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ol saponi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합성 배지에서 Aspergillus parasiticus의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인삼 saponin과 그 관련물질의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and Its Related Materials on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2999 in Synthetic Medium)

  • 전홍기;조영배;박건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2-356
    • /
    • 1986
  • 합성배치인 Glucose-Salts 배지에서 인삼 saponin과 그 관련 물질이 A~$\psi$ergillusρarasiticus의 Aflatoxin 생성에 미치 는 영힘뼈 대해 검토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균체 증식은 배양 5 일째 이후가 최대였고 Aflatoxin 생성은 배영 9 일째가 최대였다. 인상 saponin O. 05% 첨가시 율처l 증식과 Aflatoxin 생성이 대조군보다 상당량 감소되었고, 5.0% 첨가시 균체 증식은 대 조눈보다 증가하였으나 Aflatoxin 생성은 매우 감소되었다. S Saponin diol 및 triol의 농도별 첨가시 diol 0.01, 1. 0%와 triol O. 5, 1. 0%가 Aflatoxin 생성 저해에 효과적이였다. S Saponin fraction 첨 가시 fraction 1이 Aflatoxin 생성 저해에 가장 효과적 이 었고 fraction 2, 4, 6도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 핵산 관련 물질 첨 가시 Adenine, denosine, Guanosine, Caffeine, Cytosine 및 Xanthosine 첨 가꾼 오우 대조군에 비 해 Aflatoxin 생성 저해에 효과적이었으며, affeine의 경우 균체내에서만 Aflatoxin을 검출할 수 있었다. Saponin 5. 0% 챙까시 Aflatoxin 생성이 매우 저해된 반면 total lipid의 %뇨은 대조군의 10애, 균체 증식은 약 2 배 이상 증가되였다.

  • PDF

인삼 사포닌 분획이 Cholesterol의 흡수 및 혈청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Serum Lipid Components)

  • 정인실;조영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232-239
    • /
    • 1985
  • The effects of total saponin, triol and diol saponin, and prosapogenin of ginseng on the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the component of serum lipids was observed as a function of time using isotopic metho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Labelled cholesterol absorption was observed to be enhanced after adminstrations of total saponin, triol saponin, and. prosapogenin of ginseng to rat (Sprague Dawley). 2) Decreases in the amount of serum lipid were observed after administration of total saponin and prosapogenin of ginseng.

  • PDF

생쥐 대식세포의 K562 종양세포치사 활성에 미치는 인삼 분획물의 영향 (Effects of a Ginseng Saponin Fraction on the Tumoricidal Activity of Murine Macrophage Against K562 Cells)

  • 김웅;정노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24-29
    • /
    • 1989
  • 본 실험에서는 대식세포에 의한 K562 종양세포의 치사에 미치는 인삼 분획물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PS만을 처리하여 주어 종양세포의 치사 활성을 유도한 대식세포보다도 LPS 와 saponin을 복합처리하여준 대식세포가 K562 종양세포에 대하여 더 높은 종양 치사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삼 분획물 즉, total, diol, triol saponin 모두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2. 대식세포없이 배양엑에 인삼 saponin 만을 처리하여 주었을 경우, 인삼 saponin 이 K562 종양세포에 대한 치사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3. 이러한 결과로 인삼 saponin이 대식세포를 통하여 K562 세포 치사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인삼(人蔘)사포닌분석(分析)을 위한 고속액체(高速液體)크로마토그래피법(法)의 비교연구(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for Analysis of Ginseng Saponin)

  • 최진호;박길동;한강완;오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81-86
    • /
    • 1982
  • 인삼(人蔘)사포닌중의 각(各) ginsenosides를 효과적(效果的)으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하기 위하여 carbohydrate analysis column을 사용(使用)한 HPLC로 전형적(典型的)인 용매(溶媒) system인 acetonitrile/water의 혼합비율(混合比率)을 80/20에서 94/6까지 조정(調整)하여 retention time과 분리능(分離能)과의 관계(關係)를 비교실험(比較試驗)하였고 또 n-butanol의 첨가효과(添加效果)도 조사(調査)하였다. 기본구조(基本構造)가 다른 diol saponin과 triol saponin을 같은 mobile phase로 만족하게 분리정량(分離定量)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diol saponin은 acetonitrile/water system(80/20), trol saponin은 acetonitrile/water/n-butanol system(86/14/10)을 mobile phase로 하여 분석(分析)함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이 방법(方法)에 따라 백삼(白蔘)과 홍삼(紅蔘)을 정량(定量)한 결과(結果), diol saponin 함량(含量)은 큰 차이(差異)가 없으나 triol saponin 함량(含量)은 홍삼(紅蔘)이 백삼(白蔘)보다 증가(增加)하였다. 특(特)히 PT/PD ratin가 백삼(白蔘)은 0.401인데 비(比)해 홍삼(紅蔘)은 0.561로서 홍삼(紅蔘)이 백삼(白蔘)보다 약 1.4배(倍)나 높았다. 이것이 홍삼(紅蔘)의 생화학적약리효능(生化學的藥理效能)과 깊은 관계(關係)가 있다고 판단(判斷)되며 열처리(熱處理)에 의한 제조공정(製造工程)과 관계(關係)가 있다.

  • PDF

생쥐 대식세포의 활성시 신호전달에 미치는 인삼성분들의 영향 (The Effects of Ginseng Components on the Signal Transduction in the Activation of Murine Macrophages)

  • 신은경;박한우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59-167
    • /
    • 1996
  • To study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components on the signal transduction in the ac tivation of murine macrophages, phagocytosis and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of peritoneal exuded mouse macrophages were examined. The phagocytosi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with total saponin, diol-saponin, $Rg_1$ and $Rg_2$, but triol-saponin was unable to increase phagocytosis. The phagocytosis were increased when H7, a PKC inhibitor, was pretreated and increased significantly by saponin fractions except total saponin. Pertussis toxin, which inactivates G-protein, decreased the phagocytosis. But the phagocytosis was restored to the control level by saponin fractions and the phagocytosi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y $Rg_2$ and $Rg_2$. The triol saponin increased phagocytosis approximately by 2-fold as compared with the TMB-8 treated group. Peritoneal exuded macrophages displayed a prominent rise in cytosolic calcium following treatment with triol-saponin, $Rg_1$, $Rg_2$ and $Rg_2$. Incubation of macrophages with PT resulted in an inhibition of cytosolic calcium mobilization, but increased cytosolic calcium mobilization with saponin fraction.

  • PDF

생쥐의 대식세포 종양치사활성과 항암효과에 미치는 인삼 Saponin 분획물과 Cyclophosphamide의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Fraction and Cyclophosphamide on the Tumoricidal Activity of Mouse Macrophage and the Antitumor Effect)

  • 전혜경;김세창;정노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99-105
    • /
    • 1991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fraction and cyclophosphamide (CY) on the tumor development, the antitumor effect and the tumoricidal activity of mouse macrophage. When mice were treated with saponin or CY following inoculation with Sarcoma 180, tumor development was inhibited and survival ratio increased, and a combination of both treatments further inhibited the tumor development. Tumoricidal activity of macrophage was effectively increased at 10-7% concentration of CY and it was further increased when macrophage was cotreated with saponin and CY. Tumoricidal activity of macrophage was greatest at the third day after inoculating tumor cell. Both saponin and CY increased the chemiluminescence of macrophage, but CY had no effect on releasing TNF, unlike saponin.

  • PDF

인삼(人蔘)의 연근별(年根別) 사포닌함량(含量) 변화(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Changes of Saponin Contents in Relation to Root Age of Panax ginseng)

  • 장진규;이광승;권대원;남기열;최진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7-40
    • /
    • 1983
  • 인삼(人蔘)의 주요약리성분(主要藥理成分)으로 밝혀지고 있는 사포닌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중심으로 하여 인삼(人蔘)의 채굴연수(採掘年數)의 진단(診斷)과 약리작용(藥理作用)에 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재배인삼(栽培人蔘)의 생육연수(生育年數)에 따른 총(總)사포닌 함량(含量)의 변화(變化), diol사포닌과 triol사포닌의 비교(比較) 및 PT/PD 비(比)등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생육연수(生育年數)에 따른 총(總)사포닌함량(含量)은 연근(年根)이 증가할 수록 총(總)사포닌함량(含量)이 증가 하였는데 5 년근(年根)에서 5.19%로 가장 높았으며 6년근(年根)에서는 4.80%로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총(總)사포닌함량(含量)만을 고려(考慮)한다면 6년근(年根)보다 5 년근(年根)에서 채굴(採掘)함이 바람직하다. (3) 생육연수(生育年數)에 따른 PT/PD비(比)를 보면 연근(年根)이 증가할 수록 차차 증가하여 6년근(年根)이 0.51로서 가장높았으며 5년근(年根)의 0.48보다 6.25%나 더 높았다. (4) 따라서 PT/PD비(比)의 증가량을 고려한다면 6년근(年根)에서 채굴(採掘)함이 바람직 하였다.

  • PDF

반합성 배지에서 Aspergillus parasiticus의 Aflatoxin생성에 미치는 인삼 Saponin과 그 관련물질의 영향 (Effects of Ginseng Saponin and Its Related Materials on Aflatoxin Production by Aspergillus parasiticus NRRL2999 in semi-Synthetic Media)

  • 전홍기;박건영;조영배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8-294
    • /
    • 1986
  • 반합성 배지인 yeast extract sucrose (YES) 배지에서 인삼 saponm 및 그 관련 물질이 Aspergillus parasilicus의 AF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배양 시간에 따른 AF생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AF생성은 배양 9일째에 최고치을 나타내였으며 전 배양 기간을 통해 AF B1이 AFG1보다 많이 생성되었다. 배지내에 여러 농도의 인상 saponm을 첨가했을 때 모든 농도의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AF생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aponin 0.05% 첨가시 균체량과 AF 생성량이 매우 감소하였고 saponin 5.0% 첨가시 균체량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AF은 전혀 생성되지 않았다. 배지내에 saponindiol 맺 triol을 놓도별로 첨가한 경우 diol 0.05, 1.0 및 triol 0.1, 0.5, 1.0 %첨가군에서 AF생성이 감소되었다. 배치내에 saponin fraction를 첨가한 경우 fraction 1, 2, 4. 5. 6은 AF 생성을 상당히 저해하였으나 fraction 3과 7은 AF 생성을 자극하였다 0.05%의 adenosine, guanosine, caffeine 및 xanthosine을 배지에 첨가한 경우 AF생성이 저해되었으나 0.05%의 adenosine 및 cv-tosine을 첨가한 갱우에는 AF생성을 증가시켰다. 5.0%의 saponine을 배지에 첨가한 경우 AF생성은 전혀 일어 나지 않은 반면 total lipid의 합성과 균쳐1량은 대조군에 비해 매우 증가하였다.

  • PDF

인삼생육의 최적광량 구명에 관한 연구 제2보 광도가 인삼엽내 Saponin 및 유리당함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Optimum Light Intensity for Growth of Panax Ginseng II.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the Contents of Saponin and Free Sugar in the Ginseng Leaf)

  • 이종철;최진호;천성기;이종화;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97-503
    • /
    • 1983
  • 수광율의 차이가 인삼엽내의 saponin과 유리당함량 및 Panaxatriol(PT)/Panaxadiol(PD) 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광량이 자연광의 5, 10, 20, 30%의 수광율(LTR) 하에서 자란 4년생 인삼엽에서 이들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insenoside별 함량은 PD계 사로닌에서는 -Rd가 가장 많았고, PT계 사포닌에서는 -Re, $Rg_1$, $-Rg_2$순으로 많았다. 2. Total 사포닌과 PT계 사로닌함량과 PT/PD의 비는 20% LTP까지 수광율이 많을수록 증가되다가 30% LTR에서는 약간 감소되었고, PD계 사포닌 함량은 수광율이 증가할수록 많아졌다. 3. Glucose, Fluctose 함량은 20% LTR에서 가장 많았으나 sucrose함량은 오히려 20% LTR에서 가장 적었다. 4. Total 사포닌 함량과 Glucose함량간에는 정(+)의 상관($r=0.992$^{**}$)이 인정되었다.

  • PDF

Pepsinogen 분비조절물질과 인삼성분의 복합처리가 cAMP의 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Components with Pepsinogen Secretion Regulatory Agents on cAMP Content in Isolated Rabbit Gastric Glands)

  • 진승하;김세창;정노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151-158
    • /
    • 1986
  • On the cAMP content in isolated gastric glands from rabbit stomach, the effect of ginseng components (total saponin, diol saponin, triol saponin) with pepsinogen secretion regulatory agents (cholecystokinin, isoproterenol, carbachol, propranolol, atropine, DECAMP, DBcGMP) were studied in vitro. According to the results, ginseng components may have the effect of stimulation or inhibition on cAMP production, and both dial saponin and triol saponin may be reciprocal effect to pepsinogen secretion regulatory agents. It seemed that the ginseng components may have the normalization action to pepsinogen regulatory agents on cAMP content in isolated rabbit gastric glan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