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opter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어린이의 연령에 따른 굴절이상 분석 (Analysis of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Aging in Young Children in South Korea)

  • 김덕훈;김대년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39-246
    • /
    • 2014
  • Purpose. to describe the prevalence of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aging in young children in South Korea. Methods : From July 2013 to June 2014, five hundred subjects( 250 male subjects, 250 female subjects; aged between 7 and 12 years) were performed in refraction test using the Auto-Refraction. Myopia, hyperopia, astigmatism, and anisometropia were defined as spherical equivalent(SE)${\leq}-0.50$ diopters, SE ${\geq}+2.00$ D, cylinder error ${\geq}0.75$ D and SE difference${\geq}1.00$ D between binocular eyes, respectively. Results. The refractive error by spherical equivalent among all subjects was myopia 80.41%, astigmatism 44.89%, emmetropia 18.27%, anisometropia 16.92%, and hyperopia 1.32%. The prevalence of myopia increased with age. but hyperopia was decrease. Myopia and astigmatism were much more common in male than female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Emmetropia and hyperopia were much more common in female than male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 prevalence of spherical equivalent was much common from -1.00 diopter to 0.99 diopter. On the other hand,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much more than hyperopia.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9 year and 10 year of female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5). In all another group of age, there was not a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ging in spherical equivalent power(p>0.5).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ale and female as age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1). Conclusions: Myopia was the most common refractive error in Korea young children, while hyperopia was decreased after 7 years.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ge between male and female at spherical equivalent power(P> 0.0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the refractive error as age at young children can give the useful diagnosis data for the correction of visual function.

배추흰나비 복안의 각막 형성 (Corneal Formation of the Compound Eye in Pieris rapae L.)

  • 김창식;김우갑;김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4호
    • /
    • pp.98-106
    • /
    • 1994
  • The corneal formation of compound eye of Pieris rapae L., which was mostly made during pupal stage, was morphologically investigated with light microscop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regeneration of the microvilli were found on the surface membranes of corneagen cells and retinular pigment cells of preommatidium after apolysis pupal cuticle. The microvilli were finally differentiated to corneal nipples of the ommatidium. The corneal cuticle was generated on the superficial layer of the preommatidium from corneagen cells and retinular pigment cells. The corneal process was also formed under the cuticular layer from the corneagen cells. The pore canal was appeared within the cuticular layer and connected with the retinular pigment cell as if the root of interommatidial hair was connected. The interommatidial hair was projected randomly among the ommatidial facets and cornal nipple was arrayed regular on the ommatidial facets. The cornea was convex lens and the refracting power by its convex shape was 4 diopter.

  • PDF

연령별 시력 변화에 관한 연구 (Visual acuity of age related changes during 5 years)

  • 김창식;이학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5-58
    • /
    • 2000
  • 정상인을 대상으로 5년 동안에 매년 안경원을 방문하여 시력을 측정한 사람 160명 360안(남 : 79명 여 : 81명)을 조사하였고 안경원에서 교정한 교정안경 굴절력을 눈의 굴절력으로 간주하여 원용안경의 굴절력만을 조사하였다. 1. 나이가 어릴수록 근시의 굴절력 증가가 많았다. 2. 우리나라 학제 기간 중 초등학교 재학기간에 근시의 증가율이 가장 컸다. 3. 초등학교 기간에는 4개월 중학교 6개월 고등학교 12개월만에 안경을 재 교정해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Depth-fused-type Three-dimensional Near-eye Display Using a Birefringent Lens Set

  • Baek, Hogil;Min, Sung-Wook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4권6호
    • /
    • pp.524-529
    • /
    • 2020
  • We propose a depth-fused-type three-dimensional (3D) near-eye display implemented using a birefringent lens set that is made of calcite. By using a birefringent lens and image source (28.70 mm × 21.52 mm), which has different focal lengths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state of the incident light, the proposed system can present depth-fused three-dimensional images at 4.6 degrees of field of view (FOV) within 1.6 Diopter (D) to 0.4 D, depending on the polarization distributed depth map.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near-eye displays like head-mounted display systems, for a more natural 3D image without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

검안렌즈 표준화의 필요성과 규격에 관한 연구 (The Necessity and Requirement of Trial Lens Set Standardization)

  • 박상열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7-223
    • /
    • 2006
  • 본 연구를 하게 된 목적은 전국의 약 7681개의 안경업소와 안과병 의원 그리고 콘택트렌즈 전문점에서 타각적 굴절 검사를 한 후 자각적 굴절 검사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검안렌즈세트(Trial lens set)가 표준화 된 규격이 미흡하고 안광학적 허용 오차도 규정되어 있지 않고 표기된 굴절력과 실제 렌즈 도수가 상의한 것이 많아 이를 개선하고 검안렌즈 규격에 표준화를 만들고자 이 연구를 하게 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검안렌즈 세트를 사용하는 안경사들을 대상으로 보수교육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국내에서 사용하는 제품과 수입 제품을 사용하는 안경원을 설정하여 이들이 사용하는 김안렌즈 세트를 사용하기에 따라 5년 미만, 5~10년, 10년 이상 각 5곳씩 검안렌즈를 선정하였으며, 표기된 굴절력과 실제렌즈를 측정하여 일본공업규격(JIS T4402)과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검안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용 중인 접안렌즈의 굴절력에 대한 신뢰성이 응답자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구입후 한 번도 표기된 굴절력과 실제도수를 측정해보지 않았다. 또한 한국산업규격(KS P4402)은 1979년도에 제정되어서 현재 사용하는 렌즈세트에서 빠지는 도수가 많다. 응답자의 95% 이상이 시력검사시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또한 굴절력에 대한 오차는 사용기간이 오래된 검안렌즈 일수록 오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은 우리나라도 검안렌즈 규격을 표준화시키고 한국산업규격(KS P4402)에서 규정된 렌즈 세트에서 빠지는 도수에 대한 렌즈 세트를 추가시켜야 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표준화된 검안렌즈를 검사 및 관리 감독하는 기관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내에서 생산하는 제품이나 외국에서 수입되는 제품도 독일이나 일본처럼 안광학적 허용오차를 규정히여 이를 검사하고 규격에 맞는 검안렌즈 세트가 유통되기를 바란다. 국민의 안보건 향상과 시기능 관리를 위해서 정확한 시력검사를 해야 하고 누구나 똑같은 표준화된 검안렌즈 세트를 사용하고 규격과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검안렌즈 세트가 규정되길 바란다.

  • PDF

도시와 농촌의 13세 어린이에 대한 굴절상태 분석 (Analysis of Refractive Status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 in 13-year-old Children)

  • 김덕훈;김정숙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08-815
    • /
    • 2017
  • Purpose. To analyze the refractive status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s, of children in Korea, in the age group of 13. Methods. From October 2016 to January 2017, forty subjects( 20 male subjects, 20 female subjects; 13 years) were performed in refraction test using the Auto-Refraction. Myopia, hyperopia, astigmatism, and anisometropia were defined as spherical equivalent(SE)${\leq}-0.50$ diopters, SE ${\geq}+1.00D$, cylinder error ${\geq}0.75D$ and SE difference${\geq}1.00D$ between binocular eyes, respectively. Results. The refractive error by spherical equivalent among all subjects was myopia 76.25%, astigmatism 35%, emmetropia 16.25%, anisometropia 8.75%, and hyperopia 5%. The prevalence of myopia and astigmatism were much more common in urban than rural region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Emmetropia and astigmatism were much more common in rural region than urban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 prevalence of spherical equivalent was much common from -1.00 diopter to -4.00 diopter. On the other hand,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much more than hyperopia.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OD and OS of rural region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0). Also,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OD and OS of urban region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4). Therefore,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similarity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s on the OD and OS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similarity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s of the OD and OS in the astigmatism power(p<0.000). However, in the rural and urban regions there was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OD and OS concerning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 and astigmatism power (p>0.1). Conclusions. Myopia was the most common refractive error in Korea young children. while hyperopia was few. There was not a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ge between rural and urban at spherical equivalent power( P> 0.0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the refractive status at young children can give the useful diagnosis data for the correction of visual acuity.

굴절력 매트릭스에 의한 양안의 굴절력 차이 (The Dioptric Differences between Both Eyes by Dioptric Power Matrix)

  • 유동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1-76
    • /
    • 2003
  • 본 연구는 안경처방을 받은 1,100명을 대상으로 굴절력 매트릭스률 이용하여 양안의 굴절력 차이를 조사하였다. 이중 양안의 굴절상태가 동일하고 그 굴절력이 다른 동종 부동시가 96.9%, 단안에만 굴절이상을 보이는 단성부등시가 2.9%, 양안의 굴절상태와 성질이 상이한 이종부등시가 0.2%로 극히 낮았다. 구면 굴절력 차이만 있는 경우가 22.1%, 원주 굴절력 차이만 있는 경우가 10.9%, 구면과 원주 굴절력이 혼합된 경우가 46.5%,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경우가 20.5%를 보였다. 연령기준으로 보면 30대와 40대에서 양안의 굴절력 차이 빈도가 각각 50.8%, 51.3%로 높게 나타났다. 굴절력 차이의 정도를 보면 구면 굴절력만 있는 경우에 굴절력 차이가 0.50D 이하가 76.1%. 1.00D 이하까지는 91.7%, 2.00D가 초과되는 경우는 2.5%이었다. 원주 굴절력 차이만 갖는 경우는 0.50D 이하가 93.3%. 1.00D 초과하는 경우는 1.7%로 낮았다. 구면과 원주 굴절력 차이의 크기 분포는 0.50D 이하가 52.8%, 1.00D 이하가 78.6%, 2.00D초과되는 경우가 5.1%로 조사되었다. 원주 굴절력을 포함하여 양안의 굴절력 차이를 보이는 경우에 그 축의 분포는 직난시형 축이 29.9%, 도난시형 축이 29.8%로 직난시와 거의 같은 비율이었고 사난시형 축은 40.3%를 보였다.

  • PDF

한국 동남지역 여대생들의 굴절이상 눈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Abnormal Refraction Eye on Women Pop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South-East Korea)

  • 최호성;정수자;김덕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25-129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한국 동남지역 여자 대학생들의 굴절이상 눈의 굴절 상태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방법: 2007년 3월부터 10월 사이 안경을 착용한, 부산과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여자 대학생 367명(19~22세)을 대상으로 굴절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는 T-test를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결과: 굴절이상 눈의 형태는 근시성 복난시 76.72%, 단순근시 10.90%, 혼합난시 6.27%로 나타났다. 굴절력에 의한 근시의 종류는 경도 근시 56.11%, 중등도 근시 27.14%로 나타났다. 근시 구면등가 굴절력에서 오른 눈은 왼눈에 비해서 값이 크나 유의성은 없었다(p<0.5). 등가구면에 의한 부동시와 원주 굴절력은 대부분 1.00 diopter 이하를 나타내었다. 주경선의 방향에 의한 난시 종류는 직난시 70.79%, 도난시 18.41%, 사난시 10.80%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한국 동남지역 여자 대학생들의 굴절이상 눈의 굴절상태에서 근시와 난시가 많이 분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홀더종류에 따른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정점굴절력 측정의 정확도 분석 (Analysis of Vertex Refractive Power Accuracy of Soft Contact Lens with Holder Type)

  • 이민제;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5-115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안경렌즈홀더와 콘택트렌즈홀더를 사용하여 다양한 디옵터와 함수율을 가진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고 정확도를 평가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방법: 실험에 사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함수율은 각각 38%, 43% 및 58%이었으며, 굴절력에 따라 -3.000 D, -7.000 D 및 -10.000 D로 분류하여 각각 실험하였다. 또한 망원경식 렌즈미터를 사용하여 안경렌즈홀더 및 콘택트렌즈홀더로 각각의 정점굴절력을 측정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안경렌즈홀더를 사용한 경우 -3.0000 D는 -3.3273 D로 측정되었으며, -7.0000 D는 -7.1306 D, -10.0000 D는 -10.2944D로 각각 측정되었다. 또한 콘택트렌즈홀더를 사용한 경우 -3.0000 D는 -3.1060 D로 측정되었으며, -7.0000 D는 -7.0028 D, -10.0000 D는 -10.2611 D로 각각 측정되었다. 모든 종류의 콘택트렌즈에서 콘택트렌즈홀더를 사용한 방법이 안경렌즈홀더를 사용한 방법보다 더 정확한 측정값을 나타내었다. 결론: 위 결과로 볼 때, 망원경식 렌즈미터를 사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굴절력 측정에 있어 콘택트렌즈홀더를 사용한 방법이 안경렌즈홀더를 사용한 방법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Maddox Rod를 사용한 대학생의 근거리 수평사위에 대한 고찰 (Research About Students' Horizontal Heterophoria in Near Distance with Maddox Rod)

  • 최경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9-63
    • /
    • 2009
  • 목적: 경기북부 지역 20대 대학생의 근거리 수평사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과적 수술이나 외상과 질병이 없는 평균나이 22.9세 대상자 122명 중 정시안 50명과 비정시안(근시안) 72명을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를 통해 원거리 완전교정한 후 Maddox rod를 사용하여 근거리(40 cm) 시의 수평사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Maddox rod를 사용하여 근거리 수평사위를 측정한 결과, 대상자 전체에서 정위 4.9%, 내사위, 9.8% 외사위 85.3%로 나타났으며, 그들중 정시안에서 정위 8%, 내사위 8%, 외사위 84%이었고 비정시안에서는 정위 2.8%, 내사위 11.1%, 외사위 86.1%이었다. 수평사위의 정도는 대상자 전체의 평균 사위정도가 내사위 3.59PD(prism diopter), 외사위 7.04PD이었으며, 정시안에서는 내사위 3.25PD, 외사위 6.60PD이고 비정시안에서는 내사위 3.75PD, 외사위 7.34PD이었다. 결론: 정시안과 비정시안에서의 근거리 수평 사위의 빈도는 정시안에서는 정위가, 비정시안에서는 내사위나 외사위의 빈도가 많으며 특히 비정시안에서의 외사위의 경향이 높게 보였지만 정시안이나 비정시안과 사위와의 관계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사위의 정도는 정시안보다 비정시안의 사위정도가 높았다.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에서 사위정도의 범위가 넓게 나타났다. 또한 굴절이상 정도에 따른 사위정도나 성별에도 통계학적인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