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Errors & Discourse in a Supplementary Class for the Migrant Students from North Korea

탈북학생들을 위한 수학 보충학습에서 담론 속에 나타난 오류유형과 담론의 특성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errors and discourse in simultaneous equations and inequalities for migrant students from North Korea. 5 sample students participated, who attended in an alternative school for the migrant students from North Korea at the study in Seoul, Korea. A total of 8 lesson units were performed as an extra curriculum activity once a week during the 1st semester, 2011.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showed technical errors, encoding errors, misunderstood symbols, misinterpreted language, and misunderstood Chines characters of Koreans and the discourse levels improved from the zero level to the third level, but the scenes of the third level did not constantly happen. Nevertheless, the components of discourse, explanation & justification, were activated and as a result, evaluation & elaboration increased in ERE pattern on communication.

본 연구는 연립방정식과 연립부등식에서 탈북학생들이 나타내는 오류의 유형과 수학적 담론의 특성을 파악하여 학습의 향상을 꾀하고자 시도되었다. 이 때 담론중심의 학습은 학생들을 수학적 언어의 공동체로 이끌어내는 수단이 되어 자신감을 극복할 수 있게 돕는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배경을 지닌 5명의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1학기 서울에 위치한 모OO 대안학교에서 보충수업일환으로 8차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학습과정은 녹음되어 전사되었고, 학생의 학습지, 연구자의 관찰지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로는 탈북학생들은 기술적 오류, 기록오류, 잘못 이해된 기호, 잘못 해석된 언어, 한자어 해석오류를 보였고, 담론은 제 0수준으로부터 서서히 상위수준으로 향상은 보였으나 최상의 수준인 제 2수준~3수준은 단편적으로만 나타났다. 그러나 담론의 요소인 설명하기와 정당화하기가 활성화되면서 상호작용의 ERE 패턴에서 Ev(평가)와 Eb(정교화)가 증가하는 긍정적인 양상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