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Diagnostic and Post-therapy Radioiodine Scan in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and the Clinical Outcome

갑상선암 환자에서 방사성옥소 진단스캔과 치료 후 스캔의 비교 및 임상경과

  • Lee, Seok-M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Kosin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Bae, Sang-Ky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Kosin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Yum, Ha-Yo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Kosin University Medical College)
  • 이석모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부 핵의학교실) ;
  • 배상균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부 핵의학교실) ;
  • 염하용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부 핵의학교실)
  • Published : 2000.02.29

Abstract

Purpose: We compared the first postoperative diagnostic and post-therapy scans of patients who received therapeutic doses of I-131,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clinical outcomes between patients with concordant findings of diagnostic and post-therapy scans and patients with discrepant (more lesions in post-therapy scan)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The first postoperative diagnostic and post-therapy radioiodine scans of one hundred forty three patients with 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were reviewed. Diagnostic scans were obtained following ingestion of 185 MBq of I-131 and post-therapy scans were obtained after therapeutic dose of $3.7{\sim}9.3$ GBq of I-131. Successful ablation was defined as no radioiodine uptake on diagnostic radioiodine scan and normal range of serum thyroglobulin level (<10 ng/ml) during serum TSH elevation. Results: Discrepant scan findings were noted in 25 (17.5%) patients. Twenty-two patients (15.4%) showed more lesions in post-therapy scan and 3 patients (2.1%) showed stunning effect. Nine (64.3%) of 14 patients with distant metastasis revealed metastatic lesion(s) only on post-therapy scan. Stunning effect was considered as sublethal damage in 1 patient and treatment by a diagnostic dose in 2 patients. Ablation was achieved in 52.4% (75/143) of all patients. Ablation rate and mean cumulative radioiodine dose were not different statistically between concordant and discrepant groups. Conclusion: There were 17.5% difference between diagnostic and post-therapy scan findings when using 185 MBq of I-131 as a diagnostic dose. However, 64.3% of distant metastases were revealed only on post-therapy scan. Ablation rate and mean cumulative radioiodine dose were not different statistically between concordant and discrepant groups. The stunning effect was considered as not only sublethal damage but also treatment by a small diagnostic dose of radioiodine.

목적: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은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 후 첫 진단 스캔과 치료 후 스캔을 비교하고 치료 후 스캔에서 더 많은 병소를 보이는 경우(불일치군)와 같은 경우(일치군) 사이에 임상경과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은 분화된 갑상선암 환자 143명의 수술 후 첫 진단 스캔과 치료 후 스캔을 비교하였다. 진단 스캔은 방사성옥소 185 MBq를, 치료후 스캔은 $3.7{\sim}9.3$ GBq를 투여한 후 얻었다. 추적 진단 스캔에서 비정상 섭취가 없으며 혈청 갑상선글로불린치가 정상이면 잔여 갑상선조직이 제거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두 스캔사이에 차이를 보인 경우는 143명 중 25명(17.5%)으로, 진단 스캔보다 치료 후 스캔에서 더 많은 병소를 보인 경우가 22명(15.4%), 기절효과를 보인 경우가 3명(2.1%)이었다. 원격전이가 확인된 환자 14명 중 9명(64.3%)은 치료 후 스캔에서만 병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절 효과를 보인 3명 중 1명은 아치사손상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나, 나머지 2명에서는 다음 진단 스캔에서도 보이지 않아 진단 스캔 용량에 의한 제거의 가능성을 보였다. 관해는 75명(58.1%)의 환자에서 이루어졌다. 잔여 갑상선의 제거율, 평균 방사성옥소 축적 용량은 불일치군과 일치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185 MBq의 단일 용량의 방사성옥소를 이용하여 진단 스캔을 얻었을 때, 진단 스캔과 치료 후 스캔이 다른 경우는 17.5%에서 관찰되었으며, 특히 원격전이가 확인된 환자의 64.3%는 치료 후 스캔에서만 병소가 확인되었다. 진단 스캔과 치료 후 스캔 사이에 차이를 보인 환자군과 일치한 환자군에서 잔여 갑상선 제거율 및 방사성옥소 평균 축적용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절효과를 보인 병소는 추적검사에서 모두 제거되어 방사성옥소를 섭취할 능력의 일시적 장해뿐 아니라 진단용량에 의한 치료효과도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