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ory server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3초

OTP-EKE:원-타임-패스워드 기반의 키 고환 프로토콜 (OTP-EKE: A Key Exchange Protocol based on One-Time-Password)

  • 서승현;조태남;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5호
    • /
    • pp.291-298
    • /
    • 2002
  • 키 교환 프로토콜에서 상호 인증은 필수 요소이며,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패스워드 기반의 인증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패스워드 기반의 프로토콜은 패스워드가 가지는 제약으로 인한 공격에 대해서 안전해야 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작업량을 줄이기 위한 효율성도 매우 중요한 요건 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버와 사용자간의 인증을 제공하고 세션키를 공유하기 위한 키 교환 프로토콜 OTP-EKE(One Time Password based Encrypted Key Exchange)를 제안하였다. 키 교환을 위한 사용자 인증방식으로 패스워드 방식을 채택하였다. 특히 서버 디렉토리에 대한 공격 등에 대해서 안전도를 높이기 위하여 원-타임-패스워드 확인자와 서버의 공개 패스워드를 이용하였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모듈라지수승 계산 횟수와 메시지 전송 횟수를 줄임으로써 효율성 향상을 보인다.

효율적인 협동적 웹캐슁 기법 (An Efficient Cooperative Web Caching Scheme)

  • 신용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6호
    • /
    • pp.785-794
    • /
    • 2006
  • 인터넷 이용의 확산으로 네트웍 사용량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인터넷 트래픽의 많은 부분을 웹 트래픽이 차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둘 이상의 프락시서버가 서로 유기적으로 협동하여 캐슁을 하는, 새로운 공유 웹 캐슁 (Shared Web Caching)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DCOORD (Directory-based COORDinated Caching) 라고 이름짓는다. DCOORD는 여러 개의 캐쉬서버가 각자 자기에게 캐슁되어 있는 오브젝트들을 유기적으로 조정하여 전체의 캐슁 비용을 줄인다. 실제 사용된 트레이스에 기반한 시뮬레이션으로 DCOORD를 다른 두 개의 대표적인 공유 웹 캐슁 기법인 ICP와 CARP와 비교한다. 실험에서는 기존에 많이 사용되는 메트릭인 히트율 대신, 오브젝트를 가져오기 위한 비용을 고려한 메트릭인 CSR을 주로 사용한다. 캐쉬 수의 증가 등의 실험을 통하여 DCOORD가 기존의 ICP나 CARP 보다 일관되게 많은 비용 절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DCOORD는 캐쉬 상호간의 메시지 수도 많지 않고, 캐쉬간의 트래픽도 상대적으로 적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DCOORD는 협동적 웹캐슁에서 성능 향상 뿐 아니라 비용 절감에 효과적이다

네트워크 보안 정책 정보 모델에 기반한 정책 관리 도구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Policy Management Tool Based on Network Security Policy Information Model)

  • 김건량;장종수;손승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5호
    • /
    • pp.775-782
    • /
    • 2002
  • 본 논문은 정책 서버를 이용한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에서 정책 정보 모델에 기반하여 구현한 정책 관리 도구를 소개한다. 본 논문이 기술하는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은 특정 도메인을 보호하기 위해 정책을 관리하고 정책을 내리는 정책 서버와 정책 서버로부터 받은 정책들을 기반으로 침입을 탐지하고 대응하는 정책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정책 서버와 정책 클라이언트간에 송수신되는 정책은 NSPIM(Network Security Policy Information Model)을 기반으로 구축된 정책 관리 도구를 이용하여 LDAP을 통해 디렉토리 형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NSPIM은 본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정책에 맞게 IETF의 PCIM과 PCIMe를 확장하여 구축한 정책 정보 모델이다. NSPIM 기반의 정책 관리 도구는 정책 생성, 수정, 삭제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정책을 관리할 뿐 아니라 재사용 객체 개념을 이용한 편집 기능, 객체 이름의 자동 생성 기능, 차단 정책의 자동 생성 기능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PKINIT기반의 Kerberos 인증과 키 교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erberos Authentication and Key Exchange based on PKINIT)

  • 신광철;정일용;정진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3호
    • /
    • pp.313-32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IETF CAT Working Group에서 발표한 PKNIT 기반의 인증서비스를 향상시킨 Kerberos 인증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PHNIT기반의 X.509, BS/DNS를 적용하여 영역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증과 키 교환방식으로 DNS를 통해 외부영역의 위치를 탐색하고 X.509 디렉토리 인증 시스템을 적용, 영역간 체인(CertPath)으로 DNS 서버로부터 공개키를 획득하여 다른 영역을 인증하도록 하였다. 영역간 인증과 키 교환은 Kerberos의 관용키 암호방식을 사용하고 세션 연결은 공개키 방식에 기반을 둔 X.509를 연동시키기 위하여 디렉토리서비스를 이용하였다. 이로써 Client를 확인하기 위한 임의 난수 키($K_{rand}$) 생성과 이로 인한 이중 암호화 과정을 배제하였으며 통신상의 Overload를 감소시키는 효과와 인증절차의 간소화를 가지는 Kerberos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네트워크 동적 참여 기반의 효율적인 피어-투-피어 웹 캐슁 모델 (An Efficient Peer-to-Peer Web Caching Model with the Dynamic Participation of Peers)

  • 류영석;양성봉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2권6호
    • /
    • pp.705-715
    • /
    • 2005
  • P2P(peer-to-peer) 웹 캐슁 모델은 서버 쪽에 집중되는 트래픽을 완화시킴으로써 전통적인 웹 캐슁 모델을 보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P2P 웹 캐슁은 클라이언트들의 로컬 캐쉬를 활용하여 부가적인 인프라의 추가없이 캐쉬 공간이 확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각 클라이언트들은 독립된 피어로서의 자율성(autonomy)을 가지므로 이러한 자율성의 제한을 최소화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피어의 자율적인 동적 참여와 로컬 캐슁 전략을 보장하여 시스템의 실행 가능성(feasibility)을 높인 환경에서 효율적인 디렉토리 기반 P2P 웹 캐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P2P 웹 캐슁 시스템은 동적인 P2P 네트워크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lifetime을 예상하여 이를 이웃 선택(neighbor selection)과 저장 공간 관리(storage management)에 적용하였다.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 로그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트레이스 기반(trace-driven)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하는 시스템이 기존의 시스템에 비하여 주어진 동일한 환경에서 더 높은 정확성과 더 적은 리디렉션 실패(redirection failure)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SAN 기반 리눅스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을 위한 메타데이터 관리 (Metadata Management of a SAN-Based Linux Cluster File System)

  • 김신우;박성은;이용규;김경배;신범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8A권4호
    • /
    • pp.367-374
    • /
    • 2001
  • 최근 SAN 기반 리눅스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들은 중앙 파일 서버를 두지 않으며, 디스크를 공유하는 클라이언트들이 화이버 채널을 통하여 마치 파일 서버처럼 디스크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스템들은 유용성, 부하의 균형, 확장성 등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SAN 기반 리눅스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메타데이터 관리 방법들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디스크 접근 시간에서 기본의 방법보다 우수한 새로운 inode의 구조를 설명하고, 확장 해싱을 사용하는 새로운 디렉토리 구조에 대하여 기술한다. 또한, 대규모의 파일 시스템에 적합한 새로운 빈 공간 관리 방법을 제안하고, 메타데이터의 저널링 방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그리고, 성능 평가를 통하여 제안된 방법들의 우수성을 보인다.

  • PDF

대용량 공유디스크 파일 시스템에 적합한 메타 데이타 구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etadata Structure for Large-Scale Shared-Disk File System)

  • 이용주;김경배;신범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0권1호
    • /
    • pp.33-49
    • /
    • 2003
  • 인터넷의 확산으로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스토리지에 대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스토리지에 대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시된 방법중의 하나가 공유디스크 환경을 제공하는 SAN(Storage Area Network)이다. SAN은 fibre channel이라는 고속 전송망을 이용해서 고속의 저장장치를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저장장치 네트워크의 구성만으로는 스토리지에 대한 요구는 해결하였지만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공유디스크 환경에서의 파일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특히 기존에 제시된 로컬 파일 시스템, 분산 파일시스템에서는 공유디스크환경에 적합하지 않으며 대용량 스토리지에 적합한 메타 데이터 구조 측면에서의 설계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공유디스크 환경에 적합한 메타 데이타 구조를 설계 및 구현하여 대용량 스토리지에 적합한 공유디스크 파일 시스템을 제시한다. 구현한 공유디스크 파일시스템은 SAN fabric에 참여하는 호스트들 사이의 균형적인 할당 블록을 주기 위한 파일시스템 레이아웃과 비트맵 관리기법, 대용량 파일을 위한 효율적인 익스텐트 기반의 SEMI FLAT구조를 제안하였으면, 대용량의 디렉토리를 사용할 수 있게 확장해싱을 이용한 2단계 디랙토리 관리 구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리눅스 커널 상에서 제시한 메타 데이타 구조에 대한 구현에 필요한 구조 정보와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성능의 우수성을 보이기 위해 리눅스 환경의 대표적인 파일 시스템인 EXT2, 공유디스크 환경의 GFS와의 성능을 파일 생성, 디렉토리 생성, I/O횟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RFID을 이용한 산업용 제어 관리시스템에 적합한 미들웨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ustrial Data Processing for Control System Middle Ware and Algorithm RFID is Expected)

  • 강정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5A호
    • /
    • pp.451-459
    • /
    • 2007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란 정보를 읽거나 쓰기 위한 반도체 칩을 내장하고 정보의 전송을 위해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주파수 시스템을 말한다. 이렇게 전송된 정보를 수집 및 여과하는 미들웨어, RFID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객체정보서버, 이력정보가 저장된 위치정보를 가진 객체이력서버, 코드와 관련된 물품정보가 있는 서버의 위치를 알려주는 RFID 검색서비스 등이 RFID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따라서 검증 실험에서와 같이 측정 분석 결과는 리더 간 전파 간섭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안테나 단에서 수신되는 power 레벨이 최소한 -55dBm을 유지해야만 전파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고, 안테나와 테그의 인식 거리는 최대 7m가지도 가능하지만, 원활한 인식을 위해서는 3-4m이내에서 사용되어야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Implementation of an Embedded System for Image Tracking Using Web Camera (ICCAS 2005)

  • Nam, Chul;Ha, Kwan-Yong;;Kim, Hie-Sik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405-1408
    • /
    • 2005
  • An embedded system has been applied to many fields including households and industrial sites. In the past, user interface products with simple functions were commercialized .but now user demands are increasing and the system has more various applicable fields due to a high penetration rate of the Internet. Therefore, the demand for embedded system is tend to rise In this paper, we Implementation of an embedded system for image tracking. This system is used a fixed IP for the reliable server operation on TCP/IP networks. A real time broadcasting of video image on the internet was developed by using an USB camera on the embedded Linux system. The digital camera is connected at the USB host port of the embedded board. all input images from the video camera is continuously stored as a compressed JPEG file in a directory at the Linux web-server. And each frame image data from web camera is compared for measurement of displacement Vector. That used Block matching algorithm and edge detection algorithm for past speed. And the displacement vector is used at pan/tilt motor control through RS232 serial cable. The embedded board utilized the S3C2410 MPU Which used the ARM 920T core form Samsung. The operating system was ported to embedded Linux kernel and mounted of root file system. And the stored images are sent to the client PC through the web browser. It used the network function of Linux and it developed a program with protocol of the TCP/IP.

  • PDF

다중-사용자 시스템에서의 효과적인 동적 웹 문서 발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Method of Generating the Dynamic Web Documents in the Multi-user System)

  • 이현창;이종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5B호
    • /
    • pp.478-48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한 서버에 여러 사용자가 존재하는 다중-사용자 시스템에서 동적 웹 문서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조건을 분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CGI를 이용한 많은 응용에서는 웹 문서 원본의 수정을 위해 CGI 프로그램 원본을 수정하고 새로 컴파일 한 후 브라우저에서 호출해야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 데 비해, PSSI 기법은 외부 파일의 형태로 되어있는 HTML 웹 문서 원본만을 수정하는 단순한 작업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 제시한 다중-사용자 PSSI 기법은 웹 문서 원본이 외부 파일 형태로 되어있고 CGI의 장점인 프로그래밍의 유연성과 SSI의 장점인 웹 문서 원본 수정의 용이함을 가진 특징에 의해 프로그램은 1개이면서도 각 사용자들은 자신의 디렉토리에서 사용자 고유의 웹 문서를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CGI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마다 프로그램을 설치해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서버 관리와 용량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