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1초

Mortality and Morbidity and Disease Free Survival after D1 and D2 Gastrectomy for Stomach Adenocarcinomas

  • Talaiezadeh, AH;Asgari, M;Zargar, M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253-5256
    • /
    • 2015
  • Background: A number of randomized trials addressing alternative operative and multimodality approaches to gastric cancer have characterized early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ortality and morbidity and disease free survival after D1 and D2 gastrectomy for adenocarcinomas of the stomach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06 to January 2012, patie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information of the cancer administrator center of Ahvaz Jundishapur Medical University.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ge between 20-85 years and histologically proven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without evidence of distant metastasis. Patients were excluded if they had previous or coexisting cancer or disability disease. In this research, D1 was compared to D2 gastrectomy. Results: 131 patients were randomised, 49 allocated to D1 and 82 to D2 gastrectomy. The two groups were comparable for age, sex, site of tumors, and type of resection performed. The overall post-operative morbidity rate was 17.5%. Complications developed in 14.2% of patients after D1 and in 19.5% of patients after D2 gastrectomy (p=0.07).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was 0.8% (one death); it was 2% after D1 and 0% after D2 gastrectomy. In this research disease free-survival after 3 years was 71.2 % with 63.2% after D1 and 76.8% after D2 gasterctomy.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D2 gastrectomy with pancreas preservation is not followed by significantly higher morbidity and mortality than D1 rese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D2 resection should be recommended as the standard surgical approach for resectable gastric cancer.

국소적으로 진행된 직장암에 대한 근치적 수술 단독 치료군과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 및 항암화학요법 병행군의 치료결과 분석 (Locally Advanced Rectal Carcinoma : Curative Surgery Alone vs.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 안승도;최은경;김진천;김상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53-258
    • /
    • 1995
  •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on the pattern of failure and survival for locally advanced rectal carcinoma, we analyzed the two groups of patients who received curative resection only and who received postoperative radiochemotherapy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une 1989 to December 1992, ninety nine patients with rectal cancer were treated by curative resection and staged as B2-3 or C. Group I(25) patients received curative resection only and group II(74) patients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Postoperative adiuvant group received radiation therapy (4500cGy/25fx to whole pelvis) with 5-FU (500mg/$m^2$, day 1-3 IV infusion) as radiosensitizer and maintenance chemotherapy with 5-FU(400mg/$m^2$ for 5 days) and leucovorin (20mg/m^2$ for 5 days) for 6 cycles. Results : The patients in group I and group II were comparable in terms of age sex, performance status, but in group II $74{\%}$ of patients showed stage C compared with $56{\%}$ of group I. All patients were followed from 6 to 60 months with a median follow up of 29 months. Three year overall survival rates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68\%,\;64\%$ respectively in group I and $64\%,\;61\%$, respectively in group II.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in overall survival rate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 Local recurrences occurred in $28{\%}$ of group I, $21{\%}$ of group II (p>.05) and distant metastases occurred in $20{\%}$ of group I, $27{\%}$ of group II(p>.05). The prognostic value of several variables other than treatment modality was assessed. In multivariate analysis for prognostic factors stage and histologic grad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ocal recurrences and lymphatic or vessel invasion on distant metastasis. Conclusion : This retrospective study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n the pattern of failure and survival. But considering that group II had more advanced stage and poor prognostic factors than group I, postoperative adjuvant radiochemotherapy improves the results for locally advanced rectal carcinoma as compared with curative surgery alone.

  • PDF

Long-Term Outcomes in Stage I Lung Cancer After Segmentectomy with a Close Resection Margin

  • Kim, Dae Hyeon;Na, Kwon Joong;Park, In Kyu;Kang, Chang Hyun;Kim, Young Tae;Park, Samina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5호
    • /
    • pp.361-368
    • /
    • 2021
  • Background: In general, a 2-cm surgical margin is recommended for limited resection to obtain equivalent oncologic outcomes to lobectomy for lung canc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terns of recurrence and prognostic factors for recurrence in patients with a close parenchymal resection margin. Methods: From January 2009 to April 2017, 156 patients with stage I lung cancer who underwent segmentectomy with a close resection margin (<2 cm) were enrolled. Recurrenc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were assessed. In addition, predisposing factors for recurrence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tumor size was 1.7±0.8 cm and the parenchymal resection margin was 1.1±0.6 cm. Recurrence developed in 17 (10.7%) of the 156 patients, and the 5-year recurrence-free survival rate was 88.9%. Distant metastasis (7.7%) was the predominant recurrence pattern. The isolated local recurrence rate was 1.9%.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ge, tumor size, mediastinal lymph node dissecti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histologic type were significant predisposing factors for recurrence. However, parenchymal margin dista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ong-term prognosis. Conclusion: Segmentectomy with a close resection margin for early-stage lung cancer in selected patients resulted in acceptable recurrence and survival. However, patients with tumors larger than 2 cm, squamous cell carcinoma histology, and insufficient mediastinal evaluation should be carefully followed up for recurrence.

비인강암 환자의 고선량 강내 방사선 치료의 효과 (The Role of High Dose Rate (HDR) 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Nasopharyngeal Carcinoma)

  • 조정길;장혜숙;최은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91-96
    • /
    • 1993
  • From September 1989 to June 1992,22 patients with nasopharyngeal carcinoma were treated in Asan Medical Center with an external beam of 60 Gy followed by a boost dose of 15 Gy HDR brachytherapy. There were 5 females and 17 males with median age of 44 years (range: 20-69 years). All patients were histologically confirmed and staged by physical examination, CT scan and/or MRI. By the AJCC TNM staging system, there were 2 patients with stge II (T2NO), 4 with stage III (T3NO, T1-3N1), and 16 with stage IV (T4 or N2-3). Four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with 5-FU and cisplatin prior to radiotherapy.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periodically by a telescopic examination and radiologic imaging study of CT scan or MRI with a median follow-up time of 13 months (range: 3-34 months). Twenty one patients showed a complete response ore month after completing therapy and one patient showed a complete response after three months. At the time of this analysis, seventeen patients remain alive without evidence of disease, but four patients developed distant metastasis and one patient died a month after treatment. The local control rate was $100{\%}$ in a median follow-up time of 13 months. The two year overal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s by the Kaplan-Meier method were $94{\%}$ and $67{\%}$, respectively. Serious radiation sequelae have not been observed yet. Although longer follow-up is needed, this retrospective analysis suggests that HDR brachytherap. given as a boost therapy for nasoharyngeal carcinoma may improve the local control. To reduce the incidence of distant metastasis, we need to develop a more effective systemic chemotherapy.

  • PDF

악성흑색종 환자군에서 수술적 치료 후 시행한 고용량 인터페론-${\alpha}2b$ 면역요법에 의한 보조적 치료 결과 분석: 예비보고 (The Analysis of Post Operative Treatment of Malignant Melanoma Using High Dose Interferon-${\alpha}2b$ Immunotherapy: Preliminary Report)

  • 정소학;조현익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8-82
    • /
    • 2012
  • 목적: 고용량 인터페론-${\alpha}2b$를 이용한 악성흑색종의 면역요법은 외과적 절제술 후 현미경적 적이나 남아있는 종양의 재발을 막고 무병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악성 흑색종 환자군에서 외과적 절제술 후 고용량 인터페론-${\alpha}$ 면역요법을 시행한 그룹의 무병생존기간 및 전체 생존율 등을 비교 분석하여 면역요법의 치료결과를 예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2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본원에서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받고 외과적 수술 후 면역치료를 시행한 5명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병기는 AJCC 병기를 이용하여 판정하였으며 IIA 3예, IIB 1예, IV 1예로 나타났다. 추시기간은 최소 7개월에서 최대 32개월이었다. 면역 요법을 시행한 군에서는 먼저 유도요법으로 ${\alpha}2b$를 체표면적 당 20만 IU를 총 4주간 1주일에 5회 정주하였으며 이후 유지요법으로 체표면적당 10만 IU를 총 48주간 1주일에 3회 피하주사하였다. 이들 환자들에 대해 국소재발과 국소전이, 그리고 원격전이여부를 조사하였고 무병생존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인터페론-${\alpha}2b$ 면역요법을 시행한 환자군에서 추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양전자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평가 결과 현재까지 모두 국소 재발 및 국소전이 원격전이의 증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용량 인터페론-${\alpha}$ 면역요법 시행군에서 현재까지 종양의 국소 재발 및 전이를 막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궁극적인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 향상이 달성되는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대상과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

초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 : 중간분석 (Breast Conserving Operation and Radiation Therapy in Early Breast Cancer : Interim Analysis)

  • 김진희;김옥배;김유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27-33
    • /
    • 2001
  • 목적 : 초기 유방암 (병기 I, II)에서는 유방 보존 수술과 방사선치료가 선호 받고 있는 치료법이다. 본원에서는 1992년부터 이러한 방법을 시행 중이며 실패양상과 미용효과 및 생존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유방 보존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초기 유방암환자 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25\~77$세(중앙값 43세)이었고 TNM 병기는 0기 5명, I기 33명, IIa기 25명, IIb기 9명이었다. 모든 환자는 유방의 부분절제술과 동측 액와림프절 곽청술을 시행하고 방사선치료를 하였다. 유방의 방사선치료는 동측 전체 유방에 6 MV 광자선으로 $50\~54\;Gy$를 5주에서 6주간에 조사하였고 원발병소에 추가 방사선은 전자선으로 $10\~16\;Gy$를 1주에서 2주간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41명에서 방사선치료 전후에 시행하였다. 미용효과는 환자의 만족도를 매우좋음, 좋음, 만족할만함, 불만족의 4단계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22개월에서 91개월로 중앙값이 40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5년 무병생존률은 $95.8\%$ 이었다. 병기별로는 0기에는 $100\%$, I기에는 $96.9\%$, IIa기에는 $96\%$, IIb기에는 $88.9\%$이었다. 2명에서 원격전이가 있었으며 1명에서 동시재발이 있었다. 원격전이 환자 중 1명에서는 방사선 치료 후 14개월에 골, 간에 있었고 1명에서는 21개월에 폐와 양측 쇄골상 림프절에 전이되었다. 동시재발환자는 14개월에 동측 유방의 다른 사분역에 재발하여 유방전절제술과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고 44개월에 뇌전이로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나 55개월 째 사망하였다. 부작용으로는 4명에서 무증상의 폐렴양 음영이 흉부 X선 촬영에서 보였고 1명에서 증상을 동반한 방사선폐렴이 있었고 4명$(5\%)$에서 경미한 정도의 손부종이나 팔 부종이 있었다. 미용결과는 설문에 응답한 59명중 51명$(86\%)$에서 좋음에서 매우 좋음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초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수술과 방사선치료는 안전한 치료방법이며 우수한 생존률과 미용 결과를 보인다고 생각되며 향후 장기추적관찰을 통해 예후 인자의 분석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폐, 심장, 뇌에 전이되어 재발된 간모세포종 1례 (A case of recurrent hepatoblastoma : lung, heart and brain metastasis)

  • 박선미;최병규;김여향;김흥식;권태찬;이희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6호
    • /
    • pp.691-695
    • /
    • 2006
  • 간모세포종은 15세 이하 연령에서 발생하는 간암 중 가장 흔하며 대부분 5세 미만에 발병된다. 진단시 폐전이가 동반되는 경우가 약 10%가 되나 심장이나 중추신경계에 전이된 보고는 상당히 드물며 예후도 좋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약 4년 반 전 간모세포종으로 진단 받고 항암화학요법과 수술적 절제 후 추가 항암치료를 마치지 않고 추적관찰이 소실되었으나 그동안 무병 상태로 지내오다 폐와 좌측 심장, 중추신경계에 다발적으로 재발되어 다시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를 시작한 후 호전을 보였으나 사정상 치료가 중단되어 있는 6세 여아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2기(T3 또는 N1) 췌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및 고찰 (The Outcom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Stage II Pancreatic Cancer (T3 or N1 Disease))

  • 김상원;김명욱;김욱환;강석윤;강승희;오영택;이선영;양주노;전미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213-218
    • /
    • 2007
  • 목적: 근치적 절제술을 받고 AJCC 병기 2기(T3또는 N1)로 진단된 췌장암 환자들 중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이들을 대상으로 국소 제어율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수술 후 보조적 요법으로 방사선치료 단독 내지는 동시 항암화학 방사선치료를 받은 28명의 환자들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병리 소견상 췌장 주변 조직으로의 침윤이 있거나 체장 주변 또는 후복강 내 대동맥 주변 임파절 전이가 확인되었다. 방사선치료는 수술 전 영상학적인 자료에서 침범된 종양의 위치 및 수술 변연 부위를 중심으로 $40{\sim}57.6$ Gy (중앙값 50 Gy)를 조사하였으며 병리 소견상 주변 임파절 전이가 확인된 경우엔 제 3 요추부위까지의 대동맥 주변 임파절 부위도 조사야에 포함시켰다. 동시 항암화학요법은 10명의 환자들에게서 병용되었다. 결 과: 최초의 실패 양상이 국소 재발이었던 환자는 13명(46%)였으며 이들 중에서 원격 전이가 같이 동반된 환자는 5명이었다. 호발 부위는 복강축(4명)과 대동맥 주변 임파절 부위였다. 또한 원격 전이가 최초의 실패 양상으로 나타난 환자는 국소재발이 동반된 환자들을 포함하여 72명이었다. 원격전이가 가장 흔히 나타난 곳은 간(10명)이었으며 복강전이, 폐전이 순이었다 임파절 전이가 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에 비해 원격 전이의 가능성이 높았다. (57.1%). 수술 변연 부위에 종양이 남아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들보다 국소 재발의 가능성이 높았다(57.1%). 전체 환자들의 무병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6개월이었으며 1년 및 2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27.4%와8.2%였다. 전체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11개월이었고 2년, 3년 생존율은 31.5%, 15.8%였다. 결 론: 2기 췌장암 환자들은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의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으로 국소 제어율 및 전체 생존율의 향상을 위해서 수술 후 효과적인 방사선치료의 적극적인 시행 및 이후의 보조적인 전신 항암화학요법을 권고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dverse effect of excess body weight on survival in cervical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and radiotherapy

  • Choi, Yunseon;Ahn, Ki Jung;Park, Sung Kwang;Cho, Heunglae;Lee, Ji Young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5권1호
    • /
    • pp.48-5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s of body mass index (BMI) on survival in cervical cancer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y and radiotherapy (R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70 cervical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and RT from 2007 to 2012. Among them, 40 patients (57.1%) had pelvic lymph node metastases at the time of diagnosis. Sixty-seven patients (95.7%) had received chemotherapy. All patients had undergone surgery and postoperative RT. Median BMI of patients was $22.8kg/m^2$ (range, 17.7 to $35.9kg/m^2$). Results: The median duration of follow-up was 52.3 months (range, 16 to 107 months). Twenty-four patients (34.3%) showed recurrence. Local failure, regional lymph nodal failure, and distant failure occurred in 4 (5.7%), 6 (8.6%), and 17 (24.3%) patients, respectively. The 5-year actuarial pelvic control rate was 83.4%. The 5-year cancer-specific survival (CSS) and disease-free survival (DFS) rates were 85.1% and 65.0%, respectively. The presence of pelvic lymph node metastases (n = 30) and being overweight or obese (n = 34, $BMI{\geq}23kg/m^2$) were poor prognostic factors for CSS (p = 0.003 and p = 0.045, respectively). Of these, pelvic lymph node metastasis w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p = 0.030) for CSS. Conclusion: Overweight or obese cervical cancer patients showed poorer survival outcomes than normal weight or underweight patients. Weight control seems to be important in cervical cancer patients to improve clinical outcomes.

초기 유방암의 유방 보존수술 후 방사선 치료 결과 (Clinical Outcome after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for Early Breast Cancer)

  • 조흥래;김철진;박성광;오민경;이진용;안기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04-212
    • /
    • 2008
  • 목 적: 유방 보존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치료의 성적과 무병 생존율 및 재발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3년 12월 까지 유방 보존수술 시행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7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추적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58.4개월($43.8{\sim}129.4$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의 평균 연령은 41세, 중앙 연령은 40세이었다. 수술 후 조직학적 T 병기는 Tis가 7명, T1 38명(49.3%), T2 28명(36.3%), T3 3명, 미확인이 1명이었다. 액와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가 52명(67.5%), $1{\sim}3$개 전이가 14명(18.1%), 4개 이상이 3명(0.03%)이었다. 절제연이 음성인 환자는 59명이었고, 2 mm 이내로 근접한 경우는 15명, 양성인 경우는 2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전체 유방에 접사면으로 조사한 후 원발 병소 부위에 전자선으로 추가조사 하여 총 59.4 Gy에서 66.4 Gy를 시행하였다. 액와 림프절의 개수가 4개 이상인 경우에는 액와 림프절과 쇄골 상 림프절을 포함하여 $41.4{\sim}60.4$ Gy를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59명에서 시행되었고, 호르몬 치료로는 tamoxifen 또는 fareston을 사용하였으며 29명에서 시행하였다. 결 과: 5년 생존율은 98.1%이었으며, 5년 무병 생존율은 93.5%이었다. 총 77명의 환자 중 4명(5.2%)의 환자가 재발을 하였다. 1명은 쇄골 상 림프절 재발, 1명은 쇄골 상 림프절과 동시에 다발성 원격전이, 다른 2명은 원격전이가 발견되었다. 원발 병소 주위의 국소 재발은 추적 관찰 기간 중 발견되지 않았다. 림프절 전이 유무나 숫자는 재발이나(p=0.195)무병 생존율(p=0.30)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절제연이 양성인 2명 중 1명이 7개월 만에 재발을 하였고, 재발 기간까지 걸린 기간인 무병 생존기간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01), 재발 빈도도 절제연이 음성이거나 가까운 경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07). 그러나 절제연이 근접한 경우에는 절제연 음성인 경우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재발 빈도에 차이가 없었다(p=1.000). 재발된 4명은 모두 40세 이하로 9.2%의 재발률을 보인 반면, 40세 이상에서는 재발이 없었으나 두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255). 수술 후 조직학적 T 병기는 T2의 경우 4명(14%)이 재발한 반면, T1에서는 재발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84). 무병 생존율도 T2 환자의 경우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379).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단변량 분석에서 수술 후 조직학적 T 병기, 절제연의 상태, p53 수용체 변이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왔다. 결 론: 초기 유방암에서 유방 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높은 국소제어율과 무병 생존율을 보이는 안전한 치료이다. 절제연 양성, 수술 후 조직학적 T병기, p53 수용체 변이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재발 위험이 높은 군에 속하였으며,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