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ant metastases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2초

식도암의 방사선치료 결과 고찰 (Results of Radiotherapy With and Without Chemotherapy for Esophageal Cancers)

  • 김상보;윤상모;류삼열;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33-239
    • /
    • 1991
  • 방사선치료 단독(25명) 또는 화학요법과 방사선 병용치료(37명)를 받은 62명의 식도암환자에 대한 후향성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환자중 14명이, 병용치료를 받은환자 중 25명이 계획된 치료를 끝내었다. 추적기간은 6일에서 50개월 이었다. 39명중 완전관해는 3명($8\%$)에서, 부분관해는 28명($72\%$)에서 보였다.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고, 1년 및 2년 생존율은 각각 $48.6\%,\;13\%$이었다. 나이와 병기가 예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병기에 따른 1년 생존율은 1기에서 $70.1\%$, 2에서 $47.6\%$, 3기에서 $28.4\%$이었고, 중앙생존기간은 1기에서 19개월, 2기에서 11개월, 3기에서 6개월 원격전이가 있는 3기에서는 5.5개월 이었다. 나이에 따른 1년 생존률은 55세 이상에서 $69.6\%$, 54세 이하에서 $0\%$이었다. 치료방법, 종양의 위치, 원발병소의 반응에 따른 생존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미세 유두 갑상선암의 크기에 따른 임상상 및 단기간 치료 결과 (Clinical Behaviors and Treatment Outcome of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s:Tumor Size-Based Therapeutic Concept)

  • 이잔디;오동규;임승수;남기현;정웅윤;소의영;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7-52
    • /
    • 2008
  • Purpose:The incidence of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PTMC) has increased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high resolution ultrasonography and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However, the clinical and biologic behaviors of PTMC is debatab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PTMC and to suggest whether tumor size(5mm) might prove the useful parameter for determining the surgical strategy in PTMC. Material and Methods:From Jan. 2000 to Dec. 2005, 1355 of 2678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ere identified as having PTMC, based on tumor size${\leq}$10mm(50.6%). Among patients with PTMC, we further separated tumors<5mm(minute group:group M) from those 5 to 10mm(tiny group:group T). We compared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NM stagings between two groups. Results:There were 114(8.4%) men and 1241(91.6%) women with a median age of 47 years(range;13-79). During a mean follow-up of 47.3(range;22-93), 13 patients(1.0%) developed locoregional recurrences and 3 patients(0.2%) showed distant metastases at initial presentation.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esence of extracapsular invasion(p<0.0001), invasion to adjacent structure(p<0.0001), multifocality(p<0.0001), central lymph node metastasis(p<0.0001), and lateral lymph node metastasis(p<0.0001)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in tiny group(tumor${\geq}$5mm). Furthermore, minute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lower tumor stage(AJCC TNM classification) compared with tiny group(p<0.0001). Conclusion:Patients with PTMC have a favorable treatment outcomes, although the distinction needs to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clinicopathologic behaviors. It would be reasonable to consider that tumor size(5mm) would be useful parameter for the treatment strategy of PTMC.

수막 혈관주위세포종의 임상상, 치료 및 장기 추적 결과 (Meningeal Hemangiopericytomas : Clinical Features, Treatment and Long-term Outcome)

  • 이준호;황승균;곽호신;백선하;김동규;김현집;정희원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7호
    • /
    • pp.876-882
    • /
    • 2001
  • Objectives : Meningeal hemangiopericytoma is a rare tumor.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are similar to those of an ordinary meningioma. But its biological behavior is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a meningioma as it brings profuse bleeding in the operation field, frequent recurrence and metastasis to other systemic organs even in the case of gross total resec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prognostic factors and to compare longterm outcome after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the authors reviewed consecutive 20 operated cases of meningeal hemangiopericytoma to characterize their clinical features, surgical outcomes and effectiveness of the radiation therapy. Methods : Twenty patients with a hemangiopericytoma were treated between 1982 and 1999 in our department. They are composed of 13 patients of hemangiopericytoma and 7 patients who were initially diagnosed as angioblastic type meningioma and then confirmed as a hemangiopericytoma after review of their previous histopathology slide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99 months(1-256 months). The long-term outcomes after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recurrence-free survival and image follow-up. Recurrence-free survival curves are compared between the patient groups according to the extent of removal and radiation therapy. Results : There were 10 cases of recurrence and 4 cases of distant metastases ; lung, liver and femur(2 cases) respectively. The 5-year recurrence rate was 37%, while the 10-year recurrence rose to 77%.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median recurrence-free survival between the completely-resected group(Simpson grade 1 or 2) and partially-resected group(Simpson grade 3 or 4 or 5) ; 137 months compared to 47 months, respectively(p=0.009). The median recurrence-free period after subtotal resection of tumor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47 months compared to 117 month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gross total resection of tumor and did not receive radiotherapy. But radiation therapy alon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urrence-free survival. Marked tumor volume reduction and easy removal of tumors without bleeding were found in 2 recurred cases. Conclusion : The extent of tumor resection and presence of metastasi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long-term outcome of the patients with hemangiopericytoma. Radiation therapy after the first operation did not have a role in extending the recurrence-free survival, but it affected favorably to decrease the size of residual mass and intraoperative bleeding during the second operation.

  • PDF

Predicting Successful Conservative Surgery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in Hormone Receptor-Positive, HER2-Negative Breast Cancer

  • Ko, Chang Seok;Kim, Kyu Min;Lee, Jong Won;Lee, Han Shin;Lee, Sae Byul;Sohn, Guiyun;Kim, Jisun;Kim, Hee Jeong;Chung, Il Yong;Ko, Beom Seok;Son, Byung Ho;Ahn, Seung Do;Kim, Sung-Bae;Kim, Hak Hee;Ahn, Sei Hyun
    • Journal of Breast Disease
    • /
    • 제6권2호
    • /
    • pp.52-5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clinicopathological factors are potential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breast-conserving surgery (BCS)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NAC) and develop a nomogram for predicting successful BCS candidates, focusing on those who are diagnosed with hormone receptor (HR)-positive,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HER2)-negative tumors during the pre-NAC period. Methods: The training cohort included 239 patients with an HR-positive, HER2-negative tumor (${\geq}3cm$), and all of these patients had received NAC. Patients were excluded if they met any of the following criteria: diffuse, suspicious, malignant microcalcification (extent >4 cm); multicentric or multifocal breast cancer; inflammatory breast cancer; distant metastases at the time of diagnosis; excisional biopsy prior to NAC; and bilateral breast cancer.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ssible predictors of BCS eligibility after NAC,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develop the predicting nomogram. This nomogram was built using the training cohort (n=239) and was later validated with an independent validation cohort (n=123). Results: Small tumor size (p<0.001) at initial diagnosis, long distance from the nipple (p=0.002), high body mass index (p=0.001), and weak positivity for progesterone receptor (p=0.037) were found to be four independent predictors of an increased probability of BCS after NAC; further, these variables were used as covariates in developing the nomogram. For the training and validation cohorts, the areas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ere 0.833 and 0.786, respectively; these values demonstrate the potential predictive power of this nomogram. Conclusion: This study established a new nomogram to predict successful BCS in patients with HR-positive, HER2-negative breast cancer. Given that chemotherapy is an option with unreliable outcomes for this subtype, this nomogram may be used to select patients for NAC followed by successful BCS.

Multidetector CT Characteristics of Fumarate Hydratase-Deficient Renal Cell Carcinoma and Papillary Type II Renal Cell Carcinoma

  • Ling Yang;Xue-Ming Li;Ya-Jun Hu;Meng-Ni Zhang;Jin Yao;Bin So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12호
    • /
    • pp.1996-2005
    • /
    • 202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features of fumarate hydratase-deficient renal cell carcinoma (FH-deficient RCC) with germline or somatic mutations,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papillary type II RCC (pRCC type II).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4 patients (mean ± standard deviation, 40.4 ± 14.7 year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FH-deficient RCC (15 with germline and 9 with somatic mutations) and 54 patients (58.6 ± 12.6 years) with pRCC type II were enrolled. The MDCT featur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entities and mutation subgroups, and were correlated with the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Results: All the lesions were unilateral and single. Compared with pRCC type II, FH-deficient RCC was more prevalent among younger patients (40.4 ± 14.7 vs. 58.6 ± 12.6, p < 0.001) and tended to be larger (8.1 ± 4.1 vs. 5.4 ± 3.2, p = 0.002). Cystic solid patterns were more common in FH-deficient RCC (20/24 vs. 16/54, p < 0.001), with 16 of the 20 (80.0%) cystic solid tumors having showed typical polycystic and thin smooth walls and/or septa, with an eccentric solid component. Lymph node (16/24 vs. 16/54, p = 0.003) and distant (11/24 vs. 3/54, p < 0.001) metastases were more frequent in FH-deficient RCC. FH-deficient RCC and pRCC type II showed similar attenuation in the unenhanced phase. The attenuation in the corticomedullary phase (CMP) (76.3% ± 25.0% vs. 60.2 ± 23.6, p = 0.008) and nephrographic phase (NP) (87.7 ± 20.5, vs. 71.2 ± 23.9, p = 0.004), absolute enhancement in CMP (39.0 ± 24.8 vs. 27.1 ± 22.7, p = 0.001) and NP (50.5 ± 20.5 vs. 38.2 ± 21.9, p = 0.001), and relative enhancement ratio to the renal cortex in CMP (0.35 ± 0.26 vs. 0.24 ± 0.19, p = 0.001) and NP (0.43 ± 0.24 vs. 0.29 ± 0.19, p < 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H-deficient RCC.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FH germline and somatic mutation subgroups in any of the parameters. Conclusion: The MDCT features of FH-deficient RCC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pRCC type II, wherea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ermline and somatic mutation subgroups. A kidney mass with a cystic solid pattern and metastatic tendency, especially in young patients, should be considered for FH-deficient RCC.

국소 외음부 암에서 영역 림프절의 치료 (Management of Regional Lymph Nodes in Localized Vulvar Carcinoma)

  • 장원일;우홍균;박찬일;하성환;이효표;강순범;송용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1-9
    • /
    • 2008
  • 목적: 외음부 암환자에서 국소영역 치료실패에 대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영향을 평가하고 임상적으로 림프절이 전이가 없는 환자들에서 서혜부 림프절에 대한 치료방침을 결정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79년 10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일차성 외음부 암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66명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들 중에서 원격전이가 있는 2명, 고식적 목적으로 치료를 받은 6명, 이전에 골반부 위 방사선 치료의 병력이 있는 3명, 추적관찰이 탈락된 4명, 의무기록이 불충분한 1명을 포함하여 16명의 환자들은 이번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50 명 중에 수술만 받은 환자가 35명,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가 10명, 방사선 치료만을 받은 환자가 5명이었다. 결과: 5년 전체 생존율과 무병 생존율은 각각 91%, 78%였다. 12명(26%)에서 치료 실패를 보였으며, 국소 실패가 8명, 영역림프절 전이가 3명, 원격 전이가 1명이었다.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같이 받은 환자들이 수술만을 받은 환자들보다 위험요인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지만, 무병 생존율은 두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5년 무병 생존율 78% vs. 83%, p=0.66). 잠재성 림프절 전이의 빈도는 10%였다. 임상적으로 림프절 전이가 없었던 31명의 환자들 중에서 10명은 서혜부 림프절 절제술을 받지 않았지만, 이들 중에서 영역림프절 전이를 경험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결론: 치료실패의 위험요인을 가진 외음부 암자들에게 수술 후 방사선 치료는 잠재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다. 임상적으로 림프절 전이가 없는 위험도가 낮은 환자들에게는 서혜부 림프절 절제술을 하지 않는 것이나 서혜부 림프절에 대해 예방적 방사선치료를 하는 것에 대해서 고려해 볼 수 있겠다.

침윤성 방광암에서 경요도적절제술 및 Cisplatin과 방사선의 병용치료의 효과 (The Results of Combined Modality Treatment with Transurethral Resection, Cisplatin and Radiation Therapy for Invasive Bladder Cancer)

  • 오윤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311-317
    • /
    • 1991
  • 1989년 2월부터 1990년 6월까지 조선대학교 부속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침윤성 방광암으로 경요도적절제술 및 Cisplatin과 방사선을 병용하여 치료를 받았던 10예에 대하여 저자는 후향적으로 국소관해율, 생존기간, 치료실패양상 및 부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원발병소가 근치적방광절제술이 불가능하였거나, 환자의 전신상태 또는 고령의 나이나 합병된 내과적인 질환때문에 근치적수술을 할 수 없었던 경우였다. 원발병소의 병기는 T3a-T4b였고, N병기는 NO가 9예이고 N1가 1예였으며, 10예 모두 MO 였다. 추적기간은 $16\~32$개월이었다. 수술요법은 경요도적절제술, 화학요법은 Cisplatin $1\~5$회, 방사선치료는 골반부위에 $3960\~5400$ cGy의 선량으로 치료하였다. 원발병소의 병기에 따른 완전관해율은 cT3a에서 80$\%$, cT3b에서 67$\%$ 그리고 cT4b에서 0$\%$였고 전체적으로 60$\%$의 완전관해율을 보였다. 부분관해율은 20$\%$이어서 전체의 국소관해율은 80$\%$였다. 조직학적 검사상모두 이행상피암이었고 조직학적 등급에 따른 완전관해의 차이를보면 I, II등급인 6예에서는 모두 완전관해를 보였고 III, IV등급인 4예에서는 부분관해가 2예이고 무반응이 2예였다. 완전관해를 보였던 6예는 모두 생존하여 있고 이중 1예에서만 치료후 10개월후에 국소재발을 보였다. 완전관해를 보이지 않았던 4예는 모두 조직학적 등급이 III, IV등급으로 방광암으로 사망하였다. 원격전이는 3예에서 보였으며 2예 (cT4b)는 폐, 1예(cT3b)는 척추부위였다. 방사선치료후 부작용은 설사가 가장 심한 부작용으로 1예에서 나타났으나 보존요법으로 호전되었다. 따라서 침윤성방광암에 있어서 방광기능의 보존측면에서 병용치료는 심한 부작용없이 치료가 가능하며 완전관해율을 높이기위하여 방사선선량을 높이고, T4b병기에서는 원격전이 가 큰 문제이므로 효과적인 복합화학요법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 성적과 예후인자 분석 (The Results of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and Th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 장승희;이경자;이순남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09-423
    • /
    • 1998
  • 목적 :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근치적 방사선 치료 단독 또는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으로 치료했을 때, 환자의 임상적 양상, 실패 양상, 생존율,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및 방사선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2년 3월부터 1996년 4월까지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이화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70명의 환자에 대한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병기는 1기 2례, 2기 6례, 3-A기 30례, 3-B기 29례, 4기가 3례였다. 방사선치료는 6MV X-선을 이용하여 일일선량 1.8y-2.0Gy씩 주 5회 조사하였고, 총방사선량은 50.4-72.0Gy(중앙값 59.4Gy)였다. 전체 환자 중 34례(47$\%$)에서 유도 또는 동시 화학요법이 시행되었고 대부분 etoposide와 cisplatin이 포함된 복합화학요법이었다. 관찰조사가 사망 또는 연구시점까지 가능했던 경우가 43례(61$\%$)였고 생존율은 Kapian-Meie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생존율은 1년 63$\%$, 2년 29$\%$, 3년 26$\%$였고, 중앙생존기간은 17개월이였으며, 무병생존율은 1년 23$\%$, 2년 16$\%$였다. 각 병기별 전체 1년 생존율은 1기 100$\%$, 2기 80$\%$, 3기 61$\%$, 4기 50$\%$였고, 3기 환자만의 생존율은 1년 61$\%$, 2년 23$\%$, 3년 20$\%$였고, 중앙생존기간은 15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 후 완전관해가 11례(16$\%$), 부분관해가 35례(50$\%$)인 반면, 국소제어된 경우는 30례(43$\%$)로서, 이 중 24례(80$\%$)에서 치료실패에 대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추적된 24례에서 치료실패를 보인 14례(58$\%$)중 6례(43$\%$)는 국소재발, 6례(43$\%$)는 원격전이, 2례(14$\%$)는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동반된 경우로서 전체 환자 중 16례(23$\%$)에서 국소치유를 관찰할 수 있었다. 원격전이에 대한 추적관찰이 가능한 50례 중 23례(46$\%$)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근치적 방사선 치료만 시행한 군의 1년 생존율은 59$\%$, 유도 또는 동시 화학요법이 복합된 군은 68$\%$로서 두 군간의 생존율 차이는 다변량분석에서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고(p=0.0049), 3기 환자만의 경우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1년 생존율은 51$\%$, 유도 또는 동시 화학요법 병행군은 68$\%$로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생존율 차이가 있었다(p=0.0015). 단변수 변량분석에서 전체환자는 병기(p=0.015) 및 국소제어유무(p=0.0001)가, 3기 환자군은 유도 또는 동시 화학요법 병행 유무(p=0.0488), 시기에 무관한 화학요법 시행 유무(P=0.001) 및 국소제어 유무(p=0.0001)가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다변수 변량분석에서 전체 환자 또는 3기 환자만을 대상으로 할 때 병기(p=0.0001), 치료전 전신수행능력(p=0.001), 유도 또는 동시 화학요법 병행유무(p=0.0015), 총방사선량(p=0.0049), 국소제어 유무(P=0.0001)가 통계적 의의가 있었다. 방사선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은 식도염, 방사선폐렴, 혈액학적 부작용, 피부염이었으며, 2례의 치명적인 방사선폐렴이 관찰되었다. 결론 :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고식적인 방사선 치료만으로는 만족할만한 생존율을 얻기 어려우므로 원격전이 제어에 필요한 적절한 복합화학요법의 추가가 필요하고, 국소제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술을 병용하는 다원적 치료나 충분한 방사선량을 조사하기 위한 다분할조사방법의 활용 등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PDF

두경부에 생긴 선양 낭포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 김원동;박찬일;김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35-41
    • /
    • 1992
  • 1979년부터 1990년 사이에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48명의 환자가 두경부에 생긴 선양낭포암으로 치료를 받았다. 이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저자들은 후향성조사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5명의 환자는 대타액선의 병변이었고 나머지 33명의 환자는 주로 경구개와 상악동을 침범한 소타액선의 병변이었다. 11명의 환자는 수술이 불가능하여 방사선치료만 받았으며 37명의 환자에게는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추가하였다. 이 환자들의 중앙 추적기간은 49.5개월 이었다. 모든 환자에 있어서 국소치유율은 5년에 $71.1\%$,10년에 $44.3\%$였으며 근치적인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한 그룹에서 좀 더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신경주위로의 침범여부는 국소치유율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한 그룹에서는 60 Gy이상의 방사선양과 $64\;cm^2$이상의 field size로 치료한 경우에 좀 더 좋은 국소치유율을 나타내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field size에 대해서만 나타났다. 원격전이는 환자의 $40\%$에서 일어났으며 주로 폐를 침범하였다. 원격전이 이후의 생존율은 5년에 $19.5\%$로서 원격전이가 생존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전체생존율은 5년에 $79.0\%$, 10년에 $19.2\%$였으며 8년 이후에도 생존율은 계속 감소하였다. 무병생존율은 5년에 $45.8\%$,였으며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같이한 그룹과 대타액선의 병변에서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선양 낭포암의 수술후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60 Gy이상의 방사선양과 $64cm^2$이상의 field size로 치료함으로써 좀 더 좋은 국소치유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효과적인 항암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 PDF

갑상선암 환자에서 방사성옥소 진단스캔과 치료 후 스캔의 비교 및 임상경과 (Comparison of Diagnostic and Post-therapy Radioiodine Scan in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and the Clinical Outcome)

  • 이석모;배상균;염하용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2-29
    • /
    • 2000
  • 목적: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은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 후 첫 진단 스캔과 치료 후 스캔을 비교하고 치료 후 스캔에서 더 많은 병소를 보이는 경우(불일치군)와 같은 경우(일치군) 사이에 임상경과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은 분화된 갑상선암 환자 143명의 수술 후 첫 진단 스캔과 치료 후 스캔을 비교하였다. 진단 스캔은 방사성옥소 185 MBq를, 치료후 스캔은 $3.7{\sim}9.3$ GBq를 투여한 후 얻었다. 추적 진단 스캔에서 비정상 섭취가 없으며 혈청 갑상선글로불린치가 정상이면 잔여 갑상선조직이 제거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두 스캔사이에 차이를 보인 경우는 143명 중 25명(17.5%)으로, 진단 스캔보다 치료 후 스캔에서 더 많은 병소를 보인 경우가 22명(15.4%), 기절효과를 보인 경우가 3명(2.1%)이었다. 원격전이가 확인된 환자 14명 중 9명(64.3%)은 치료 후 스캔에서만 병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절 효과를 보인 3명 중 1명은 아치사손상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나, 나머지 2명에서는 다음 진단 스캔에서도 보이지 않아 진단 스캔 용량에 의한 제거의 가능성을 보였다. 관해는 75명(58.1%)의 환자에서 이루어졌다. 잔여 갑상선의 제거율, 평균 방사성옥소 축적 용량은 불일치군과 일치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185 MBq의 단일 용량의 방사성옥소를 이용하여 진단 스캔을 얻었을 때, 진단 스캔과 치료 후 스캔이 다른 경우는 17.5%에서 관찰되었으며, 특히 원격전이가 확인된 환자의 64.3%는 치료 후 스캔에서만 병소가 확인되었다. 진단 스캔과 치료 후 스캔 사이에 차이를 보인 환자군과 일치한 환자군에서 잔여 갑상선 제거율 및 방사성옥소 평균 축적용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절효과를 보인 병소는 추적검사에서 모두 제거되어 방사성옥소를 섭취할 능력의 일시적 장해뿐 아니라 진단용량에 의한 치료효과도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