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illed liquor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9초

Determination of fusel oil content in various types of liquor distributed in Korea

  • Lee, Soo-Baek;Shin, Jung-Ah;Lee, Ki-Teak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0-516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ontent of 6 different fusel oils in 9 types of liquor distributed in domestic market. GC-FID method was employed for quantifying fusel oil (1-propanol, iso-butanol, 1-butanol, 2-butanol, iso-amyl alcohol, active amyl alcohol) levels in 260 liquor samples of liquor.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 of intra-and interday measurements were under 1.56 and 2.44%, respectively, while recovery rates (%) were 98.22-105.26% and 98.53-107.15%, respectively. Pretreatment method (filtering and centrifugation) of Takju did not affect analytic results. The average of total fusel oil contents in Yakju (39 types) and fruit wines (30 types) were 497.6 and 151.9 mg/L, showing Yakju contains more fusel oils than Takju or fruit wines. In fruit wines, iso-amyl alcohol was the major fusel oil component (at 6.8-249.0 mg/L). The highest content of fusel oil was found in foreign brandy, whereas the diluted Soju did not contain fusel oils. However, the average of total fusel oil contents was high at 764.5 mg/L in the three types of distilled Soju and iso-amyl alcohol content ranged from 114.2 to 421.0 mg/L. Domestic and foreign beers were similar in terms of their fusel oil compositions and contents. In conclusion, excluding the diluted Soju, the contents of total fusel oils ranged from 114.8 to 1447.3 mg/L in the monitored liquors.

비수리(Lespedeza cuneata G.Don) 추출물과 담금주의 이화학적 특성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between Extracts and Soaked Liquor of Lespedeza cuneata G.Don)

  • 정갑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705-711
    • /
    • 2017
  • 전국의 산야에 자생하는 야생 초본의 하나인 비수리(Lespedeza cuneata G.Don)의 천연물 자원으로서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비수리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비수리 담금주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수리 추출물의 유리 아미노산은 phosphoethanolamine을 비롯한 22종이 검출되었으며, 백분율 함량은 phosphoethanolamine 20.36>L-proline 18.02>ammonia 14.48>L-aspartic acid 12.96>${\gamma}$-amino-n-butyric acid(GABA) 10.67 % 등의 순서로 측정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담금주>증류수 추출물>에탄올 추출물의 순서로 비교되었다. 항산화 활성으로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능에 기준한 전자 공여능은 담금주가 ascorbic acid의 81.4%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증류수 추출물의 순서로 측정되었다. 철 환원력(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과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능은 담금주>증류수 추출물>에탄올 추출물의 순서로서 추출물 중의 플라보노이드와 페놀성 화합물 함량에 비례하였다. 그리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전자 공여능의 순서와 같이 담금주>에탄올 추출물>물 추출물의 순서로 비교되었으며, 담금주의 경우 pH 1.2에서 96.6%로서 물 추출물의 2.6배에 해당되는 높은 소거활성으로 측정되었다.

산서 분주그룹 기업문화연구 (A Study on Corporate Culture of Shanxi Fenjiu Group)

  • 許靜怡;최명철;馬曉東;안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259-264
    • /
    • 2022
  • 중국에서 술은 단순한 음료를 넘어서, 일종의 문화를 이루고 있다. 중국의 술문화는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고, 중국에서 주류회사는 엄청난 규모와 이익을 보여주고 있다. 각 지역별로 많은 회사들이 있는데, 분주는 산서성의 장수기업이며, 중국주류시장에서 상당한 영향력과 지명도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분주그룹이 지니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분주그룹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분주그룹 기업의 발전과정과 기업 문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주그룹은 약 100여년의 기업역사를 갖고 있으며,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주류시장에서 상당한 시장점유율을 보여 왔다. 분주그룹의 이러한 발전은 우수한 기업 문화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주그룹은 핵심이념, 품질 및 품격 지향성, 성실과 신용경영을 근본으로 기업 문화를 형성 및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기업문화를 바탕으로 조직구조를 발전시키고, 좋은 제품을 만들어서 높은 지명도와 시장점유율을 자랑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국 유명주류회사 및 전통기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한국 주류회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쌀과 전분을 이용한 증류식 소주의 급수 변화에 따른 수율 및 향미 연구 (Effect of the Amount of Water on the Yield and Flavor of Korean Distilled Liquor Based on Rice and Corn Starch)

  • 배상면;정수연;정익수;고현주;김태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39-446
    • /
    • 2003
  • 단식 증류기를 이용한 증류식 소주는 품격 높은 향미를 지니고 있으나 희석식 소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인 것이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증류식 소주의 경제성 확보 방법의 하나로 담금에 전분액화법을 도입하여 급수 변화에 따른 수율 및 향미 연구를 실시하였다. 액화담금공정에 의한 발효경과는 pH, 알코올, 총산 등의 일반분석 결과 정상적이었다. 수율은 급수율과 정비례관계를 보였으며 급수율 250%가 가장 높았다. one-way ANOVA를 이용한 p<0.05 수준에서의 Duncan's multiple range test 결과에서 급수율 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게다가 profile법에 의한 관능 평가 결과를 heptadiagram으로 나타내었을 때에도 그 면적과 형태의 유사성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급수율 변화에 따른 관능차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수율 250%로 액화 담금한 것이 품질 차이 없이 가장 높은 수율을 보여 경제적으로 우수하였고 발효경과에서도 문제가 없어 최적의 담금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통주에 어울리는 한국음식에 대한 인식 (Consumers Perception of Korean Foods Compatible with Traditional Korean Liquors)

  • 서선희;이지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consumers' perceptions of foods that are most compatible with traditional Korean liquo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402 customers who visited traditional Korean bars. Thirty-eight percent of the participants drank alcohol once or twice a week, and overall, 79% drank with friends or co-workers. Forty-three percent spent 30,000-40,000 won on alcoholic drinks, and half of them frequently drank distilled Soju whereas 27% drank beer. Those who drank traditional Korean liquor chose to do so because they viewed it as good for their health and the beverage was tasty. Participants selected Yakju/Baekseju (47.5%), Bokbunjaju (21.1%), and Takju/Makgeoli (8.2%) as the most compatible Korean traditional liquors with Korean traditional foods. The most compatible foods with Yakju were identified as Haemulpajeon (11.8%), Dubukimchi (9.8%), and Bossam/Suyuk/Pyeonyuk (7.5%). Bokbunjaju was viewed as a good match with Jangeogui (8.1%), Hunjeori (6.5%), and Saengseonhoe (6.4%). The respondents perceived Deodeokgui (6.7%), Saengseonhoe (5.9%), and Dubukimchi (5.6%) as the most compatible foods with Yakju with mushrooms. Chengju was viewed as a good pairing with Eomuktang (9.2%), Altang/Maeuntang (7.2%), and Saengseonhoe (6.8%). The respondents thought Takju went well with Haemulpajeon (17.7%), Dubukimchi (14.2%), and Kimchijeon (11.7%). And finally, Altang/Maeuntang (11.8%), Samgyeopsalgui (8.7%), and Honghaptang/Jogaetang (8.1%) were mentioned as the most compatible foods with distilled Soju.

박신 진주담치 수송 중의 품질변화 (QUALITY ORANGES IN SHUCKED SEA MUSSEL MYTILUS EDULIS)

  • 이병호;이종갑;최호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8-212
    • /
    • 1975
  •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keeping quality of shucked sea mussel, Mytilus edulis, during marketing under commercial handling. As quality factors, water holding capacity, pH, VBN and TMA content were measured. Water holding capacity was obviously affected by salt content of the sea mussel meat. Water was released at the salinity above $2.8\%$ and absorbed below the value. In case of distilled water added instead salt solution, $23.3\%$ weight was gained. Absorbing or releasing water of sea mussel meat was also influenced by temperature showing either water gain or loss was greater at, $3^{\circ}C\;than\;25^{\circ}C$. Osmotic quilibrium by salt between meat and liquor was held within 4 hours. The pH value of fresh sea mussle marked 6.0 which is somewhat lower when compared with that of other shellfishes, and it gradually decreased to 5.0 during storage. VBN contents of fresh muscle and shell liquor were $2.1mg\%$ and $1mg\%$ respectively. The sour odour began to be detectable with $5.0mg\%$ of VBN content. TMA in the sea mussel was not detected.

  • PDF

입국으로 제조한 증류주의 숙성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stilled Liquor Produced Using Ipguk (Koji) During Aging)

  • 이대형;정재운;이용선;서재순;박인태;김태완;김재호;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94-701
    • /
    • 2014
  • 연구에서는 입국 증류주를 항아리와 스테인리스 용기에 숙성시키며 숙성 시간별 증류주의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알코올의 경우 초기 39.8-40.9% 알코올이 숙성 180일에 항아리는 38.0-38.9%를 스테인리스 용기는 39.1-39.7%를 나타내었다. 항아리와 스테인레스 용기 모두 숙성 기간이 증가할수록 TBA값이 감압과 상압 증류주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증류주의 n-propanol, isobutanol, isoamyl alcohol는 항아리와 스테인리스 용기 모두 숙성 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압과 상압 증류주 모두 감소하였으며 A/B의 비율은 감압과 상압 모두 비슷한 1.32-1.35, A/P는 2.17-2.22, B/P는 1.62-1.68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입국을 이용한 증류주의 향기 성분 분석 결과 증류 초기에 감압 증류에서 높은 검출 결과를 나타낸 것은 isoamyl alcohol>isobutyl alcohol>ethyl palmitate>decanoic acid>ethyl octanoate 순서 였으며 상압 증류에서 높은 검출 순서는 isoamyl alcohol>decanoic acid>ethyl palmitate>isobutyl alcohol 순 이었다. 항아리에 숙성을 한 증류주의 경우 숙성 기간이 경과하면서 관능 점수가 감압, 상압 증류주 모두 상승하였으며 가장 높은 관능을 보인 것은 감압 증류 600 mmHg로 종합 기호도에서 $6.98{\pm}0.28$으로 가장 높았다.

강원도 유통 발효주 중 바이오제닉 아민류 함량 조사 및 위해도 평가 (Monitoring of Biogenic Amines Content in Commercial Fermented Alcoholic Beverages in Gangwon-do and Risk Assessment)

  • 배철민;신인철;이완;이혁화;최여은;김영주;이가희;정경진;최승봉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24-334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related health risk by investigating the content of biogenic amines (BAs) in commercial fermented alcoholic beverages. Methods: Ninety-seven samples, including takjus (34), fruit wines (26), distilled liquors (20) and beers (17) were purchased in Gangwon-do (Province) in 2019. The eight BAs (putrescine, cadaverine, spermine, spermidine, tyramine, β-phenylethylamine, histamine, and tryptamine)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HPLC) after extraction (0.4 M HClO4), pigment removal (carbon cartridge) and derivatization (1% dansylchloride). The health risk of exposure to BAs due to ingestion of commercial fermented alcoholic beverages was estimated as the margin of exposure (MOE). Results: Various BAs were detected in takju, fruit wine, distilled liquor and beer. Putrescine (not detected (ND)-12.60 mg/L), cadaverine (ND-5.45 mg/L), tyramine (ND-8.34 mg/L), β-phenylethylamine (ND-13.73 mg/L), histamine (ND-7.96 mg/L), and tryptamine (ND-19.00 mg/L) were found in takju. Putrescine (ND-15.34 mg/L), cadaverine (ND-7.90 mg/L), β-phenylethylamine (ND-3.06 mg/L), histamine (ND-9.68 mg/L), and tryptamine (ND-14.06 mg/L) were identified in fruit wine. Putrescine (less than limit of detection (

분광학(分光學)적 방법(方法)에 의한 중유회(重油灰) 용출액(溶出液) 중(中)의 Ni 정량(定量)에 관(關)한 기초(基礎) 연구(硏究) (Determination of Ni in Fly Ash Leach Liquor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 조정민;한혜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5호
    • /
    • pp.88-92
    • /
    • 2012
  • 중유회로부터 증류수로 용출시킨 중유회 용출액에서 금속 중 $Ni^{2+}$이온의 정량을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또 중유회용출액 중 다량 존재하는 $V^{3+}$이온이 $Ni^{2+}$이온의 분광광도법적 정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Ni^{2+}$이온 ppm 대비 $V^{3+}$이온의 함량을 달리한 시료의 흡광도를 조사한 결과 $V^{3+}$이온의 함량이 $Ni^{2+}$ 함량의 50% 이하인 조건에서는 시료 중 $Ni^{2+}$이온의 정량이 분광광도법으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국내 유통 주류 중 중금속 실태조사 (Monitoring of Heavy Metal Content in Alcoholic Beverages)

  • 노기미;강경모;백승림;최훈;박성국;김동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4-29
    • /
    • 2010
  • 한국인의 주류 섭취로 인한 중금속 위해 영향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산 및 수입산 주류를 대상으로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을 분석하고, 일일식품섭취량을 고려하여 이 들 식품 섭취에 대한 위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 분석결과로 발효주류 중 납 함량은(${\mu}g/kg$) 11.1(N.D~66.5), 카드뮴 7.6(N.D~47.1), 비소 24.6(1~140.0), 수은 $0.7\;{\pm}\;1.2$(N.D~10.6), 증류주류 중 납 함량은(${\mu}g/kg$) 9.1(N.D~33.4), 카드뮴 1.8(N.D~19.6), 비소 14.9(N.D~209.7), 수은 0.3(N.D~2.3)이었으며 기타주류 중 납 함량은(${\mu}g/kg$) 14.0(N.D~37.8), 카드뮴 10.3(0.6~17.4), 비소 33.6(0.5~103.3), 수은 0.3(0.1~0.5)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탁주, 약주, 청주, 맥주, 과실주, 소주, 위스키, 브랜디, 일반증류주, 리큐르, 기타주류 중 중금속 함량은 국내 외 문헌들과 유사하거나 낮게 확인 되었으며, 식품별 1일섭취량을 고려한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의 주간섭취량은 FAO/WHO의 PTWI와 비교할 때 각각 0.03%, 0.06%, 0.01%, 0.01%이하로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