지로 구분되었다. 유형 1은 전체 집단의 약 12%를 차지하며, 수익성, 성장성 등 재무지표가 다른 유형에 비해 열등하였다. 유형 2는 전체 집단의 약 14%로, 유형 1보다는 덜 심각하지만 재무지표가 대체로 열등하였다. 유형 3은 성장성 지표가 열등한 그룹으로 기업간 경쟁이 극심한 가운데 지속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부실화된 경우로 약 30%의 기업이 포함되었다. 유형 4는 성장성은 탁월하나 부채경영 등 과감한 경영으로 인해 유동성 부족이나 현금부족 등의 이유로 부실화된 그룹으로 약 25%의 기업이 포함되었다. 유형 5는 거의 모든 재무지표가 우수한 건전기업으로, 단기적인 경영전략의 실수 또는 중소기업의 특성상 경영자의 개인적 사정으로 부실화 되었을 가능성이 큰 그룹으로 약 18%의 기업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부실화 유형을 구분하는데 기존의 통계적 방법이 아닌 자기조직화지도를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고, 비외감기업의 재무지표만으로도 1차적인 부실화 징후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미숙아에서의 선천성 대엽성 폐기종 수술치험 1례 (Congenital Lobar Emphysema in Premature Infant)

  • 최비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2호
    • /
    • pp.193-195
    • /
    • 1995
  • Congenital lobar emphysema is an uncommon disease affecting newborns and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This report describes a 1.9kg premature baby of 31weeks gestation who developed respiratory distress symptoms of congenital lobar emphysema involved left upper lobe.Left upper lobe lobectomy was carried out and good result was obtained. So, we present one case report with literature review.

  • PDF

리더와의 접촉빈도와 심리적 거리가 직무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구성원이 인지하는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Contact Frequency and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Leaders: Job Distress and Mediation through Employees' Perceived Self-Leadership)

  • 양회창;전준호;박종록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6호
    • /
    • pp.41-48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solution to reduce the negative reactions arising from the performance of duties or the job distress of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because human resource statistics regarding workers in the service sector have been unreported, while concerns regarding exposure to emotional exertion and poor working condition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d on workers in highway service areas. It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because it involves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regards workers' cognition of leaders through the psychological distance toward the leader and the contact frequency between workers and leader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leader-individual fit. Moreover, this study highlights the role of the self-leadership of workers as an important factor that becomes manifested in the individual-level fit to the organization. Henc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positive role of the above factors, in turn, could reduce job distress. Workers from highway service areas in Gyeonggi-do province provided data; 141 valid questionnaires are collected. SPSS 19.0 and AMOS 19.0 were use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nstructs. Simpl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and 3 step mediation tests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after the correlation tests. Results - Results indicated that leader-member contact frequency and psychological distance have negative effects on job distress but positive effects on self-leadership. A mediation test revealed that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tact frequency and job distress and between psychological distance and job distress, resulted in partial mediation and full mediation,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result can be understood through two different possible explanations. First, service area workers generally possess a positive perspective toward their leaders.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increased contact frequency and psychological distance would be considered as supports from the leader, rather than intrusive controls or management schemes. Therefore, the management in highway service areas should invest efforts in increasing contact frequency as well as maximizing psychological similarities by adopting the viewpoints of workers in terms of moral and ethical management, to reduce the workers' job distress. The results relating to self-leadership also indicate that increased contact frequency must be accompanied by intentions for the effective promotion of workers' self-leadership. It also signifies the necessity of a strategic approach by leaders to induce workers to perceive "in-group"ness as suggested both by the similarity-attraction theory and by the social identity theor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mediation test of self-leadership indicate that because workers' self-leadership activates upon increased contact frequency by the leader, it should not be a means of control and should not be utilized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management. It is also suggested that strategies such as transfer of authority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in promoting the expansion of self-influence from workers.

판별분석에 의한 기업부실예측력 평가: 서울지역 특1급 호텔 사례 분석 (Evaluation of Corporate Distress Prediction Power using the Discriminant Analysis: The Case of First-Class Hotels in Seoul)

  • 김시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20-526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지역 특1급 호텔을 대상으로 2015년도 재무비율을 변수로 활용하여 표준재무비율을 산출하며, 다변량 판별분석에 의한 부실예측모형 개발 및 부실예측력 평가에 목적이 있다. 서울소재 19개 특1급 호텔의 14개 재무비율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결과 우수기업과 부실기업을 판별하는 7개 재무비율은 유동비율, 차입금의존도, 영업이익대비 이자보상비율, 매출액영업이익율, 자기자본순이익율, 영업현금흐름비율, 총자산회전율로 나타났다. 둘째, 7개 재무비율을 활용하여 우수기업과 부실기업을 판별하는 판별함수를 다변량판별분석에 의해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판별함수를 실제 소속집단과 예측집단으로 분류가 가능한가의 예측력 검정 결과, 예측 판별력의 정확도는 87.9%로 분석되었다. 셋째, 추정된 판별함수의 예측 판별력의 정확도 검증결과 판별분석에 의한 부실예측모형의 예측력은 78.95%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호텔 경영진은 호텔기업의 부실기업집단을 판별하는 7개 재무비율을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호텔기업이 타 산업과는 뚜렷한 재무구조의 차이와 부실예측 지표가 상이하며, 이에 호텔기업 대상의 신용평가시스템 구축 시 호텔기업의 재무적 특성을 반영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부정적 정서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의 매개효과 연구 (Mediating Effects of the Distress 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Subjective Well-Being)

  • 최순미;정문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45-154
    • /
    • 2019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긍정적인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이와 반대되는 부정적인 심리 정서인 우울, 불안,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기로 전환하는 시기로 생애주기에 있어서 신체적 심리적 변화가 많은 시기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개인적 차원과 사회환경적 차원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정서와 청소년의 내적 감정을 보호할 수 있는 고통 감내력을 동시에 고려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소재의 고등학생 362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22.0과 AMOS 22.0 을 사용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은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해 각 변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관적 안녕감과 높은 부적 상관이 있음을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은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 모두에서 우울보다 불안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우울, 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에 노출된 청소년을 돕고, 주관적 안녕감의 증진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부인암 여성의 성기능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Sexual Functio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 전나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39-648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sexual functio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Methods: The model was constructed and tested under the hypotheses that women's physical changes in sexual function after gynecologic cancer treatment did not automatically lead to sexual dysfunctions. Women's psychosocial factors were considered to be mediating variables. Two hundred twelve women with cervical, ovarian, and endometrial cancer were recruited and asked to complete a survey on their physical factors, psychosocial factors and sexual function.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12.0 and Amos WIN 5.0. Results: Predictors of sexual function in the final model were sexual attitude affected by physical distress and couple's age, sexual information affected by physical distress and couple's age, depression affected by physical distress, and marital intimacy affected by physical distress. Tumor stage and time since last treatment directly affected women's sexual function without any mediating psychosocial variables. However, body image did not affect women's sexual function. Conclusion: Nursing professionals should develop a tailored educational program integrating both physical and psychosocial aspects, and apply it to women and their spouses in order to promote sexual functio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비지지적 반응이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Supportive and Non-supportive Reaction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Young Children's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

  • 윤경미;한세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3-102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mother's reaction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Methods: A total of 346 mothers with toddlers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 mothers' supportive response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s, including expressive encouragement, emotion-focused reactions, and problem-focused reactions, showed negative relations with the children's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Mothers' unsupportive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including distress reactions, minimization reactions, and punitive reactions, showed positive relations with the children's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Second, an interactive effect was observed. For external problem behavior, mothers' lower distress reactions accompanied by higher emotion-focused reactions, lower punitive reactions accompanied by higher emotion-focused reactions, lower distress reactions accompanied by higher problem-focused reactions, and lower punitive reactions accompanied by higher problem-focused reactions all decreased children′s problem behavior. However, for internal problem behavior, only mothers' lower distress reactions accompanied by higher emotion-focused reaction decreased children′s problem behavior. Conclusion/Implication: The main interaction effect on mothers' reaction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shows that preventive intervention is needed to address problem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