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students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44초

보건의료학생의 신체적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Attitudes of Health Care Professional Students toward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 김기경;김양지;채정원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6
    • /
    • 2007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of health care professional students toward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15 health care professional students in one universit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SPSS 12.0. Results: The mean score for attitude was 3.49(SD=.2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 for attitude according to gender, major, family with disability, having social interactions and meeting as a clinical case. The attitudes of health care professional students correlated to the gender and having social interactions $(R^2=38%)$.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intimate contact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for health care professional students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PDF

장애친화적 캠퍼스를 위한 교육복지시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Welfare Facilities for Disability-friendly Campus)

  • 김학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25-3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sign guidelines necessary for creating disability-friendly campuses. To this end, a literature survey and a survey on the current educational welfare facilities for disabled college students were conducted. The fact-finding survey was conducted in writing and visiting evaluations on 19 campuses located in Gangwon-do(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llege enrollment rate of the disabled has doubled since 2000, but it was found to be half of the enrollment rate based on school enrollment,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gave up in the middle is increasing. This is due to an obstacl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welfare facilities. 2)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tatus of educational welfare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evaluation result was improved, but the absolute evaluation result was less than 70%, and it was not improved. 3)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intermediate facilities, indoor facilities, sanitary facilities, guidance and other facilities, and unit spaces,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improve them due to the lack of disabled parking marks, continuity of access roads, pedestrian safety passages, lifts, and rest areas for the disabled.

대학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Services Model for Disabled Users in University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3-91
    • /
    • 2009
  • 장애인에 대한 도서관 현황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학의 장애인 학생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장애인 학생들에 대한 지원 및 서비스가 필요해짐에 따라 대학도서관의 장애인 지원 시설, 장비 및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조사결과, 많은 대학도서관의 경우 이와 같은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법률적 기반이나 기준에 근거한 대응방안의 마련보다 부분적인 지원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각각의 대학도서관에 장애인을 위한 모든 자료를 구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장애인 전담사서 지정에 의한 서비스 제공 및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관련기관, 단체, 협회 및 특수도서관과의 협력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홈페이지를 이용한 장애인 서비스의 안내 및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이용안내서 제작 등 적극적인 홍보방안도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경북지역 발달장애아동의 식행동과 영양소 섭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in Gyeongbuk Area)

  • 윤민아;최영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1호
    • /
    • pp.44-56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s compared with non-disabled children and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18 students ($4^{th}$ and $5^{th}$ grade) of four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244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control group). Th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 questionnaire and an interview. Of the disabled children, children with a mental disorder comprised 72.9% and those with emotional disorders including autism comprised 26.3%. The average percentages of height and weight to standards for ag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disabled female children as compared with the non-disabled female children. Scores for table utensil handling skills, eating behavior, and an unbalanced diet were lower in the disabled children compared with those in the non-disabled children. Dietary behavior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either gender or age in the disabled children. Mean energy intake was less than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in both groups. Nutrients taken at less than the recommended intake level were calcium, iron, vitamin A, and folate in both groups. Food behavior score at mealtime, personal hygiene score at mealtime, and an unbalanced diet scor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ron and vitamin A intake in disabled male children. Personal hygiene score at mealtim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lcium, iron, and vitamin A intake, and unbalanced diet sco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ron and vitamin A intake in disabled female children. Although the nutritional status of disabl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was appropriate in general, improvement in their dietary behaviors through education and practice would allow them to eat balanced diets with essential nutrients.

과학관의 장애학생을 위한 시설과 프로그램 및 전시물 조사 (A Survey on Facilities, Educational Program and Exhibition in Science Muse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임성민;김소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80-69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과학관에서 장애학생들을 위한 과학 교육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19곳의 과학관을 선정하여 각 과학관별로 교육시설 및 편의시설, 교육 프로그램, 전시물 등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각 과학관에 대하여 인터넷 정보 검색, 방문 조사 및 면담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19곳 과학관의 편의시설 평균 점수는 84.3점으로 법적기준인 100점에 비하여 미흡한 편이다.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11곳의 과학관에서 이동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어서 지리적으로 소외된 오지 뿐 아니라 접근성이 부족한 장애학생에게도 찾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었으나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2개에 불과했다. 전시물 분석 결과 대부분의 과학관에서 기초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관람객들의 작동에 의해 움직이는 동적 전시물들이 주를 이루었고, 그 중 체험전시물의 경우 신체와 오감각을 이용한 전시물과 멀티미디어형 전시물이 많았으나, 전시물의 장애학생 고려는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점자안내와 음성안내 외에는 부족한 편이다. 전반적으로 국내 과학관의 장애학생을 위한 시설과 프로그램 지원은 미흡한 편이지만, 현재 프로그램을 장애학생을 포함하여 확대하거나 장애학생의 접근성을 고려한 전시물 안내 등을 포함하여 장애학생의 과학관 활용 가능성을 보완할 수 있다.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 충청도 대학을 중심으로 - (A Surve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 Focusing on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 전미영;이한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13
    • /
    • 2017
  •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은 선천적 장애보다 후천적 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지속되어 후천적 장애로 인한 발생률이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특히, 대학생은 생애주기별 발달에 따라 성인기 초기라 할 수 있는데, 이 시기는 다양한 대인관계와 획일화된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대학 교육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자기 자신만의 생각과 이념을 정립해 가는 시기이다. 따라서 사회에 진입하기 바로 전 시기인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부정적인 편견이나 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그것을 긍정적인 태도로 개선시킬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도지역 13곳의 대학교를 방문하여 무작위로 설문을 조사하여 총 250명의 설문 중 235명의 설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SPSS(ver.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일시적이고 이벤트적인 교육이 아닌 올바른 정보 및 지식, 인권, 장애, 다양성 등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은 지역이 한정되어 있어 전국의 대학생으로 일반화하기 힘들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장애인을 고려한 대학캠퍼스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on Campus for the Disabled)

  • 조철호;임상관;소준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호
    • /
    • pp.59-69
    • /
    • 1999
  •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one of our whole life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regarding job training opportunities are academic goal achievement. However it is usual for the disabled students to be deprived of their opportunities to study and to prepare their future life on campus because of physical obstacles of campus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what are the physical obstacles on campus, how to use the college'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o achieve their academic goals and the have job training opportunities just like ordinar students, and how improve the campus environment which is based on concept Universal Design

  • PDF

장애 대학생 도우미 경험과 진지한 여가 (The Assistant Experiences for Disabled College Students and the Serious Leisure)

  • 임진선;이철원
    • 여가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61-8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대학생 도우미 활동이 대학생들에게 진지한 여가로서 해석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밝혀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는 대학생들의 봉사참여를 여가활동 중 이타성 함양이라는 부분과 그 의미를 보다 심도 있게 고찰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늘어나는 장애학생들에 대한 봉사자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에 대한 유의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에서의 봉사활동은 대학생들의 선택에 의해서 참여하는 자발적 참여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봉사를 통하여 대학생들은 심리적 웰빙 상태를 경험하며, 사회적, 정의적,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발전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Stebbins(2001)가 주장하듯, 진지한 여가의 경우 즐거움이 있을 때 지속적 참여가 가능하며 여가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장애대학생 도우미 역할을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03개의 개념어와 13개의 하위범주와 5개의 상위범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도우미 활동은 봉사 초기에 스트레스를 받았으며,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장애 대학생과 동일화 되는 현상이 나타났고, 도우미 활동에 대한 전문성이 배양되었다. 이러한 전문적 접근이 가능하게 된 이후 즐거움과 지속적 참여가 가능하였으며, 활동을 중단하는 과정에서도 도우미 활동 대한 지속적 유지를 위해 적임자를 찾고자 하는 노력을 하였다. 즉, 장애 대학생 도우미 경험은 대학생들이 진지한 여가로서의 속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청각장애 학생의 인터넷 게임 이용 실태 연구 (A Study on Deaf Students' Use of Internet Games)

  • 이승훈;김정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5-24
    • /
    • 2014
  • 본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의 인터넷 게임 이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청각장애 초 중 고등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청각장애 초등학생들에 비해 중 고등학생이 될수록 방과 후 보호자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청각장애학생들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일반학생과 비슷하거나 많았으며,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과 인터넷 게임시간은 비장애학생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게임 사용 유형은 청각장애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위험자 군으로 분류되는 학생의 비율이 많았고, 비장애학생과 비교했을 때 위험사용자 군이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국가적 인터넷 게임 사용자 실태조사에서 장애학생들을 포함시켜야하며, 장애학생들을 위한 게임 과몰입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학교 및 장애 특성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Focused on school and disability related characteristics)

  • 이은순;윤상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55-461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장애 아동 및 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돕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를 분석자료로 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학교급별, 학교유형, 장애유형, 장애정도, 주관적건강상태, 차별경험 등 학교 및 장애 특성요인이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집단 간 평균비교 및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교급별, 학교유형, 장애정도 등이 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또래지원 프로그램 도입, 특수학급 증설, 보조인력, 제도적 보완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