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diffusion assay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8초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Honey Bee Venom against Bacterial Mastitis Pathogens Infecting Dairy Cows

  • Han, Sang-Mi;Lee, Kwang-Gill;Yeo, Joo-Hong;Kweon, Hae-Yong;Kim, Bong-Soon;Kim, Jae-Myung;Baek, Ha-Ju;Kim, Soon-T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4권2호
    • /
    • pp.137-142
    • /
    • 2007
  •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Korean honey bee venom (KBV) was examined against seven major bacterial mastitis pathogens, Enterococcus faecium, Escherichia coli,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intermedius, Streptococcus oralis and Streptococcus uberis isolated from infected mammary quarters of cows. Seven bacterial mastitis pathogens were studi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KBV by disc diffusion assa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and bacterial count in milk samples. The KBV showed activity against Ent. faecium, E. coli, MRSA, Staph. aureus, Strep. intermedius. The order of susceptibility of the bacteria against the KBV was Staph. aureus>MRSA>E. coli>Strep. intermedius>Ent. faecium>Strep. oralis>Strep. uberis. The MIC against Staph. aureus, MRSA and E. coli were stronger effect as compared with standard drug. The effect of the KBV ($100{\mu}g\;ml^{-1}$) on the viability of Ent. faecium, E. coli, MRSA, Staph. aureus, Strep. intermedius, Strep. oralis and Strep. uberis in milk differed significantly with each other within 12 h incubation period. The results indicate that KBV has significant antibacterial effects against major bacterial mastitis bacteria, Ent. faecium, E.coli, MRSA, Staph. aureus, Strep. intermedius.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e potential use of KBV as alternative to antibiotic therapy.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hough to confirm its efficacy and its effects on the animals.

찔레꽃 에탄올추출물의 생리활성과 화장품 방부효과 (Biological Activity and Cosmetic Preservative Effects of Rosa multiflora Ethanol Extracts)

  • 김현우;조하늘;유병완;김지효;이태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8-316
    • /
    • 2018
  • Background: The Rosa multiflora, a well-known plant belonging to Rosacea, is widely used in orthodox medicine in worldwide. However, its biological activity and cosmetic preservative efficacy have not yet been studied. Thus, this species is yet to be defined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Accordingly, an investigation of the above mentioned atrributes was performed on a 50% ethanol extract of Rosa multiflora. Methods and Result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throug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s with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dditionally,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flavonoids were analyzed. The phenolic compounds were detected using HPLC.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and Candida albicans was assessed using the disc diffusion assay. The preservative effect (challenge test) on a formulation of soothing gel was performed for 28day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denoted by the $SC_{50}$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for DPPH radical scavenging) value was found to be $131.63{\mu}g/m{\ell}$.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ere 202 mg/g and 86.77 mg/g, respectively. In additon, astragalin and gallic acid were identified in the extrac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against S. aureus and E. coli was observed to be 5 - 0.5%, and no significant activity was noted against C. albicans. The ethanol extracts (5% and 10%) met the preservation standards of the Cosmetics,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 Conclusions: Thus the ethanol extract of R. multiflora can be used in cosmetics as a natural preservative and antioxidant.

Antimicrobial efficacy and safety analysis of zinc oxide nanoparticles against water borne pathogens

  • Supraja, Nookala;Avinash, B.;Prasad, T.N.V.K.V.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127-140
    • /
    • 2017
  • Metal nanoparticle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within the past decade. Nano-sized materials have been an important subject in basic and applied sciences. Zinc oxide nanoparticle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due to their unique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UV filtering properties, high catalytic and photochemical activity. In this study, microbiological aspects of scale formation in PVC pipelines bacteria and fungi were isolated. In the emerging issue of increased multi-resistant properties in water borne pathogens, zinc oxide (ZnO) nanoparticle are being used increasingly as antimicrobial agents. Thus, the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and minimum fungal concentration of ZnO nanoparticles towards pathogens microbe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suggested that ZnO nanoparticles exhibit a good anti fungal activity than bactericidal effect towards all pathogens tested in in-vitro disc diffusion method (170 ppm, 100 ppm and 30 ppm). ZnO nanoparticles can be a potential antimicrobial agent due to its low cost of production and high effectiveness in antimicrobial properties, which may find wide applications in various industries to address safety issues. Stable ZnO nanoparticles were prepared and their shape and size distribution characteriz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35.7 n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TEM study for morphology identification (20 nm), UV-visible spectroscopy (230 nm), X-ray diffraction (FWHM of more intense peak corresponding to 101 planes located at $36.33^{\circ}$ using Scherrer's formula), FT-IR (Amines, Alcohols, Carbonyl and Nitrate ions), Zeta potential (-28.8).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ZnO nanoparticles was investigated against Bacteria and Fungi present in drinking water PVC pipelines biofilm. In these tests, Muller Hinton agar plates were used and ZnO nanoparticles of various concentrations were supplemented in solid medium.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Efficiency of Swietenia macrophylla Seed Extract on Clinical Wound Pathogens

  • Gopalan, Hanan Kumar;Md Hanafiah, Nor Faizzah;Ring, Leong Chean;Tan, Wen-Nee;Wahidin, Suzana;Hway, Teo Siew;Yenn, Tong Woei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5권1호
    • /
    • pp.38-43
    • /
    • 2019
  • Microbial wound infection prolonged the hospitalization and increase the cost for wound management. Silver is commonly used as antimicrobial wound dressing. However, it causes several adverse side effects. Henc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efficiency of Swietenia macrophylla seed extract on clinical wound pathogens. Besides, the bioactive constituents of the seed extract were also determined. S. macrophylla seed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by maceration method. The seed extract inhibited 5 test bacteria and 1 yeast on disc diffusion assay.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broad spectrum, as the extract inhibited both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On kill curve analysi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eed extract was concentration-dependent, the increase of extract concentration resulted in more reduction of bacterial growth. The extract also caused 99.9% growth reduction of Bacillus subtilis relative to control. A total of 21 compounds were detected in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analysis. The predominant compounds present in the extract were oleic acid (18.56%) and linoleic acid (17.72%). In conclusion, the methanolic extract of S. macrophylla seeds exhibited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on clinical wound pathogens. Further investigations should be conducted to purify other bioactive compounds from the seeds of S. macrophylla.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Extracts)

  • 원두현;구현아;김혜진;한샛별;박진오;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84-29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원료로서 삼지구엽초의 응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균 효과와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피부상재균에 대한 disc diffusion assay에서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낸 분획-균에 대해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항균 활성과, S. aureus에 대한 50% 에탄올 분획의 항균 활성은 대표적인 방부제인 methyl paraben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는 삼지구엽초의 세 분획 모두 대표적 항산화제인 (+)-${\alpha}$-토코페롤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Fe^{3+}-EDTA/H_2O_2$ 계를 이용해 다양한 ROS에 대한 총 항산화 활성($OSC_{50}$)을 실험한 결과, 50% 에탄올 추출물($OSC_{50}=2.46{\pm}0.06{\mu}g/ml$)과 아글리콘 분획($OSC_{50}=1.45{\pm}0.02{\mu}g/ml$)은 비교 물질인 L-ascorbic acid($OSC_{50}=1.50{\pm}0.85{\mu}g/ml$)과 유사한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광증감 반응을 이용한 세포 보호 효과(${\tau}_{50}$) 실험에서 50% 에탄올 추출물(${\tau}_{50}=37.0{\pm}0.3$ min)은 비교 물질인 (+)-${\alpha}$-토코페롤(${\tau}_{50}=38.0{\pm}1.8$ min)과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다. 특히 아글리콘 분획의 ${\tau}_{50}$$165.9{\pm}7.2$ min으로 비교 물질인 (+)-${\alpha}$-토코페롤에 비해 4배가 넘는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삼지구엽초 추출물은 항균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한약재의 항균 활성 및 인간 적혈구 용혈 활성 (Antimicrobial and Hemolytic Activity of Oriental Medicinal Herbs)

  • 류희영;안선미;신용규;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90-197
    • /
    • 2010
  •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항균제 개발을 목표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및 수입산 한방 생약재 61종류로부터 원산지별,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 68종을 조제하고 이들의 항균활성을 평가하였다. 사용한 생약재는 중국산 46종, 국내산 14종, 북한산 5종 및 베트남산 3종이었으며, 사용 생약재의 부위로는 뿌리가 27종으로 많았으며, 열매, 껍질, 줄기, 잎, 종자, 꽃, 균핵, 꽃가루 순이었다. 생약재의 평균수분함량은 7.10% 이었고, 에탄올에 대한 평균 추출율은 6.75%를 나타내었다. Disc-diffusion법에 의한 생약재의 항균활성 결과, 고본(중국산), 팔각향, 등심초, 오배자, 단삼 및 정향에서 광범위한 항세균 및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최소생육억제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MFC)를 평가한 결과, 정향에서 다양한 세균, 진균에 대해1.25 mg/mL의 MIC와 1.25~5.00 mg/mL의 MBC/MFC를 나타내어 가장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으며, 등심초, 오배자, 단삼에서는 Escherichia coli와 Pseudomonas aeruginosa 를 제외한 세균에서 0.08~0.63 mg/mL의 MIC와 0.08~2.50 mg/mL의 MBC/MFC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세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68종 시료의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 평가 결과, 고본(중국산) 추출물이 $500\;{\mu}g/mL$ 농도에서 17.8%의 용혈활성이 나타나, 이를 제외한 팔각향, 등심초, 오배자, 단삼 및 정향 추출물을 천연항균제 한방자원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피부 병원균에 대한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항균 시너지 효과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Sargassum serratifolium (C. Agardh) C. Agardh Extract against Human Skin Pathogens)

  • 김윤혜;김지훈;김덕훈;김송희;김형락;김영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41-246
    • /
    • 2016
  • S. aureus, S. epidermidis, P. aeruginosa, P. acnes와 C. albicans는 사람의 피부에서 발생하는 질병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대표적인 병원성 미생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 중에서도 항균 활성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모자반을 대상으로 피부 병원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조사하였다. 국내의 연해에 자생하는 7종의 모자반 추출물 중에서 disc diffusion assay와 MIC assay를 통해 가장 뛰어난 항균 효과를 나타낸 톱니모자반을 후속 연구를 위한 후보 물질로 선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층 중에서, 노말-헥세인 분획층이 S. aureus, S. epidermidis, P. aeruginosa, P. acnes 및 C. albicans에 대한 MIC값이 $32-256{\mu}g/mL$로 가장 뛰어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피부 병원균들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지만 내성균의 출현으로 효능이 거의 없는 항생제들인 테트라사이클린, 에리트로마이신, 린코마이신과 플루코나졸과 항균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난 톱니모자반의 노말-헥세인 분획층과의 병용 사용에 의한 항균 시너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톱니모자반 노말-헥세인 분획층과 이들 항생제와의 병용 사용에 의해 피부 병원균에 대한 항생제와 톱니모자반 노말-헥세인 분획층의 MIC값이 4-32배 감소되었고, 톱니모자반 노말-헥세인 분획층과 이들 항생제와의 병용 시 median FIC값이 0.26-0.55로 항균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항생제와 톱니모자반 노말-헥세인 분획층과의 병용 사용은 피부 병원균에 대한 이들 항생제의 감수성을 회복시키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와송 다당체 및 올리고당류의 생리 활성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Polysaccharides and Oligosaccharides of Orostachys japonicus)

  • 김기훈;김은영;김예운;백금옥;김한복;이동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34-341
    • /
    • 2004
  • 와송으로부터 고온 고압의 열수 추출로 다당체 조추출물(OJP1)을 얻어 디스크 확산법, fluorescein diacetate(PDA)법 및 액체 배지 희석법을 통하여 세균과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Sephadex G-50을 통하여 다당체(FI)와 올리고당류(FII)를 분리하고, 이들의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FI과 FII의 분자량은 각각 30$\~$50 kDa과 1$\~$3 kDa으로 추정되었다. OJP1의 항균 효과는 디스크 확산법에서 Candida albicans가 $20\pm4.9\;mm$의 억제대로 가장 높았으며, Salmonella typhimurium과 Staphylococcus aureus도 각각 $18\pm2.0\;mm$$17\pm1.0\;mm$의 억제대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Escherichia coli와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서도 양성 대조군인 프로폴리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FDA법, 액체배지 희석법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OJP1과 Fl, FII의 인체 암세포주와 Sarcoma 180 세포주에 대한 항암 활성을 측정해 본 결과, 이들은 모두 MTT assay와 형태 변화 관찰에서 강력한 암세포주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와 자궁 경부암 세포주인 HeLa 세포, 위암 세포주인 AGS에서 현저한 효과를 보였다. 더 나아가 DNA 분절화를 통해 apoptosis 유발 여부를 확인해 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서 이들 물질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apoptosis발생을 뜻하는 DNA 분절화 현상이 뚜fut하게 나타났다. 요컨대, OJP1과 Fl, FII는 광범위한 병원성 균주에 대하여 효과적인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각종 암세포주에 대하여 현저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가 감귤 정유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Citrus Essential Oil)

  • 김현주;조철훈;이나영;손준호;안봉전;육홍선;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97-804
    • /
    • 2005
  • 폐자원을 이용한 기능성 신소재 개발 연구를 위해 감귤 음료 가공 중 생성되는 부산물인 감귤 과피를 추출·정제하여 얻어진 감귤정유의 생리활성 효과를 검증하고 감마선에 의한 영향도 확인하였다 감귤 정유의 limonene의 함량은 $88.3\pm1.30\%$로 나타났으며 감마선 조사한 시료에서도 limonene의 함량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귤 정유의 전자공여능은 약 70$\%$로 나타났으며 돈육에 감귤 정유 첨가 시 지질산패가 억제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글 정유에 대한 항균 활성은 paper disc diffusion test 결과를 바탕으로 농도에 따른 생육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yeast는 250 ppm에서, bacteria는 $2,500\~5,000$ ppm에서, mold는 $5,000\~10,000$ ppm에서 생육이 억제되어, yeast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실험 결과 대부분의 암세포에서 약 $90\%$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Ames test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는 $200\mu g/plate$이 하일 때 감귤 정유의 돌연변이 원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적인 시험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한 생리활성 변화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 및 공중보건제품 소재로서 가공부산물인 귤 정유는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니파팜, 몰로키아, 핑거루트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기능적 특성 분석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Extracts from Nipa Palm, Molokhia, and Finger Root for Cosmetic Ingredients)

  • 전유진;이소현;허소정;진병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821-829
    • /
    • 2019
  • 본 연구는 니파팜(nipa palm), 몰로키아(molokhia) 및 핑거루트(finger root) 추출물들이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활성원료로 적용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추출물들은 에탄올로 가열 환류, 여과, 농축 및 동결 건조 등의 공정을 통해 얻어졌다. 적분구가 장착된 UV-vis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추출물의 자외선 흡수 및 차단 효과를 살펴보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분석 실험을 통해, 추출물 간의 항산화 활성 및 그의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Folin-Ciocalteu시약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황색포도상구균(그람양성)과 대장균(그람음성)에 대한 디스크 확산 시험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콜라게나아제 활성저해 분석시험을 통해 추출물의 주름방지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에서 니파팜 추출물은 항산화제 및 주름 방지제로, 핑거루트 추출물은 선 스크린제 및 항균제로 화장품에 사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