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ordered frui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과원토양의 화학적 환경이 신고 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Orchards on 'Niitaka' Pear Quality)

  • 김익렬;장태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3-259
    • /
    • 2008
  • 과수의 생육기간동안 양분흡수는 과원토양의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수확기에 신고 배에 Ca 결핍장해과로 보이는 과실의 발생 원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과실에 생리장해가 발생한 4개 지역(울산,경주,평택,안성)의 과원 토양의 화학성 및 잎과 과실의 무기성분 함량을 조사하였다. 과실에 생리장해가 발생한 과원 토양의 치환성 Ca 함량은 정상관원에 비해 낮은 반면, 치환성K와 Mg 함량 및 T-N 함량은 높았다(P=0.05). 생리장해 과실의 과육과 과피의 Ca 함량은 건전한 과실에 비해 낮았으며, 과육과 과피의 Mg/Ca 비율은 건전 과실보다 높았다(P=0.05). 잎에 N/Ca 및 K/Ca 비율은 생리장해가 발생한 나무가 건전한 나무의 잎 보다 높았다. 따라서 신고 배의 생리장해는 Ca 함량의 부족에 의해 발생하는 유부과로 판단되며, 이는 토양에 치환성 K와 Mg 이온 및 T-N가 Ca 이온의 흡수에 장해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시설가지 연작재배토양 이화학성이 생리장해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Properities of Plastic film house soils and Physiological Disorder of Eggplant)

  • 엄미정;한수곤;김갑철;문영훈;최정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2-198
    • /
    • 2001
  • 본 연구는 시설가지 재배토망의 화학성과 미생물상의 변화 및 생리장해과 발생정도를 12개 농가포장에서 조사하여 토양이화학성이 가지의 생리장해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설작물의 안전생산과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재배토양은 시설재배년수가 많을수록, 또 깊이가 표층에 가까울수록 양분집적의 경향이 컸고, B/F비와 A/F비는 가지 재배년수가 많을수록 낮았으며, 토양 EC와 사상균, 인산과 방선균 간에는 고도의 정의상관을 보였다. 열과와 석과는 토양수분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농가에서, 비대불량과는 재배년수가 많아 염농도가 높은 농가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또한 토양 EC는 비대불량과와 이를 포함한 생리장해과 발생률과 유의성을 보였으며 각각 Y=0.210X+0.578, Y=0.769X+7.097의 관계가 있었으며 토양 (Ca+Mg)/K는 생리장해과 발생율과는 Y=-1.333Ln(X)+12.26의 관계를 보였다.

  • PDF

착색단고추 생리장해과와 정상과의 수확 후 생리 및 신선편이의 저장성 비교 (A Comparison of Postharvest Physiology and Storability of Paprika Fresh-Cut Made from Disordered and Normal Fruits)

  • 유태종;최인이;정현진;김일섭;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9-54
    • /
    • 2010
  • 여름철 강원도 고랭지 재배되는 착색단고추는 비상품과로 분류되는 생리장해과가 발생이 많은데, 본 실험은 이들 생리장해과의 신선편이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착색단고추의 정상과와 배꼽썩음과 그리고 납작과를 수확하여 신선편이로 제조하여 수확 후 생리현상과 몇 가지 MAP 조건에서 저장성을 비교하였다. 저장전 이들 신선편이의 호흡률과 에틸렌 발생 률은 정상과와 생리장해과의 차이에 일정한 경향이 었으며 통계적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3가지의 형태의 과실의 신선편이를 두께 $25{\mu}m$$50{\mu}m$의 세라믹 필름으로 포장하여 $4^{\circ}C$$9^{\circ}C$ 그리고 상온에서 저장하였다. 저장중 생체중 감소는 모두 1.1% 이하로 과실형태로는 그 차이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필름 두께가 얇을수록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컸다. 이들 포장재내 이산화탄소와 산소농도의 경우 품종과 과실형태별 차이에 유의성은 없었으며 저장온도별로 저온이었던 $4^{\circ}C$ 처리와 필름종류에서는 두께가 얇았던 $25{\mu}m$ 세라믹 필름포장처리에서 낮은 이산화탄소와 높은 산소 농도를 보였다. 저장기간 중 변화를 보면 $4^{\circ}C$ 저장은 9일 이후, $9^{\circ}C$ 저장은 6일 이후 포장재내 급격한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와 이와 동반된 산소 농도 감소나 나타났는데, 이 시점은 외관상 품질이 급격히 감소한 때와 일치하였다. 에틸렌 농도는 상온을 제 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7{\mu}L{\cdot}L^{-1}$ 이하를 보였는데 포장재 두께가 얇은 $25{\mu}m$ 세라믹 필름포장과 $4^{\circ}C$ 저장 처리구에서 낮게 유지되었으며 과실형태별로 유의성 있는 차이나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 저장 최종일에 외관상 품질은 3일간 저장하였던 상온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처리간 차이에 유의성은 없었다, $9^{\circ}C$$4^{\circ}C$ 저장에서는 정상과에서 외관상 품질이 높게 유지되었으나 생리장해과와의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저장온도별로 9일간 저장한 $9^{\circ}C$에 비해 12일간 저장한 $4^{\circ}C$에서 높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착색단고추 과실의 형태 및 품질이 신선편이의 저장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저온 장해가 있는 착색단고추 과실이지만 신선편이의 경우 $4^{\circ}C$의 저온이 보다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나라 지방자치단체 식재 조례 기준의 현황 및 개선방향 (A Study on Improvements of Local Governments' Planting Regulations in Korea)

  • 최일홍;황경희;이규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4-206
    • /
    • 1998
  • In 1977, Local governments' planting regulations for the development projects wer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building law in Korea. A landscaped area, planting densities of trees and shrubs, a percentage of evergreen plants, minimum tree size and species were prescribed in the planting regulations. But the clauses for an excessive planting density and a high ratio of evergreen trees that the regulations includes, have been gradually in the way to a creative planting design, and raise a problem of poor growth of trees an a disordered planting landscap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esent planting regulations of 124 local governments throughout the country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13 foreign local governments' of 4 countries ; Japa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anada and Singapore. And the linit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ulations are drawn as follows ; 1. The regulations focus on controlling the green spaces and plantings by quantitative methods such as controlling the number of trees and the landscaped area, which are inadequate for estimating the crown coverage of mature trees, and which areinadequate for estimating the crown coverage of mature trees, and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polantings and the use of green spaces. 2. Minimums of tree densities are higher than those of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higher about 10 times to 100 times than thos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3.Excessive number of evergreen trees and fruit trees should be planted under the present planting regulations, that results in constricting the creativity in planting design. 4. An article for using specific tree size, 2.0ms over in height makes it difficult to use a wide variety of different sizes of trees. And there is no incentive measures when larger trees are plan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green spaces and plantings, it is needed that the function and locating of green spaces and plantings have to be emphasized, and the planting density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 mature tree size. The incentive measure to use various sizes of trees is also needed, and the regulations to use excessive number of evergreen trees or fruit trees should be loose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