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noflagellate cysts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5초

마산만일대(馬山灣一帶) 와편모조류(渦鞭毛操類) 휴면포자(休眠胞子)의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dinoflagellate cysts in Masan Bay, Korea)

  • 이준백;유광일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4-312
    • /
    • 1991
  • 1986년 5월부터 1987년 3월까지 적도가 만연하고 있는 만산만일대 6개 정점의 저 질표층으로부터 외편모조류 휴면포자(시스트)를 분리하여 월별 및 정점별 분포를 조사 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11종류의 와편모조류 휴면포자가 분리되었으며 6속 9종 2 미 동정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휴면포자의 현존량은 월별, 정점별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48-1,279 cell/$cm^3$의 분포범위를 보였다. 월별로 보면 7, 8월, 그리고 2월에 가장 높 았으나 그외 시기에는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정점별로 보면 만 입구인 정점 4에서 가장 많고 만 내인 정점 1에서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나 와편모조류 유영세포는 만 내에서 년중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반폐쇄적 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마산만에서는 와편모조류의 유영세포와 휴면포자의 분포는 시, 공간적으로 다른 분포특성을 보이고 있다고 생각된다.

  • PDF

The First Appearance of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Gonyaulacales, Dinophyceae) Responsible for the PSP Contaminations in Gamak Bay, Korea

  • Shin, Hyeon-Ho;Yoon, Yang-Ho;Kawami, Hisae;Iwataki, Mitsunori;Matsuoka, Kazumi
    • ALGAE
    • /
    • 제23권4호
    • /
    • pp.251-255
    • /
    • 2008
  • In Gamak Bay,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PSP) was first detected from seafoods in 2003, however the toxin source is unknown yet. In this study, we report potential PSP producers of toxic dinoflagellates, describing morphology and abundance of cysts isolated from surface sediment of Gamak Bay. The most abundant type in these cysts was characterized with ellipsoidal and transparent wall identical to Alexandrium catenella and/or A. tamarense. Germination experiment of the cysts revealed that all motile cells germinated were morphologically identified as A. tamarense. This result suggests that A. tamarense may relate to PSP contaminations in Gamak Bay. Moreover, bottom water temperature in Gamak Bay is favorable for germination of A. tamarense cyst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arry out the PSP monitoring for preventing the risk of PSP events that may outbreak in future at Gamak Bay.

유독 와편모조류 Alexandrium속의 출현에 미치는 휴면포자의 발아율 (Germinability of Resting Cysts Associated with Occurrence of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Species)

  • 김창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1-264
    • /
    • 1994
  • 패독발생의 원인규명을 위한 모니터링의 일환으로 원인생물의 출현과 휴면포자의 발아에 의한 현장 개체군의 유입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3년 9월부터 진해만을 중심으로 Alexandrium속의 발생현황, 원인생물의 잠재력을 제공하는 저질중의 휴면포자의 분포 및 실내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만내의 조사된 모든 정점에서 1월부터 Alexandrium속이 출현하여 대곡리 정점(칠천도)에서 3월에 533 개체/l의 최고치를 보였으며, 다른 지점에서는 100개체 이하를 나타냈으나 수온상승기인 4월에는 출현량이 감소하였다. 저질중의 Alexandrium속 휴면포자의 분포밀도는 채집한 정점간의 차이가 많아 100-800 개체/$cm^3$의 밀도를 보였으나, 채집지역의 저질상부층$(0\~4cm)$에서 $700\~800$ 개체/$cm^3$의 분포 지점이 많았다 휴면포자의 발아율은 수정리 정점에서 1월$(72.5\%)$, 4월$(68.0\%)$, 7월$(44\%)$ 및 10월$(9.0\%)$ 순으로 채집 계절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으며, 1월 채집한 만내의 다른 2 정점의 휴면포자도 $71\~97|%$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한편, 수심이 얕은 다대포 지점의 휴면포자는 6월$(86.5\%)$과 10월$(70.0\%)$에도 높은 발아율을 보여 진해만의 각 지점과는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exandrium속 휴면포자의 발아는 지역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비교적 수심이 깊은 지역에서는 온도 등의 환경요인의 변동 외에 내재적 발아리듬의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진해만에서는 저수온기일지라도 휴면포자의 발아에 의한 Alexandrium속의 출현이 놀게 나타나며, 이 지역의 패독발생의 원인생물로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시사되었다.

  • PDF

The Occurrence of a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From Chinhae Bay, Korea

  • KIM Hak Gyoon;MATSUOKA Kazumi;LEE Sam Geun;AN Kyoung Ho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37-842
    • /
    • 1996
  • The resting cyst of Gymnodinium catenatum was found in the surface sediments collected from Chinhae Bay in October, 1991.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species in the Korean waters. The relative abundance was low with the maximum of $1.7\%$. The colonial motile form consisting of four cells was observed in 1992 from the excystment of the cyst collected from the Wonmun Bay in Chinhae Bay. No blooms caused by G. catenatum has been observed in Chinhae Bay during the survey.

  • PDF

Morphology and molecular phylogeny of harmful dinoflagellate Pseudocochlodinium profundisulcus from Korean coastal area

  • Joo Yeon Youn;Kyong Ha Han;Kyeong Yoon Kwak;Hyeon Ho Shin
    • 환경생물
    • /
    • 제41권4호
    • /
    • pp.608-615
    • /
    • 2023
  •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germling cells were examined to identify an unspecified resting cyst (described as Cochlodinium cf. polykrikoides-like resting cyst) in the Korean coastal area. LSU rRNA gene sequences were also obtained from a strain established from the germling cells. The resting cysts isolated from Korean coastal sediment were characterized as being brown in color, having a large dark-red body, and fibrous lobed ornaments. The germling cells were ellipsoidal with an irregular outline and had an open comma-shaped ASC (apical structure complex), a wide and deep cingulum, and a deep sulcus. These morphological features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previously described harmful dinoflagellate Pseudocochlodinium profundisulcus. The molecular phylogeny revealed that the germling cells and P. profundisulcus were conspecific.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data, this study documents the occurrence of P. profundisulcus in a Korean coastal area for the first time.

경북 포항분지 북부 지역의 연일층군(제3기)에서 산출되는 포낭류 화석을 비롯한 소수 규질 미화석군에 대한 연구 (Minor Siliceous Microfossil Group and Fossil Cysts from the Yeonil Group (Tertiary) in the Northern Area of the Pohang Basin, Kyeongbuk Province, Korea)

  • 고영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5-117
    • /
    • 2006
  • 연구지역인 포항분지 북부의 청하와 송라 일대에 분포하는 연일층군에서 2속 5종의 아케오모나드, 이들 외에 3가지 유형의 스토마토시스트로 생각되는 포낭류 화석, 3속 5종의 내골격 와편모조류 및 11속 18종의 에브리디안 화석들이 산출되었다. 규질 미화석들의 군집조성에서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연일층군의 지질시대는 마이오세 중기에 해당하며 아케오모나드의 산출에 따르면 미국 메릴랜드의 Calvert층과 일본 중부의 Hojuji층에 대비된다. 내골격 와편모조류와 에브리디안을 이용한 분대에 따르면 연구지역의 연일층군은 남서태평양 해역의 Actiniscus elogatus대에서 Hermesinella conata대의 중부에, 노르웨이해 연안 $V{\o}ring$ Plateau해역의 Spongebria miocenica대에서 Hermesinella schulzii대의 중부에 대비된다고 할 수 있다. 연일층군 퇴적환경은 아케오모나드를 비롯한 포낭류 화석, 내골격 와편모조류 및 에브리디안 군집조성에 따르면, 대체로 한랭수괴가 우세한 환경에서 온난수괴 역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두호층의 상부로 가면서 한랭화가 다소 강화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미소 포낭류 화석들의 산출에서 연일층군 퇴적 시, 담수 또는 반염수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시사된다.

Historical Record of Alexandrium spp. (Dinophyceae) in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 Shin, Hyeon Ho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493-498
    • /
    • 2013
  •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record of Alexandrium spp. in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two sediment cores were collected from Gamak Bay and Yeoja Bay. Germination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ellipsoidal Alexandrium cysts isolated from Gamak Bay and Yeoja Bay are morphologically identical to a toxic dinoflagellate A. tamarense. The ellipsoidal Alexandrium cysts in Yeoja Bay appeared from 30 to 32 cm depth upwards (ca. 1980s), and their concentration increased around 10 to 12 cm depth (mid-1990s). Similarly, cyst concentration in Gamak Bay also increased from 40 to 44 cm depth (ca. 1990s). These results coincide with the reports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caused by A. tamarense in 1980s and 1990s along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Cryptoperidiniopsis brodyi (Dinophyceae)의 생활사 (Life Cycle of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Cryptoperidiniopsis brodyi (Dinophyceae))

  • 박태규;박영태;배헌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4
    • /
    • 2009
  • Pfiesteriaand Pfiesteria-like organisms were reported to be linked to major fish kills(involving well over a billion fish) in North Carolina and Maryland estuaries on the U.S. east coast during the 1990s. Occurrences of these species have been recently reported from Korean waters including Chinhae Bay and the coast of Yeosu. In this study, the life cycle of Cryptoperidiniopsis brodyi and Pfiesteria piscicida were examined using DAPI staining. Their excystment and growth were stimulated directly by the addition of prey cells such as Rhodiminas salina. Amoeboid stages in C. brodyi and P. piscicida were never observed in culture, even after addition of filter-sterile fish mucus and tissue. The dominant life cycle stages consisted of motile flagellated zoospores and cysts. A typical dinoflagellate life cycle was demonstrated by direct observation and DAPI st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