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prevention plan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9초

낙석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낙석위험지역 관리체계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ystem of Rockfall Risk Area Using the Rockfall Analysis Program)

  • 강배동;정재채;장창덕;전계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79-86
    • /
    • 2022
  • 국립공원공단에서는 낙석위험지역에 낙석방지시설(낙석방지망, 낙석방지울타리, 피암터널 등)을 설치하거나 우회탐방로를 개설하는 등 안전 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나 겨울철 이상 고온, 지반의 노령화로 인한 풍화와 절리현상으로 매년 낙석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존 낙석위험지역 관리방안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치악산 국립공원 황골지구를 대상으로 하여 낙석 발생의 위험이 있는 시범지역을 선정한 후 Rockfall 프로그램을 이용한 낙석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따라 시범지역에 계측시스템과 결합한 대책공법을 적용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낙석의 지속적 관리와 모니터링을 위한 낙석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재난관리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the Korean Disaster Adminstration System)

  • 최권중
    • 시큐리티연구
    • /
    • 제4호
    • /
    • pp.343-363
    • /
    • 2001
  •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 part. With the development of modem science and technology, the world has experienced serious disaster. Each occurrence of such disaster has reminded the people all over the world of the importance of coping with the disaster and therefore all the countries have set up the disaster administration system to handle their disasters in efficient way. The principal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ways and means needed to improv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Chapter 2 introduces the reader to a disaster management theory Chapter 3 dealt with the problems on the disaster administration system, under which the first and second section mention the points at issue in the system of law and administration of our country, respectively, Chapter 4 dealt with the plan to improve the disaster adminstration system under which the first section describes its basic direction while the second section describes the clarification of the role share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body, beefing up the functions of disaster administr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body. establishment of disaster prevention system, activation of support program against disaster, raising the professional personnels, extending the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etc. Chapter 5, the conclusion, describes the difficulties in coping with the disaster under the existing disaster administration system. Therefore, the entire fundamental of disaster administration is in need such as distinct rol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body, improving the systems of law and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training, and guidance and superintendence, etc. In addition, the control function of the concerned authorities must be reinforced to perform the disaster administration system smoothly while establishing 24 hour emergency system. Also,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technical study on the disaster administration should be done continuously on long-term basis.

  • PDF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Industrial Disaster Prevention)

  • 이승호;정도영;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69-1076
    • /
    • 2012
  • 본 연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해 산업안전보건교육의 방안을 개선하기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대상자는 강원도 소재 5개의 제조업 업체에 근무하는 근로자 16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0년 3월 15일부터 4월 15일 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제조업 근로자의 76.6%가 교육장을 가지고 있었으나, 산업안전보건교육은 약 44.3%의 근로자가 현장사무실에서 교육을 받고 있었다. 교육 수단은 대부분 주입식 강의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산업안전보건교육은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에 대한 고려 없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제조업의 근로자에게 실시되는 산업안전보건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교육은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를 고려한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동해안 하천 하구부의 하천재해 방지를 위한 수리특성 분석 (Hydraulic Characteristic Analysis for Prevention of River Disaster at Estuary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최종호;전계원;윤영호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83-89
    • /
    • 2018
  • 동해안 하천의 하구는 토사퇴적이 현저하게 진행되는 곳으로 하천과 바다의 소통이 단절되는 하구폐색현상이 발생하는 곳이 많다. 하구폐색은 수역을 정체시켜 수질악화 및 홍수시 안전도를 위협하는 등 하천 환경적으로 위험지역을 형성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구폐색에 의해 방재기능이 상실 된 하구를 대상으로, 안정하도를 유지하고 홍수량을 안전하게 소통시킬 수 있도록 하구사주 부근의 유심부를 기준으로 유로의 위치와 폭 등을 변화하여 가장 안정된 흐름을 형성할 수 있는 유로의 형태를 찾고 그 결과를 검토하기 위해 2차원 수리학적 해석 모형인 SRH-2D(ver 3.0) 모형을 이용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결과 유심부 주변 하구사주의 하상고를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낮춰 주는 방법이 수리특성의 변동에 민감하지 않고 유수를 원활히 소통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자체방제계획서 검토기준 마련 연구 (A Study on the Self-Prevention Plan System)

  • 김성범;노혜란;이진선;김정민;안승영;석광설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50-55
    • /
    • 2013
  • 자체방제계획서 검토기준과 검토서는 공정안전보고서, 안전성향상계획서 등 안전관리제도의 심사내용과 기준, 심사양식에 관한 고시 및 지침을 분석하였다. 심사 담당인력과의 인터뷰를 통해 심사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사전 파악하여 연구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자체방제계획서 작성항목에 따라 서류검토 및 현장이행실태 등의 검토방법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자체방제계획서 검토는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 규정되어 있으나, 실질적인 승인절차가 없어 성과가 미흡했던 "자체방제계획서 검토제도"를 활성화 시키고, 검토반 구성을 통한 업무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가재난관리 시스템과 민간 방재IT기술의 지능정보기술 적용 사례고찰을 통한 상호 연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connection betwee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Private Disaster Prevention IT Technology through Application)

  • 김재표;김승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5-22
    • /
    • 2020
  • 재난예방단계와 사회재난분야의 관리강화를 위해 지능정보기술(ICBMA, IoT, Cloud, Big Data, Mobile, AI) 활용하여 상호 연계한 To-Be 재난관리시스템 제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민간Moble, IoT등에서 생성되는 재난발생 전후시기에 재난징후의 Big Data와 분석 결과로 초지능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현재 재난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할 수가 있다. 재난징후의 Big Data를 AI의 지도, 비지도 강화훈련 학습으로 사용자에게 적시에 맞춤식 제공이 가능하고 장기적으로 재난대처 능력이 향상될 뿐 만 아니라 예방단계 중심의 관리 능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방재력 향상을 위한 방재마을 만들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talizing a Project for Building a Disaster Resistant Community to Enhance Local Disaster Prevention)

  • 권건주;한기원;백민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47-56
    • /
    • 2009
  • 2008년부터 소방방재청이 추진하고 있는 방재마을 만들기 시범사업을 조기에 정착하고 전국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서 법률적인 측면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에 방재도시(마을)의 지정에 관한 조항 신설과 지방자치조례로 "(가칭) 방재마을 만들기 조례"를 제정하는 등 법적기반을 마련하여야 하고, 행정계획적 측면에서는 주민주도형 방재마을 사업계획서의 수립과 더불어 사업내용이 구조적인 컨텐츠 뿐만 아니라 비구조적인 컨텐츠에도 일정규모의 사업비를 배분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조직적 측면에서는 지역 방재리더 육성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지역사회의 공식적 비공식적 조직간에 지역방재 거버넌스 체제도 구축하여야 하며, 방재전문가에 의한 사전 컨설팅제도 및 사업추진과정에 대한 평가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

재난기술·정보 공유를 위한 글로벌체계 플랫폼 개발 (Developing a Platform of Platform for Disaster Technology and Information Sharing)

  • 이영재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3-19
    • /
    • 2012
  • 기후변화적응과 재해위험경감 관련 정보 및 기술을 공유하기 위한 글로벌 체계 구축이 연구목적이다. 체계는 아시아태평양국가들의 성과를 모니터링 하는 플랫폼, 예방및경감 기술들을 공유하기 위한 플랫폼, 이러닝 교육 플랫폼과 재해위험경감 주제 관련 정보 제공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플랫폼은 한국 전자정부 표준 기본구조를 채택하여 개발된다.

방재서비스디자인 프레임워크 연구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Framework)

  • 하광수;반영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2-60
    • /
    • 2016
  • 최근 세계 곳곳에서 사회 이면에 도사린 위험요소가 재해로 연결되면서 수많은 재산/인명 피해를 끼치는데 그치지 않고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경제발전의 결과로 도시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경제의 규모도 커지면서, 여러 인적/사회적 재난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악순환에 빠져있다. 이런 심각성 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재난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지속되었으며 학문의 영역 또한 빠르게 복합화 되면서 확장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재난과 방재측면에서 그간의 연구방향 이었던 방재학적, 방재공학적, 사회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서비스디자인 관점으로 접근함으로서 대안적 연구를 시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 재난과,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개괄을 알아보고 방재 프로젝트에 적용함으로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방재서비스디자인을 정의하고 논의 하고자 하였다. 이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연구 방법론을 적용 검증함으로서 교과서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실 적용측면에서의 논의를 진행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방재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와 플랫폼을 통해 방재서비스디자인을 정의 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방재서비스디자인을 통해 재난의 전후 전 단계에서 재난과 관련된 유/무형의 여러 요소를 디자인적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게 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지진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DB 구축 및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Plan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DB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 김수겸;장용구;김창규;강인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9호
    • /
    • pp.49-56
    • /
    • 2013
  • 우리나라의 지난 33년간 지진발생 추이를 보면 3.0 이상의 지진이 연간 평균 약 9회에 걸쳐서 일어나고 있으며, 지진의 진앙지 역시 해안가에서 내륙지방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처럼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지진방재용 통합 지하공간정보활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는 지진 재해 취약지역의 지질 및 지반 특성 파악 자료가 부족하므로, 전국 단위로 신규 지질, 지반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기존의 지하공간정보와 공동 활용을 통한 지진방재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 방재를 위하여 요구되는 지하공간정보 DB의 구축범위를 결정하고, 지하공간정보의 정적 및 동적 DB에 대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축된 지진 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진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DB의 범위, 구축 및 활용 방안의 수립으로 구축되는 지진방재용 지하공간정보는 소방방재청의 지진 및 급경사지 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및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