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ourse patter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어교육학에서의 담화 연구 분석 (Issues of Discours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강현화
    • 한국어교육
    • /
    • 제23권1호
    • /
    • pp.219-256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trend of discourse study i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 the main issues by investigating the literatures related to discour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last ten years. This study observed the discourse stud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study subject, study method and study data. Moreover, based on the results, it estimated the achievements and effectiveness of the discourse stud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ubject of discourse study was mainly dealt with discourse function, discourse pattern, discourse marker, discourse structure. In the study methods, analysis of corpus and survey were mainly used as the study methods, and spoken corpus, written corpus and semi-spoken corpus were used as study materials. In particular, the semi-spoken corpus was used at a very high rate among them. This showed that discourse stud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ainly focused on spoken corpus study. This study divided the detailed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o four fields of linguistic knowledge, communication function, teaching activities and learning activities, and observed the trends of discourse study in each field. Overall, it was recognized that relatively many studies were focused on linguistic knowledge, particularly in pragmatic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the study based on discourse has a language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at it is based on actual data and improves practical communication skills in the environment of various languages.

"Heart beating" of the classroom-Interaction in mathematics lessons as reflected in classroom discourse

  • Levenberg, Ilan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187-208
    • /
    • 2014
  • This study engages in the features of interac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lessons as reflected in the class discourse. 28 pre-service teachers documented the discourse during observation of their tutor-teachers' lessons. Mapping the interaction patterns was performed by a unique graphic model developed for that purpose and enabled providing a spatial picture of the discourse conducted in the lesson. The research findings present the known discourse pattern "initiation-response-evaluation / feedback" (IRE/F) which is recurrent in all the lessons and the teacher's exclusive control over the class discourse patterns. Hence, the remaining time of the lesson for the pupils' discourse is short and meaningless.

과학 수업 시간에 발생하는 교사-학생 간 교실 담화 분석 (Classroom Discourse Analysi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Science Classroom)

  • 한신;정진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159-17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교사와 학생간 I-R-E 패턴과 질문-대답 계열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6학년 과학 수업의 6차시 담화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 교사의 경우, I-R-E 패턴이 반복적으로 났다. 둘째, 경력 교사의 경우에는 초임교사에 비해 확장된 I-R-E 패턴이 나타났다. 셋째, 초임 교사의 경우, 독립 관계 구조가 다른 구조에 비해 더 많이 반복적으로 나타났지만, 경력 조사는 모든 종류의 질문-대답 계열이 -독립관계, 병렬관계, 삽입관계, 재구성관계 구조- 고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Patterns of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in Korean Science Classrooms

  • Shin, Myeong-Kyeong;Yager, Robert E.;Oh, Puil-Seo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1-73
    • /
    • 2003
  •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patterns of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Transcripts from Korea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were examined while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on classroom discourse was carried out. When it is assumed that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can be categorized into different patterns by considering together the apparent exchange structures and pedagogical functions, various patterns of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were revealed. Although most patterns found illustrate the centrality of the teacher, a few of them are considered alternatives to the typical IRE discourse. A framework for classifying teacher questioning discourse is suggested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discussed.

프랑스어의 대화 담화에 나타난 운율 연구 (Prosodic characteristics of French language in conversational discourse)

  • 고영림;윤애선
    • 음성과학
    • /
    • 제8권2호
    • /
    • pp.165-180
    • /
    • 2001
  • In this paper prosodic characteristics of French language are analysed with a corpus of radio interview. Intonation patterns are interpreted in terms of raising pattern, focal raising pattern and falling pattern. Accentual prominence is classified in two types, rhythmic accent and focal accent. Focal accent permit to explain the cohesion in a utterance or between two utterances. As a prosodic variable of discourse pauses are described by their form of realization (filled pause, silent pause, hesitation etc), their distribution and their function in utterance.

  • PDF

중학교 태양계 단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교실담화 사례분석 (The Case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of the Solar System)

  • 조은영;한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1호
    • /
    • pp.113-131
    • /
    • 2015
  • 이 논문은 중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간 교실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여 지구과학 전공 교사와 비전공 교사의 담화 유형 차이를 확인하고, 교사의 질문 유형과 담화 양상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3개 중학교에 근무하는 4명의 과학 교사 수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두 단계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Mortimer & Scott(2003)의 틀을 사용하여 담화 유형을 범주화 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교사의 질문 유형과 담화 양상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McNeill & Pimentel(2009)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교사의 질문을 4가지 유형의 질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모든 교사가 상호작용적이며 권위적인 담화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담화 양상은 교사의 질문 유형 보다는 학생의 반응에 대한 피드백과 더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가 학생의 반응에 긍정적인 수용의 태도로 지연 피드백을 사용할 때 대화적 담화가 더 잘 나타났다.

  • PDF

탈북학생들을 위한 수학 보충학습에서 담론 속에 나타난 오류유형과 담론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Errors & Discourse in a Supplementary Class for the Migrant Students from North Korea)

  • 고상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53-80
    • /
    • 2012
  • 본 연구는 연립방정식과 연립부등식에서 탈북학생들이 나타내는 오류의 유형과 수학적 담론의 특성을 파악하여 학습의 향상을 꾀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때 담론중심의 학습은 학생들을 수학적 언어의 공동체로 이끌어내는 수단이 되어 자신감을 극복할 수 있게 돕는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배경을 지닌 5명의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1학기 서울에 위치한 모OO 대안학교에서 보충수업일환으로 8차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학습과정은 녹음되어 전사되었고, 학생의 학습지, 연구자의 관찰지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로는 탈북학생들은 기술적 오류, 기록오류, 잘못 이해된 기호, 잘못 해석된 언어, 한자어 해석오류를 보였고, 담론은 제 0수준으로부터 서서히 상위수준으로 향상은 보였으나 최상의 수준인 제 2수준~3수준은 단편적으로만 나타났다. 그러나 담론의 요소인 설명하기와 정당화하기가 활성화되면서 상호작용의 ERE 패턴에서 Ev(평가)와 Eb(정교화)가 증가하는 긍정적인 양상을 보였다.

  • PDF

An Exploratory Analysis of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s and Science Teaching Interactions in Earth Science Classes

  • Shin, Myeong-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21-530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o characterize the earth science inquiry in schools in terms of science teaching interaction and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 The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s were analyzed with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RTOP) in three aspects including (1) student oriented class implementation, (2) subject knowledge and representation, and (3) classroom communication. Fourteen earth science classes were observed and scored with RTOP. The class was evaluated to be transitional stage in terms of constructivist teaching, e.g., moving toward student-centered teaching practice. Especially, Korean teachers tend to lean their classes more on propositional knowledge than procedural knowledge. To interpret science teaching interactions, an earth science teacher with a RTOP top rank was selected. Her class was then videotaped for detailed analysis. I adopted the analytical framework of communicative approaches and discourse patterns among the five aspects of interactions presented by Mortimer and Scott (2003). It was found that this earth science teacher used more authoritative patterns than the dialogic. In addition, she used IRE discourse pattern more frequently. Interestingly, teachers interacted with their students more frequently in the form of repeated (or IRE chain pattern), that is IRFRF (teacher initiation-student response-teacher feedback-student response-teacher feedback) in the context of dialogic communicative approaches, while simple IRE occurred in an authoritative approach. In earth science classrooms, typical interaction may well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IRFRF chains to allow students free conjectures and abduction.

논증 담화 분석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논증활동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분석을 중심으로 (Methodological Review of the Research on Argumentative Discourse Focused on Analyzing Collaborative Construction and Epistemic Enactments of Argumentation)

  • 맹승호;박영신;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40-862
    • /
    • 2013
  •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논증 담화를 분석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들을 제안했던 최근의 주요 선행 연구들을 논증활동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측면에서 방법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된 논증 담화 분석 방법의 성과와 제한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논증 담화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 이 논증 담화 분석법을 실제 과학 수업의 논증 담화에 적용하여 그것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과학 수업의 논증 담화에 대한 선행 연구 중 Toulmin의 논증 틀을 논증 담화 분석에 적용한 연구, 논증의 구조, 내용, 및 정당화 과정을 종합적으로 조사하는 논증 담화 분석 방법을 모색한 연구, 그리고 논증 담화의 증거에 기반한 추론 과정을 강조한 연구들을 선정하였다. 또한, 담화 레지스터와 증거-설명의 연속선에 기반한 대안적 논증 담화 분석 방법으로서 DREEC을 고안하였고, DREEC을 수업 담화 사례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선행 연구들에 사용된 논증 담화 분석 방법들은 주로 Toulmin의 논증 틀에서 제시한 논증 구성 요소의 유무에 근거하여 논증의 구조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논증 담화의 정량적 분석 및 비교는 가능한 반면, 논증의 정당화 과정 및 인식적 실행의 전개 과정에 기반한 논증의 질적 기술 및 비교가 어려웠고, 논증 담화 참여자들의 협력적 논증 구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에 DREEC은 주제부/설명부 간에 형성된 연결 관계와 자료, 증거, 패턴, 및 설명에 이르는 연결 관계를 통해 논증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흐름에 기반하여 논증의 정당화 과정을 분석할 수 있었다.

발표 담화에서의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비교 연구 -발화 속도, 휴지, 담화표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Oral Fluency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L2 Korean Learners in Speech Discourse - With Focus on Speech Rate, Pause, and Discourse Markers)

  • 이진;정진경
    • 한국어교육
    • /
    • 제29권4호
    • /
    • pp.137-16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basis for a more objective evaluation of oral fluency by comparing speech pattern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L2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speech materials of the 21st century Sejong spoken corpus and Korean learner corpus. We compared the oral fluency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based on speech rate, pause, and discourse mark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ttern of Korean learners is different to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 in all aspects of speech rate, pause, and discourse markers; even though proficiency of Korean leaners show increase, they could not reach the oral fluency level of Korean native speakers. At last,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we added suggestions for setti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oral fluency of Korean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