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ance transform algorithm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6초

Multiple-image Encryption and Multiplexing Using a Modified Gerchberg-Saxton Algorithm in Fresnel-transform Domain and Computational Ghost Imaging

  • Peiming Zhang;Yahui Su;Yiqiang Zhang;Leihong Zhang;Runchu Xu;Kaimin Wang;Dawei Zhang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7권4호
    • /
    • pp.362-377
    • /
    • 2023
  •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is characterized by high speed and parallelism, and the light features short wavelength and large information capacity; At the same time, it has various attributes including amplitude, phase, wavelength and polarization, and is a carrier of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Therefore, optical encryption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ecurity transmission, and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image encryption. For multi-image encryption, this paper proposes a multi-image encryption algorithm based on a modified Gerchberg-Saxton algorithm (MGSA) in the Fresnel-transform domain and computational ghost imaging. First, MGSA is used to realize "one code, one key"; Second, phase function superposition and normalization are used to reduce the amount of ciphertext transmission; Finally, computational ghost imaging is used to improve the security of the whole encryption system. This method can encrypt multiple images simultaneously with high efficiency, simple calculation, safety and reliability, and less data transmission. The encryption effect of the method is evaluated by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ructural similarity, and the effectiveness and security of the method are verified by simulation experiments.

Motion Compensated Subband Video Coding with Arbitrarily Shaped Region Adaptivity

  • Kwon, Oh-Jin;Choi, Seok-Rim
    • ETRI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190-198
    • /
    • 2001
  • The performance of Motion Compensated Discrete Cosine Transform (MC-DCT) video coding is improved by using the region adaptive subband image coding [18]. On the assumption that the video is acquired from the camera on a moving platfor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scene is large enough, both the motion of camera and the motion of moving objects in a frame are compensated. For the compensation of camera motion, a feature matching algorithm is employed. Several feature points extracted using a Sobel operator are used to compensate the camera motion of translation, rotation, and zoom. The illumination change between frames is also compensated. Motion compensated frame differences are divided into three regions called stationary background, moving objects, and newly emerging areas each of which is arbitrarily shaped. Different quantizers are used for different region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C-DCT video coding using block matching algorithm, our video coding scheme shows about 1.0-dB improvements on average for the experimental video samples.

  • PDF

Multiple Properties-Based Moving Object Detection Algorithm

  • Zhou, Changjian;Xing, Jinge;Liu, Haib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1호
    • /
    • pp.124-135
    • /
    • 2021
  • Object detection is a fundamental yet challenging task in computer vision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object recognition, tracking, scene analysis and understanding.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multiproperty fusion algorithm for moving object detection. First, we build a 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vector field and analyze vectors in the SIFT vector field to divide vectors in the SIFT vector field into different classes. Second, the distance of each class is calculated by dispersion analysis. Next, the target and contour can be extracted, and then we segment the different images, reversal process and carry on morphological processing, the moving objects can be detected. The experimental results have good stability, accuracy and efficiency.

색상 정보와 호프변환을 이용한 3차원 점군데이터 구조물 추출 기법 연구 (Structure Extraction in 3D Cloud Points Using Color Information and Hough Transform)

  • 김남운;노이주;정경훈;김기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3호
    • /
    • pp.143-15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지상 라이다에서 획득한 3차원 점군데이터로부터 인공 구조물을 추출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지상 라이다 점군데이터는 항공 라이다의 경우와 달리 다양한 장애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의 알고리듬을 그대로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제안 방법에서는 지상 라이다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목표 구조물에 해당하는 점군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점군데이터의 Hough 변환을 통해 3차원 공간상에서의 구조물에 해당하는 직선 방정식을 추정한 후, 추정된 직선과 점군데이터 사이의 거리를 비교함으로써 목표 구조물을 추출한다. 제안 방법은 목표 구조물의 기준 색상을 획득하는 단계에서만 사용자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효율적이며,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방법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동적계획법과 적응 비용 변환을 이용한 영상 모자이크의 seam-line 결정 (Seam-line Determination in Image Mosaicking using Adaptive Cost Transform and Dynamic Programming)

  • 전재춘;서용철;김형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28
    • /
    • 2004
  • 영상 모자이크 작업에서 두 영상 간의 경계선이 보이지 않는 최적의 seam-line을 구하기 위해 화소값 차이 변환과 동적계획법 이용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영상 간의 경계선은 두 영상의 화소값 차이가 적은 화소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시각적 부담이 적다. 이 화소들을 연결하는 것은 최적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최적 경로 결정에 효과적인 동적계획법을 seam-line 결정에 직접 적용하변 화소값의 차이뿐만 아니라, seam-line의 길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거리영향문제가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적응적 변환함수를 사용하여 비용 변환을 수행하고, 변환된 비용공간 상에서 동적계획법을 적용하여 거리영향이 억제된 최적 seam-line을 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또한 결정된 seam-line을 평가하기 위해 일정한 개수의 상위 화소값의 차이를 누적한 값(SFBPD)을 척도로 제시하였다. 제안한 seam-line 결정방법을 다양한 종류의 영상에 대해 적용 실험하였으며, 시각적 및 SBPD 값에 의한 수치적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챔퍼 디스턴스를 이용한 위성영상 상의 북한군 자주포진지 매칭기법 (Matching algorithm for self-propellent artillery position on satellite image Using chamfer distance)

  • 김상훈;이순영;윤일동;이상욱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51-45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챔퍼 디스턴스 매칭(chamfer distance matching)를 이용하여 위성 영상 상의 북한군 자주포진지(self-propellent artillery position)를 매칭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되는 위성 영상을 잡음환경에 강인한 가우시안-라플라시안 연산자를 이용하여 에지(edge)를 추출한다. 추출된 에지 영상의 각 픽셀에 대해 가장 가까운 에지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변환(distance transform) 영상을 생성한다. 템플릿 영상은 다양한 자주포진지 영상에서 샘플링된 영상으로 에지를 추출한 후 거리 변환을 거친다. 마지막으로 템플릿 영상을 입력된 거리 변환 영상에 윈도우 슬라이딩(window sliding)하여 최소값의 가지는 위치를 구한다. 제안 기법은 잡음에 강인한 가우시안-라플라시안 연산자를 사용하여 기상조건에 의한 입력 영상의 편차에도 효율적인 매칭이 가능하다. 또한 에지 기반의 챔퍼 매칭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 균일 조명 환경에서도 강인한 매칭이 이루어진다. 전산 모의 실험에서 제안 알고리즘은 입력 위성 영상 상의 자주포진지를 적은 계산량으도 신뢰있게 매칭함을 보여준다.

  • PDF

결합 신경망을 이용한 여권 MRZ 정보 인식 (Recognition of Passport MRZ Information Using Combined Neural Networks)

  • 김진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49-157
    • /
    • 2019
  • In case of reading passport using a smart phone in contrast with a dedicated passport reading system, MRZ(Machine Readable Zone) character recognition can be hard when the character strokes were broken, touched or blurred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dition, and the position and size of MRZ character lines were varied due to the camera distance and angle. In this paper, the effective recognition algorithm of the passport MRZ information using a combined neural network recognizer of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proposed under the various sized and skewed passport images. The MRZ line detection using connected component analysis algorithm and the skew correction using perspective transform algorithm are also designed in order to achieve effective character segmentation results. Each of the MRZ field recognition results is verified by using five check digits for deciding whether retrying the recognition process of passport MRZ information or not. After we implement the proposed recognition algorithm of passport MRZ information, the excellent recognition performance of the passport MRZ information was obtained in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PC off-line mode and smart phone on-line mode.

PCA와 LDA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 검출 및 검증 기법 (Real-time Face Detection and Verification Method using PCA and LDA)

  • 홍은혜;고병철;변혜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2호
    • /
    • pp.213-22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응용을 위해 형판 정합 방법을 기반으로 하면서 동시에 외형 기반 (appearance_based) 방법에서 제시하는 학습 모델을 이용한 새로운 얼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빛이나 조명의 영향에 의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처리 과정으로 최소-최대 정규화(Min-max Normalization) 방법과 히스토그램 정규화 방법을 적용시킨다. 그런 뒤에 입력 영상과 형판을 PCA 변환하여 각각의 주성분(PC : Principal Component)을 생성하고 이를 LDA 변환한다. PCA 및 LDA 변환된 형판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과의 거리 값을 구한 후 거리 값이 가장 작은 영역을 얼굴 영역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은 SVM을 이용하여 얼굴인지 아닌지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얼굴 검출 방법을 위해 전체 영역이 아닌 $\pm$12 화소 크기의 탐색 윈도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속도 및 정확도를 고려하도록 하였다. 실제 환경과 같은 6개 부류의 동영상을 중심으로 실험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PCA 변환만을 이용한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SVM을 이용한 얼굴 검증 과정을 추가한 방법이 PCA 변환과 LDA 변환을 사용한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환형문자열에 대한 대표문자열을 찾는 병렬 알고리즘 (Parallel Algorithms for Finding Consensus of Circular Strings)

  • 김동희;심정섭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3호
    • /
    • pp.289-294
    • /
    • 2015
  • 대표문자열 문제는 k개의 문자열로 구성된 집합 S가 주어졌을 때 S를 대표하는 한 문자열인 대표문자열을 찾는 문제이다. 환형문자열은 일반적인 문자열과는 달리 문자열의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가 연결되어 원 모양을 이루는 문자열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k=3이고 길이 n인 환형문자열들로 구성된 S에 대해, 거리반경과 거리합을 동시에 고려한 대표문자열 문제를 O(n)개의 쓰레드를 사용하여 $O({\mid}{\Sigma}{\mid}nlogn)$ 시간에 병렬적으로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때, ${\Sigma}$는 각 문자열을 구성하는 문자집합이다. 다음으로 k=4이고 길이 n인 환형문자열들로 구성된 S에 대해 거리합 기반 대표문자열 문제를 O(n)개의 쓰레드를 사용하여 $O({\mid}{\Sigma}{\mid}n^2logn)$ 시간에 병렬적으로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후 두 문제에 대한 병렬 알고리즘들을 CUDA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순차 알고리즘들과의 실행 속도를 비교한 결과를 제시한다.

Application of neural networks and an adapted wavelet packet for generating artificial ground motion

  • Asadi, A.;Fadavi, M.;Bagheri, A.;Ghodrati Amiri, G.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37권6호
    • /
    • pp.575-592
    • /
    • 2011
  • For seismic resistant design of critical structures, a dynamic analysis, either response spectrum or time history is frequently required. Owing to the lack of recorded data and the randomness of earthquake ground motion that may be experienced by structure in the future, usually it is difficult to obtain recorded data which fit the requirements (site type, epicenteral distance, etc.) well. Therefore, the artificial seismic records are widely used in seismic designs, verification of seismic capacity and seismic assessment of structur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numerical metho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wavelet packet transform in best basis method which is presented for the decomposition of artificial earthquake records consistent with any arbitrarily specified target response spectra requirements. The ground motion has been modeled as a non-stationary process using wavelet packet. This study shows that the procedure using ANN-based models and wavelet packets in best-basis method are applicable to generate artificial earthquakes compatible with any response spectra. Several numerical examples are given to verify the developed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