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accessibility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3초

가톨릭 성당건축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 및 개선방안 - 대전광역시 유성구 소재 본당을 중심으로 - (The Current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 of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in the Catholic Churches - Focused on the Parish Churches Located in Yuseong-Gu, Daejeon Metropolitan City -)

  • 박상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231-239
    • /
    • 2014
  • This study is regarding the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in the catholic churches. The purpose is to check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s targeted at 10 churches located in Yuseong-gu, Daejeon metropolitan city. Especially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obligations and recommendations specified in the accessibility enhancement law for the disabled was performed through field investigation. Firstly, the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of each church was evaluated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And then sequential improvement plans divided into three stages were suggested. Above all, the parish, management authority of catholic churches should establish medium and long-term plans besides legal standards. Even though the scope of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catholic churches of certain are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help investigation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s in other catholic churches.

장애인복지관의 웹 접근성 평가 (Website Accessibility Evaluation of th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 강영무;홍순구;이현미;차윤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260-5271
    • /
    • 2011
  • 우리나라 장애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5%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장애인들의 대다수가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다. 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임에도 웹 사이트가 웹 접근성을 준수하고 있지 않아 장애인들이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미국, 일본의 장애인복지관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준수 실태를 평가하고 비교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평가결과, 2008년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장애인복지관은 웹 접근성을 법적으로 준수해야만 하는 사회복지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곳이 다수 있었다. 또, 한국의 장애인복지관 웹 접근성 준수율은 78.77%로, 미국 85.50%, 일본 86.00%에 비해 낮은 준수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실제 장애인들의 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장애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웹 접근성을 평가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를 위한 이론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장애인의 복지에 대한 인식 제고 및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향상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nhancement Guidelines of Smart Application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 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9-76
    • /
    • 2015
  • 현대 정보 사회에서 정보격차라는 장벽이 존재한다. 이러한 장벽 때문에 장애인들은 세상과 소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 스마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마트 기기는 장애인들에게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현재 장애인들의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향상은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장애인의 스마트접근성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가이드라인은 기존의 모마일 접근성 가이드라인에 기초를 두고 개발하였다.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즉, 스마트기기에서 청색 최소화, 입력창에 자동 포커스 제공, 행위 추적, 폰트 칼라 변경 가능, 모션에 의한 응급상황 공지, 제스처 인식, 컨트롤 위치, 스크롤링 금지, 시각경고메시지의 음성화 서비스, 아이콘에 대한 텍스트레벨 부착 등을 포함한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표준 웹사이트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Standardized Web Site for the Visual Disabled)

  • 손영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9-2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표준 웹사이트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정보 소외계층인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정보통신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웹 컨텐츠 개발의 필요성 및 국내외 표준화 현황, 선진국의 정보 접근성 기술개발 현황을 설명하였다. 아울러 향후 국내에서 개발될 웹 컨텐츠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발 및 표준화에 필요한 W3C 의 5가지 Website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시각장애인 컴퓨터 환경에 맞는 웹 컨텐츠 개발을 위한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고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간의 정보 불평등 해소를 위한 국내 Website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을 제안하였다.

  • PDF

장애인 정보포털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Information Portal for the Disabled)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7-47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이 장애인 정보포털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장애인 관련 기관, 단체 104개의 웹사이트 및 국내외 장애인 정보포털 다섯개의 제공 정보를 분석하여, 장애인 정보포털 구축 시 고려할 요소를 추출 및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의 '복지로' 포털, 국립중앙도서관 디브러리의 '장애인 포털', 미국 NIDRR의 NARIC 포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National Accessibility Portal, 인도의 National Interactive Portal을 포함하였고, 이들의 목표 이용자, 주요 서비스와 자원, 주요 연계 서비스 등 특성을 살펴보았고, 도서관의 장애인 정보포털 구축 시 다음과 같은 요소가 고려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1) 장애인 및 비장애인 잠재적 이용자층 고려, (2) 장애인 관심 주제 정보 제공, (3) 고품질 외부정보원 정보의 확보와 제공, (4) 장애인 이용자의 커뮤니케이션 경로 역할, (5) 웹접근성기준 반영한 인터페이스 설계.

장애인 웹 접근성 향상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Web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 전우천;홍석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81-89
    • /
    • 2014
  • 최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우리의 삶은 매우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삶 자체의 스타일도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현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장애인들도 진보한 정보통신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권리가 있다. 하지만, 정보격차라는 장벽이 존재하여 장애인들이 정보통신기술로 세상과 소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보격차를 줄여서 장애인들로 하여금 정보통신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최근에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에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 중에서, 웹 접근성의 향상이 가장 큰 관심사이다. 이것은 웹이 다양한 정보통신기술 도구들 중에서 아직까지 가장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도구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장애인들을 위한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개선방안은 기존의 웹 접근성 향상 방안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장애인들에 더 적합하게 수정하고 개선한 방안들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웹 접근성 향상방안은 다음과 같은 원리를 가지고 있다. 첫째, 입력을 확인한 후 전송하게 한다. 둘째, 즉각적인 응답요구를 금지한다. 셋째, 필요하면 내용을 저장하거나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물리적인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다섯째,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을 제공한다.

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설계 (Website Desig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of Disabled People)

  • 이원경;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3-219
    • /
    • 2013
  • 장애인들의 웹서비스 이용도와 의존도가 상당히 높아진 현실을 고려한다면 공공기관이나 도서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웹 표준 및 웹 접근성지침, 그리고 관련 최신 연구들이 제안한 웹 접근성 요건들을 기반으로 중요도 수준이 포함된 42개의 항목의 웹 접근성 요건 체크리스트를 구축하였고 다음으로 공공도서관을 포함한 15개의 공공기관 웹사이트의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중요하다고 고려된 요건들이 아직까지도 지켜지지 않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웹사이트 설계 지침을 콘텐츠구성, 소리, 색, 키보드접근, 마우스접근, 접근기능, 이미지, 텍스트처리, 코드처리 등 9개 분야별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은 향후 접근성 지침에 따른 웹사이트 제작의 가이드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Comparative Study of Disabled People's Welfare and Accessibility Facilities in Korea and Japan

  • 박래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1권1호
    • /
    • pp.1-21
    • /
    • 1999
  • Japanese welfare legislation for the disabled was enacted via Law 283 on December 26. 1956. The push for such legislation at the national level had gown concurrent with development of Japan's post-war economy Korean welfare law for disabled was made 22 years later and was again amended in 1989. The current legislation promotes and supports the legal welfare of the Koran disabl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ccessibility facilities and welfare law; 1) Japan's developement of disabled people's welfare law is inextricably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disabled people's advocacy and the human rights movement. In addition, welfare policy has shifts its mandate from rehabilitation to independent living. It follows that local altitudes will play a pivotal role in further policy initiatives. Korean disabled people's welfare policy emerged hand in hand with economic recovery and development following the Korean War. By 1977 a special education law was enacted which-like it Japanese counterpart-promoted the education of disabled children. 2) Accessibility facilities were developed privately movement. The disabled faced constant and systematic disadvantages in public/private buildings and transportation systems. A general lack of cultural awareness and information relating ti these problems prevailed. These included-hut were by no means limited to sign language (for hearing the impaired) and braille(the language of blind). However, new attitudes and improvements have since emerged and new laws have resulted in the publication of Korean 'White Book' outlining the everyday problems faced by the disabled. In addition, mort convenient access facilities have been constructed in public and private buildings. In closing, legal support for the disabled, senior citizens and pregnant women continues to be improved by newer legislation enacted tin April 6, 1977.

  • PDF

장애인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공공편의시설 접근성 평가 -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Accessibility in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based on the Disabled User Experience - Focus on the community center -)

  • 정지원;김현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36-24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design guideline' in barrier free laws for the disabled and the disabled's real experience in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It is mainly focused on accessibility by the disabled people who use an electric motion wheel chair, a wheel chair and crutches as well as a visual impaired person in the public resident centers. For this purpose, four resident centers in Busan have been selected as the objects of investigation. We observed and video recorded the disabled people with various handicaps to access and use facilities in four resident centers, and interviewed them afterwards. We found out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led and figured out the difference between barrier free laws and the disabled's real experience.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make the arrangement of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user's move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better conditions for the disabled to access the public toilet easily and conveniently. Third, it is essential for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to be more strictly controlled by regulations. Fourth, we need to make better standards that could reflect real experiences of various disabled users. Fifth, we need to keep providing the best follow-up service for the disabled in terms of using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safely. This study can contribute for designers to understand specific users through their experiences and suggest improvement ideas for better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장애인의 의료기관 접근성 조사: 서울시 종로구 병의원을 대상으로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to Health Care Institution : A Case Study of Chongno-Gu in Seoul)

  • 이진용;장명화;김가연;윤수미;이자호;정주;도영경;이범석;김완호;박기동;김용익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dequately equipped with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160 healthcare institutions in Jongno district, Seoul. Healthcare institutions were equipped an average of 3.7 facilities out of 10. General hospitals had an average of 5.0 facilities, which was higher than an average of 3.6 facilities for private clinics (p<0.05). Of 160 healthcare institutions, only 13 (8.1%) offered easy access to the outpatient setting from the entrance for wheelchair users, highlighting difficult wheelchair access within hospitals. To provide easy access to medical service for the disabled, more accessible designs need to be adopted as part of the effort to improve public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lso, universal designs could be applied for newly constructed roads, structures and transportation vehicles to maximize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Increased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in the community will eventually increase the use of healthcare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