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ional sensor network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9초

Multiple token-based neighbor discovery for directional sensor networks

  • Nagaraju, Shamanth;Gudino, Lucy J.;Sood, Nipun;Chandran, Jasmine G.;Sreejith, V.
    • ETRI Journal
    • /
    • 제42권3호
    • /
    • pp.351-365
    • /
    • 2020
  • Directional sensor networks (DSN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network by employing energy efficient communication protocols. Neighbor discovery is a vital part of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routing protocol, which influences the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 between neighboring nodes. Neighbor discovery is a challenging task in DSNs due to the limited coverage provided by directional antennas. Furthermore, in these networks, communication can only take place when the beams of the directional antennas are pointed toward each other.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novel multiple token-based neighbor discovery (MuND) protocol, in which multiple tokens are transmitted based on an area exploration algorithm. The performance of the protocol is evaluated using the Cooja simulator. The simulation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MuND protocol achieves lower neighbor discovery latency, with a 100% neighbor discovery ratio, and has a relatively low communication overhead and low energy consumption.

A Learning Automata-based Algorithm for Area Coverage Problem in Directional Sensor Networks

  • Liu, Zhimin;Ouyang, Zhangd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10호
    • /
    • pp.4804-4822
    • /
    • 2017
  • Coverage problem is a research hot spot in directional sensor networks (DSNs). However, the major problem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current coverage-enhancing strategies is that they just optimize the coverage of networks, but ignore the maximum number of sleep sensors to save more energy. Aiming to find an approximate optimal method that can cover maximum area with minimum number of active sensors, in this paper, a new scheduling algorithm based on learning automata is proposed to enhance area coverage, and shut off redundant sensors as many as possibl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several experiments are conducted.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ve effective performance in terms of coverage enhancement and sleeping sensors compared to the existing algorithms.

Percolation Theory-Based Exposure-Path Prevention for 3D-Wireless Sensor Networks Coverage

  • Liu, Xiaoshuang;Kang, Guixia;Zhang, Ningb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호
    • /
    • pp.126-148
    • /
    • 2015
  • Different from the existing works on coverage problem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this paper considers the exposure-path prevention problem by using the percolation theory in three dimensional (3D) WSNs, which can be implemented in intruder detecting applications. In this paper, to avoid the loose bounds of critical density, a bond percolation-based scheme is proposed to put the exposure-path problem into a 3D uniform lattice. Within this scheme, the tighter bonds of critical density for omnidirectional and directional sensor networks under random sensor deployment-a 3D Poisson process are derived. Extensiv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scheme generates tighter bounds of critical density with no exposure path in 3D WSNs.

회전 가능한 방향센서네트워크에서 타겟 커버리지 스케줄링 향상 기법 (An Enhanced Scheme of Target Coverage Scheduling m Rotatable Directional Sensor Networks)

  • 김찬명;한연희;길준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8A호
    • /
    • pp.691-701
    • /
    • 2011
  • 방향센서네트워크에서 주어진 모든 타켓을 관측하고 관측한 데이터를 싱크노드까지 전달한다는 요구사항을 유지하면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약하여 전체 네트워크 수명을 최대화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Maximum Directional Cover Tree(MDCT) 문제를 제시하고 방향센서들을 그룹화하여 네트워크 수명을 최대화하는 문제를 다룬다. 모든 타켓을 관측하고 관측한 데이터를 싱크노드까지 전달하는데 참여하는 센서들을 활성상태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센서들은 수면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휴리스틱 알고리즘인 Directional Coverage and Connectivity (DCC)-greedy 알고리즘을 제시하여 MDCT문제를 해결한다. 제안 알고리즘에서는 타켓을 관측하고 관측한 데이터 전달에 드는 에너지 외에 방향 회전에너지까지 고려함으로써 방향센서가 소비하는 에너지를 좀 더 정확하게 고려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 알고리즘이 네트워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수중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를 고려한 데이터 병합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 (Routing Protocol based on Data Aggregation with Energy Efficiency in Underwater Wireless Sensor Networks)

  • 허준영;민홍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09-114
    • /
    • 2013
  • 수중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싱 데이터는 수온과 염도 등 평균 계산 등을 사용하여 병합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데이터 병합은 수중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패킷의 수를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데이터 병합으로 인해 지연이 발생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긴 경로나 싱크 방향이 아닌 경로를 통해 패킷이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데이터 병합 기반의 새로운 경로 결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논문은 간섭 없이 지연을 줄이고 싱크 방향이 아닌 경로를 제거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최대화 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 알고리즘이 에너지 효율과 패킷 지연 면에 있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커버리지와 네트워크 연결성 향상을 위한 3차원 공간 노드 배치 및 망 구성 방법 (3D Node Deployment and Network Configuration Methods for Improvement of Node Coverage and Network Connectivity)

  • 김용현;김이형;안미림;정광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B권9호
    • /
    • pp.778-786
    • /
    • 2012
  •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센서는 PIR, 이미지, 전자파 센서와 같은 지향성 센서와 진동, 음향, 자기센서와 같은 비지향성 센서로 구분할 수 있다. 지향성 센서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설치위치는 가시선이 보장되는 곳에 설치가 되어야 하므로 노드 설치 위치는 지표면보다 높은 곳에 설치가 된다. 비지향성 센서 중 진동센서의 경우 센서 특성상 지표면에 설치가 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지표면에 설치되는 비지향성 센서는 통신 장애로 인하여 네트워크 연결성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고유특성을 살려서 커버리지를 최대화하고, 센서노드의 설치높이를 고려한 토폴로지 구성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비지향성 센서는 지표면에 배치하고, 지향성 센서는 나무나 폴대와 같은 물체를 이용하여 지상에 설치하여 센서 커버리지를 최대화 한다. 그리고 설치높이가 낮은 센서노드는 설치높이가 높은 센서노드에 우선 연결하고, 설치높이가 높은 센서노드는 설치높이가 높은 센서노드와 연결하는 토폴로지를 구성하여 네트워크 연결성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방법을 검증하였으며, 커버리지와 네트워크 연결성에서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선형적 데이터 전달의 안정성과 부하량을 고려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 Considering Data Transmission Stability and Load Quantity)

  • 황민;천승환;유진호;;이귀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111-119
    • /
    • 2007
  •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수집과 전달을 위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라우팅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기존의 프로토콜 중 수정된 PEGASIS 라우팅 기법은 데이터 전달이 방향성을 갖는 분야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그러나 반복되는 중계와 제어를 수행하는 센서 장치들은 자체 고장률이 높은 반면, 이 프로토콜은 장애 극복과 데이터 전달의 안정성에 대한 고려가 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이동이 선형적인 방향성을 갖는 지그비(Zigbee)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구조상에서 안정성 있는 데이터 전달이 가능한 이중 중계 라우팅(double relay routing)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데이터 이동의 방향성을 기반으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데이터 전달의 안정성이 확보된다는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제안된 라우팅 기법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시스템에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인식 알고리즘 (Localization Algorithm in Wireless Sensor Networks Using a Directional Antenna)

  • 홍성화;강봉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1-118
    • /
    • 2010
  •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위치인식 기법이다. 여기서 앵커 노드는 GPS모듈, 섹터안테나, 그리고 디지털 나침반을 이용하여 각 섹터의 방위각을 전송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기존의 센서네트워크에서 위치인식 알고리즘은 대부분이 센서 노드들이 고정되어 있는 환경에서 위치 값을 알고 있는 앵커 노드의 최소 3개의 위치 값을 알아야 센서의 위치추정을 하였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센서 노드를 부착하고 계속적으로 움직이는 노드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인식 알고리즘들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Matlab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제안한 기법이 다른 기법 (MCL, DV-distance)들 보다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진동 신호의 방향 파워 스펙트럼을 이용한 엔진의 실화 실린더 탐지 (Detection of MIsfired Engine Cylinder by Using Directional Power Spectra of Vibration Signals)

  • 한윤식;한우섭;이종원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49-59
    • /
    • 1993
  • A new signal processing technique is applied to four-cylinder spark and compression ignition engines for the diagnosis of power faults inside the cylinders. This technique utilizes two-sided directional power spectra(예S) of complex vibration signals measured from engine blocks as the patterns for engine cylinder power faults. The dPSs feature that they give not only the frequency contents but also the directivity of the engine block motion. For the automatic detection/diagnosis of cylinder power faults, pattern recognition method using multi-layer neural networks is employ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ucess rate for diagnosis of cylinder power faults using dPSs is higher than that using the conventional one-sided power spectra. The proposed technique is also tested to check the robustness to the sensor position and the engine rotational speed.

  • PDF

Spectrum Hole Utilization in Cognitive Two-way Relaying Networks

  • Gao, Yuan;Zhu, Changping;Tang, Yib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3호
    • /
    • pp.890-910
    • /
    • 2014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pectrum hole utilization of cooperative schemes for the two-way relaying model in order to improv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limited spectrum holes in cognitive radio networks with imperfect spectrum sensing. We propose two specific bidirectional secondary data transmission (BSDT) schemes with two-step and three-step two-way relaying models, i.e., two-BSDT and three-BSDT schemes, where the spectrum sensing and the secondary data transmission are jointly designed. In the proposed cooperative schemes, the best two-way relay channel between two secondary users is selected from a group of secondary users serving as cognitive relays and assists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secondary users without a direct link. The closed-form asymptotic expressions for outage probabilities of the two schemes are derived with a primary user protection constraint over Rayleigh fading channels. Based on the derived outage probabilities, the spectrum hole utilization is calculated to evaluate the percentage of spectrum holes used by the two secondary users for their successful information exchange without channel outag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spectrum hole utilization depends on the spectrum sensing overhead and the channel gain from a primary user to secondary users. Additionally, we compare the spectrum hole utilization of the two schemes as the varying of secondary signal to noise ratio, the number of cognitive relays, and symmetric and asymmetric chann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