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ourse theory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3초

예비 수학 교사의 교사 담화에 대한 인식 분석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 of Teacher Discourse)

  • 이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65-4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권위적 및 대화적 담화 사례의 교사 담화 평가에서 드러난 예비 수학 교사들의 인식을 질적 내용 분석으로 탐색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일방적 설명이나 학생 대답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않는 폐쇄적 발화에 비판적이었으며, 학생의 이유를 탐색하는 질문과 오답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지지했다는 측면에서 표면적으로 대화적 담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가 대부분의 인지활동을 대행하는 테스트 질문에 무비판적이었고, 학생들에게 제기된 답에 대한 수학적 판단 기회를 부여하여 대화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교사 발문에 대해 심리적 저항을 보였다는 점에서, 예비교사들의 심층적인 권위적 담화 지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보고한 교사교육 입문 초기 예비교사들의 담화인식은, 교실 담화에 대한 교사 전문성 교육 과정 설계에 유용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근대 이후 한국주거의 미시사를 보는 다양한 관점 (Various Perspectives to Read the Micro-History of Korean Housing after the Period of Opening the Port)

  • 홍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79-9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ous perspectives to read micro-history of Korean housing after the period of Opening the Port for foreigners. This study were designed to adapt original theory for exploring the unique housing perspectives without using strict basic assumption which were already developed in the area of sociology, history, anthropology and philosophy. Research method applied was literature review. Each perspective might give useful insight to read the micro-history of Korean housing on the way of change after the Period of Opening the Port in Korea. Adapted perspectives to housing history were critical theory perspective, microsociological perspective, everyday life perspective(phenomenology tradition, symbolic interaction tradition, Marxist tradition), discourse perspective, exchange theory perspective, conflict theory perspective, and life course perspective. Conclusively, each perspective must be adapted multi-supportively to read the housing phenomena, because housing change derived from complex causes and factors. The fruit of this study was to ensure the adaptable viewpoint to housing were useful to read the micro-history of housing change.

상화학설(相火學說)에 나타난 용화(龍火)의 개념 및 치법(治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ncept and Therapeutic Application of Dragon Fire in Ministerial Fire Theory)

  • 은석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6
    • /
    • 2020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organize the genealogy of the Ministerial Fire Theory in relation to Wangbing's Dragon Fire discourse through examining how Wang's Dragon Fire content first mentioned in the annotation of 『Suwen』 was included into the discourse of the Ministerial Fire Theory in explaining the concept of Ministerial Fire and its therapeutic application. Methods :First to examine the inclusion and application of the Dragon Fire concept into the Ministerial Fire Theory, Zhudanxi's theory and critiques on him were studied. Next the concept of Dragon Fire within the Ministerial Fire Theory was analyzed, followed by comparison between generations of doctors's therapeutic application of Ministerial Fire and Wangbing's Dragon Fire application. Conclusions & Results : Wangbing's dragon fire concept held an important position in discussing its characteristic as fire within water, which was adopted and differentiated by later doctors in aspects of pathology, deficiency and excessiveness, influenced by various theoretical elements of later periods. In the midst of expansion of the concept from combination of dragon fire and ministerial fire, the therapeutic aspect of it was maintained from Wangbing's original mentioning. This tendency manifested in either awkward combination of Wang's therapeutic methods and the new theory or modification of Wangbing's methods.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과 교사의 담론 구조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eachers-students and teacher's discourse structures in mathematization processes)

  • 최상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1호
    • /
    • pp.17-2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른 교사의 담론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법을 20년 이상 실행한 경력 교사의 한 학기 수업 44차시 중에서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서로 다른 상호작용 양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경우 각각 1차시 수업을 비교분석하였다(근거 이론). 분석 결과, 학생들의 참여 양상을 고려한 교사의 담론 구조는 수학화 과정 경험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라 수학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구체화함으로써 수학화를 위한 교실 담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치매환자 담화분석의 최근 연구동향 : 과제, 전사 및 측정요인 (Recent Research Trends in Dementia Discourse : Tasks, Transcription and Measures)

  • 김보선;김향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351-363
    • /
    • 2015
  • 담화분석은 치매환자의 발화특성을 알아보거나, 환자군을 변별하는 데 있어서 그 효용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담화연구들에서 활용된 과제, 전사법, 측정요인들이 서로 상이하므로,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해석을 도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담화과제, 전사법, 측정요인들을 조사하여 향후 담화분석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스코퍼스(Scopus)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05년부터 2014년도까지 치매 환자의 담화를 분석한 연구들이 조사되었다. 그 결과, 첫째,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가장 많이 쓰인 담화과제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기'이었다. 둘째, 전사과정에서 일관된 전사규약(transcription conventions)을 적용하는 경우, 좀 더 신뢰성 있는 전사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담화측정요인들은 담화처리모델에 따라 통일성, 응집성, 생산성, 명제 통사 사전분석, 유창성의 영역들로 범주화되며, 각 범주는 담화처리단계(즉, 개념형성단계, 명제처리단계, 자연언어단계)에 속하였다. 결론적으로, 향후의 담화연구는 치매유형 및 특징에 따라 담화과제를 선정하고, 분석의 신뢰성을 위해 일관된 전사규약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담화처리이론에 바탕을 둔 측정을 통해, 담화연구의 해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일간지 담론분석을 통해 본 한국 개신교 : 21세기 한국적 상황에서 사회와 개신교의 관계성 성찰 (A study on Korean Church based on discourse analysis of the daily news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Protestantism in the 21st Century in Korea)

  • 옥성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0권
    • /
    • pp.75-106
    • /
    • 2022
  • 일간지 사설이 생산하는 종교담론은 종교의 '신앙 정체성' 담론이기 보다는 '사회관계성' 담론이라 할 수 있다. 사회관계성 담론으로서 개신교 담론에 대한 이해는 한국적 상황에서 진행되는 사회구조적 변동을 배경으로 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언론이 생산한 공공담론은 사회현실 자체를 사실적으로 반영하기보다는 시공간적 특수성을 전제로 일정한 가치와 잣대로 해석된 현실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일간지가 생산한 개신교 담론을 구성주의 관점으로 접근한다. 특히 사회구조적 변동으로써 한국적 상황을 세계화(Globalization)론으로 바라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간지 사설의 내용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하여 21세기 한국 상황에서 사회와 개신교의 관계성을 성찰하는 것이다. 사회언론이 생산하는 한국 개신교 담론에 대한 분석적 고찰은 사회와의 건강한 소통을 위한 기초 작업이며 하나님 나라를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의 실천적 역할과도 연결된다. 최근 18년간(2004~2021) 일간지 사설이 생산한 한국 개신교 담론을 분석한 결과 한국사회와 한국 개신교의 상호충돌적 만남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Breaking the Code of Silence: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Cyberbullying Through the Lens of Habermas'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 January Febro, Naga;Joshua Isaguirre;Elanie Vizconde;Raymund Siso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2권3호
    • /
    • pp.14-35
    • /
    • 2024
  •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cyberbullying among college students through Habermas'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o examine the dissonance between online interactions and principles of rational discourse. Cyberbullying is a pervasive issue in digital communication that undermines logical, evidence-based conversation, fostering environments where misinformation, manipulation, and harm thrive. By analyzing case studies from three universities, the research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dynamics, and emotional impacts of cyberbullying on victims, highlighting the role of social media platforms in facilitating these negative interactions. The findings reveal significant challenges to authentic and equal online conversations, driven by power imbalances and a lack of genuine communication, leading to psychological distress, erosion of self-esteem, and changes in behavior among victims. The study underscores the potential of social media design and policy interventions to mitigate cyberbullying, emphasizing the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technological solutions, and community support to promote a safer, more respectful digital environment. Key themes include the dynamics of cyberbullying, the suppression of rational discours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sequences of inauthentic communication, and strategies for resilience and recovery. The research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cyberbullying's complexities and suggests a multifaceted approach to addressing it, aligning with Habermas's ideal of communicative rationality to foster healthier online communities. Future research should further explore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design, user behavior, and regulatory policies to combat cyberbullying effectively.

담화 언어 코드로 본 과학 수업 양태의 학생 중심성 (Student-Centeredness of the Modality of Science Teaching Based on Discourse language Code)

  • 맹승호;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6-136
    • /
    • 2009
  • 학교 과학 수업은 그 실행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주체 상호간의 의사소통의 내용, 구조, 기능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과학 수업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교수법적 실천 양태의 차이를 명료화하고, 수업의 사회적 상황을 구조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학 수업의 이러한 특징은 과학 수업의 언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이 연구에서는 Bernstein의 코드 이론을 도입하여 광물 단원에 대한 중학교 과학 수업 사례에 대하여 수업 담화 언어 코드를 분석하였다. 연구 사례의 수업 담화 장면 별로 담화의 맥락 및 담화 참여자에 대한 권력 관계를 나타내는 범주구분의 정도와, 담화 주체간의 위계적 관계 및 담화 주도에 대한 통제 수준에 다른 범주구성의 정도를 파악하여 담화 언어 코드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광물 단원의 수업 담화 사례는 6가지 유형의 담화 언어 코드가 형성되어, 수업 담화의 측면에서 학생 중심 수업과 교사 중심 수업 사이에서 다양한 양상을 부이고 있었다. 담화 언어 코드이 변화 경향에 따라 과학수업 양태의 변화 양상은 '통제된 학생 중심성 유도 수업'에서 '지위적인 학생 중심성 허용 수업'으로, 그리고 '통제된 학생 참여 허용 수업'을 거쳐, '통제된 학생 중심성 촉진 수업'과 '학생 중심성 강화 수업'으로 다양하고 역동적인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 중심성이 강화된 과학 수업을 위해서는 학생의 담화 주도가 보장되는 약한 담화적 통제와 담화 주체간의 약한 위계적 관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화 언어 코드에 대한 교사의 자각이 구성주의 수업, 학생 중심 수업에 대한 교사의 지향과 맞물려 강화될 수 있다면, 학생 중심성이 강화된 수업의 실행이 가능해질 수 있음을 밝혔다.

영화 <여자, 정혜>에 연출된 자유간접화법의 의미 분석 (A Study on Free Indirect Discourse Emerged in the )

  • 김종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60-68
    • /
    • 2017
  •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현대영화의 자유간접화법의 형식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우선 자유간접화법과 관련한 개념 정립을 위해 바흐친의 화자와 인물의 목소리의 혼합이라는 다음성 이론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다음성 이론을 영화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소설과 영화의 형식적 차이를 간과할 수 없으며, 이에 필자는 필자의 선행 연구인 서사 거리(narrative distance) 개념에 기초하여 영화 저작도구인 카메라의 이중적 위치에서 영화의 자유간접화법의 가능성을 찾으려 한다. 이어서 필자는 들뢰즈가 "시네마II"에서 주창한 시간 개념을 도입하여 영화의 자유간접화법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즉, 들뢰즈에게서 시간은 과거와 현재의 순환이며 비유크리트적 공간처럼 시간도 순환한다고 본다. 이런 들뢰즈의 크리스털 이미지로서의 시간 개념을 영화 <여자, 정혜>의 분석 도구로 원용하여 영화 속 자유간접화법의 형식들을 이해하고자 한다.

Focus, Contrastive Topic and Theories of Focus

  • Wee, Hae-Kyung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5권1호
    • /
    • pp.87-105
    • /
    • 2001
  • This paper categorizes currently available theories of focus into two major types a 'discourse structure approach'(DSA) and a 'sentence structure approach'(SSA) The former DSA is intended to refer to a type of approach that analyzes focus only in terms of the discourse structure in which a focused sentence occurs. The alternative semantics approach which is the most widely available theory of focus belongs to this The latter SSA is meant to refer to a type of theory that analyzes focus in terms of sentence-internal structure, This study supports the SSA be revealing some empirical problems of the DSA that arise is analyzing two different kinds of focus, the A-accented focus and the B-accented focus (contrastive topic), and provides a brief sketch o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ocus and contrastive topi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