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ourse type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293초

한국어교육학에서의 담화 연구 분석 (Issues of Discours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강현화
    • 한국어교육
    • /
    • 제23권1호
    • /
    • pp.219-256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trend of discourse study i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 the main issues by investigating the literatures related to discour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last ten years. This study observed the discourse stud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study subject, study method and study data. Moreover, based on the results, it estimated the achievements and effectiveness of the discourse stud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ubject of discourse study was mainly dealt with discourse function, discourse pattern, discourse marker, discourse structure. In the study methods, analysis of corpus and survey were mainly used as the study methods, and spoken corpus, written corpus and semi-spoken corpus were used as study materials. In particular, the semi-spoken corpus was used at a very high rate among them. This showed that discourse stud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ainly focused on spoken corpus study. This study divided the detailed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o four fields of linguistic knowledge, communication function, teaching activities and learning activities, and observed the trends of discourse study in each field. Overall, it was recognized that relatively many studies were focused on linguistic knowledge, particularly in pragmatic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the study based on discourse has a language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at it is based on actual data and improves practic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environment of various languages.

The Shifts of Power in Gender Discourse: Approaching Bao Ninh's Short Stories and Svetlana Alexievich's Unwomanly Face of War from Feminist Narratology

  • Cao, Kim Lan
    • 수완나부미
    • /
    • 제14권1호
    • /
    • pp.133-160
    • /
    • 2022
  • This paper examines narratives of women's marginal position in Bao Ninh's Short Stories and Svetlana Alexievich's Unwomanly Face of War from a feminist narratological approach. In analyzing voices of marginalized women, direct and indirect descriptions of women's beauty and pain, and private-public narratives of women's love storie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presentations of women's real authority in the text written by a male author, Bao Ninh, and in the one by a female author. The paper argues that juxtaposing these texts reveals an overturn of the traditional conception of sexual and gender differences. Specifically, distinguishing between male/female discourse does not show powerful /nonpowerful language, but recognizes the real authority of each type of discourse based on sexual differences. The writing also illustrates that masculine language becomes powerless and deficient in the women's world; meanwhile, in writing about herself, woman establishes a type of a powerful feminine discourse, which blends both emotional, enthusiastic, and gossipy characteristics of female language and direct, rational, and strong ones of male language. Thus, the feminists' radical segregation on male/female discourses to overturn masculine authority and create a language for women at par with men has been clearly shifted when comparing the two writers' texts based on the juxtapositional model of the comparative literature.

우수수업 사례를 통해서 본 초등 수학 교실에서의 의사소통 (The Communication of Elementary Math Classes Through Observing the Excellent Lesson Videos)

  • 최은아;이광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507-530
    • /
    • 2010
  • 본 연구는 지역별 우수수업 동영상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양질의 수업을 찾아 교사의 수업 관행에 도움을 주고자한 것이다. 교사와 교실 전체 간에 이루어지는 담화를 중심으로 수업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별 우수수업 동영상의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유형은 무엇인가? 둘째, 지역별 우수수업은 의사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담화중심 수업의 수학적 의사소통 수준은 어떠한가? 공개된 24개의 수업을 수업 유형에 따라 분류한 결과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특성상 조작 중심수업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유형의 수업도 좀 더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수 학습 지도안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고려한 수업은 5개이며 이 중 1개 수업만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인지적 영역에 포함시키고 있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교사가 정확히 알 필요가 있었다. 또한, 학생 간 질문하기를 수업에 반영할 필요가 있었다.

  • PDF

중국 수학 교실에서 교사 발문과 담화 유형에 대한 탐색 (Exploration of Teacher Questions and Discourse Types in Chinese Mathematics Classrooms)

  • Liu, Went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487-509
    • /
    • 2022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진학을 위한 입시라는 독특한 수학 교실 배경이 있는 중국 중학교 수학 교실에서 일어나는 교실 담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실 담화를 시작 발화로서 교사 발문 통계와 교사 발문 유형별 에피소드를 분석하였고, 교실 담화 구조 분석으로는 특히 다섯 가지 IRF 하위 유형을 밝혀낼 수 있었다. 중국 귀주성 귀양시에 위치한 H학교에 재직 중인 세 명의 수학 교사가 녹화했던 수학 수업 총 15개의 녹취록과 교사 서면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차시별로 평균 20개 교사 발문이 관찰되었고 교사 발문의 사회적 스케폴딩 역할이 있었으며, 교사 발문 유형은 확인형 발문(이해확인 발문, 설명요구 발문, 상세요구 발문, 재확인 발문)과 정보형 발문(정보제시 발문)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교실 담화 분석에 따르면 IR형 담화 구조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IRF형 담화 구조의 경우는 단편적인 평가, 평가 및 이유, 근거 설명, 평가 및 학생 반응 재진술, 다른 사고나 해법 안내, 그리고 학생 답 수정이나 교사 의견 제시로 구분되었다.

중학교 태양계 단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교실담화 사례분석 (The Case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of the Solar System)

  • 조은영;한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1호
    • /
    • pp.113-131
    • /
    • 2015
  • 이 논문은 중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간 교실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여 지구과학 전공 교사와 비전공 교사의 담화 유형 차이를 확인하고, 교사의 질문 유형과 담화 양상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3개 중학교에 근무하는 4명의 과학 교사 수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두 단계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Mortimer & Scott(2003)의 틀을 사용하여 담화 유형을 범주화 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교사의 질문 유형과 담화 양상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McNeill & Pimentel(2009)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교사의 질문을 4가지 유형의 질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모든 교사가 상호작용적이며 권위적인 담화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담화 양상은 교사의 질문 유형 보다는 학생의 반응에 대한 피드백과 더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가 학생의 반응에 긍정적인 수용의 태도로 지연 피드백을 사용할 때 대화적 담화가 더 잘 나타났다.

  • PDF

경계음절에서 나타나는 대화체 언어의 운율 현상 (Prosodic Aspects of Discourse Boundaries in Conversation)

  • 윤영숙
    • 음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137-150
    • /
    • 2004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boundaries in spontaneous conversation. In this study, the term 'conversation' is taken to refer to a kind of talk in which two or more participants alternate in speaking about particular topics. Such a definition implies that there are at least two sorts of structures in the conversation: textual structure and interactive structure. This requires us to consider not just the textual influences on prosody but also the impact of interactive contex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oustic-prosodic means used by speakers to signal discourse boundaries in conversational interac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structural level and the interactive level obliges the speakers to reorganize the prosodic variable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course boundaries.

  • PDF

발표 담화의 관여 전략 연구 (A Study on Involvement Strategies in Oral Presentation Discourse)

  • 이정란
    • 한국어교육
    • /
    • 제25권1호
    • /
    • pp.145-16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volvement strategies in presentation discourse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to compare strategies in presentation of Korean learners and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with that. For this study, the presentation discourse of 13 Korean undergraduates, 21 Korean graduate students, 6 Korean advanced learners, 8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Korean native speakers used many types of involvement strategies such as conversing, expressing solidarity, expressing closeness. Asking questions to audience was a representative type of conversing. And expressing solidarity was divided using 'we' and sharing experience. expressing closeness was also divided insertion of personal cases and joking. On the other hand, Korean learners and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used simple types of involvement strategies. Based on these results, I have proposed a few teaching ways for involvement strategies.

TV 다큐멘터리가 생성한 정신장애 담론 : 구별짓기의 완성 (The Discourse associated with mental illness on TV documentaries : The Completion of Distinction)

  • 장혜경;우아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1호
    • /
    • pp.179-217
    • /
    • 2011
  • 본 연구는 TV시사다큐멘터리가 정신장애와 정신장애인에 대해 어떤 담론을 생산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있다. 담론은 현실을 규정하고 해석하여 현실을 재구성하는 힘을 가지므로, 다큐멘터리가 생성하는 정신장애담론은 언어표현의 방식과 내용을 통해 지배담론의 형상과 지배담론이 현실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를 포착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를 위해 공중파 방송사들의 시사다큐멘터리 중 정신장애를 다루고 있는 프로그램 4개를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TV 다큐멘터리가 생성하고 있는 정신장애 담론은 '구별짓기의 완성' 이었다. 텍스트 수준에서 구별의 이유를, 담론적 실천에서는 구별의 주체와 방법을, 사회적 실천에서는 구별짓기의 일상화를 보여주고 있었다. 다큐멘터리의 정신장애 담론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관습적이고 통념적 담론을 반복적으로 재생산하고 정신장애인을 담론생산의 장으로부터 배제하면서 그들의 주체적 위치를 상실시킨다. 정신장애에 대한 지배담론의 구조와 질서를 전복할 수 있는 대안담론은 정신장애인들이 담론생산의 주체 위치를 회복할 때 가능해 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구자와 실천가들도 지배담론의 효과에 민감하며 대안담론의 생산에 적극적으로 가담할 때 대안담론 구성의 가능성을 열 수 있을 것이다.

조응관계 실타래 풀기 (Untangling Anaphoric Threads)

  • 정소우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8권2호
    • /
    • pp.1-25
    • /
    • 2004
  • This paper examines two different approaches to resolving a theoretical problem which the bottom-up approach version of Discourse Representation Theory of Kamp et al. (2003) faces in dealing with anaphoric relations between pronouns and their potential antecedents in conditional sentences where consequent clauses precede their corresponding conditional clauses. In one of the approaches, every element is processed in the order of occurrence and conditional operators in a non-sentence-initial position cause the ongoing DR to split in two with the same index. The definition of accessibility is accordingly modified so that the right DR can be accessible from the left DR. In the other approach, a different type of discourse representation structure, K ${\Leftarrow}$ K, is introduced, which allows us to resolve the target problem without modifying accessibility proposed in Kamp et al. (2003). Compatibility of these two approaches with the bottom-up version of DRT is evaluated by examining their applicability to the analysis of quantified sentences where pronominal expressions precede generalized quantifiers.

  • PDF

한국조경학회지 게재논문 조경식물 분야의 연구경향 (Research Trends concerning Landscape Plant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강호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0-138
    • /
    • 2003
  •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concerning landscape plants and to foresee the next trends in Korea.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the articles listed i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landscape plants was calculated for five-year-period over 30 years and for groups of ten issues from 1973 until 2003. Of all the related articles, subjects or materials, method types, and content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for groups of ten issues from 1973 until 2003.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Of 1,018 articles in total, there were 930 paper-type, 52 discourse-type, and 36 remains. Of 212 related articles, there were 205 paper-type, 3 discourse-type, and 4 remains. Of 232 subject articles, there were 115 woody-related, 47 herbaceous-related, and 33 soil-related articles. Of 221 method articles, there were 89 experiment, 54 field research 33 planting articles. Of 243 content articles, there were 47 investigation, 36 construction, 34 environmental effect, and 33 maintenance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