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Poly(N,N-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와 PEG로 이루어진 블록공중합체 합성 및 나노복합체 형성 (Synthesis of Block Copolymers Composed of Poly(N,N-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and PEG and Formation of Nanoaggregation)

  • 김은정;최호석;이지나;박기동;육순홍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854-859
    • /
    • 2000
  • N,N-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DMAEMA)와 poly(ethylene glycol) (PEG)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그 구조를 FT-IR, DSC, 및 $^1$H-NMR로 확인하였다. 준비된 poly(DMAEMA))-PEG 블록 공중합체 수용액에 poly(ethyl acrylamide)(PEAAm)를 첨가하면 블록 공중합체의 DMAEMA와 poly(EAAm) 사이에서 일어나는 수소결합에 의해 나노복합체가 형성되었다. 나노복합체는 임계미셀농도 이상의 농도에서 이루어졌다.

  • PDF

Poly(N-isopropylacrylamide-co-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가 고정화된 알지네이트 비드 제조 및 방출 특성 (Preparation and Release Property of Alginate Beads Immobilizing Poly(N-isopropylacrylamide-co-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

  • 강미경;김진철
    • 폴리머
    • /
    • 제34권1호
    • /
    • pp.79-83
    • /
    • 2010
  • Poly(N-isopropylacrylamide-co-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P(NIPAM-co-DMAEMA))가 고정화된 알지네이트 비드를 제조하였다. 알지네이트와 P(NIPAM-co-DMAEMA)의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P(NIPAM-co-DMAEMA)로 코팅된 알지네이트 비드와 P(NIPAM-co-DMAEMA)을 함유한 알지네이트 비드를 제조하였다. P(NIPAM-co-DMAEMA)은 자유 라디칼 반응으로 제조하였고 핵자기 공명분광기를 통해 확인하였다. 비드의 온도 민감성 방출 거동을 관찰하였으며, 모델시약으로 blue dextran과 fluorescein isothiocyanate-dextran을 사용하였다. P(NIPAM-co-DMAEMA)가 고정화된 알지네이트 비드로부터의 방출 정도는 온도 의존성이 낮았고, 방출모델시약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더 높았다.

Copper Phthalocyanine Pigment의 분산을 위한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와 Oligo(ethylene oxide)methyl Ether Methacrylate를 포함하는 잘 규정된 블록 공중합체형 분산제의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을 이용한 합성 (Synthesis of Well-Defined Block Copolymer Dispersants with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nd Oligo(ethylene oxide)methyl Ether Methacrylate via ATRP for Dispersing Copper Phthalocyanine Pigment)

  • 김은희;김봉수;정기석;김진구;백현종
    • 폴리머
    • /
    • 제36권1호
    • /
    • pp.104-110
    • /
    • 2012
  • LCD 컬러필터에서 안료의 분산은 컬러 강도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안료를 분산시키기 위한 안료 분산제의 첨가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안료 분산제로서의 고분자는 안료와의 친화성을 가지는 anchoring group과 매체와의 혼화성을 가지는 stabilizing group을 포함하고 있다.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은 잘 규정된 고분자 합성을 가능하게 하는 중합법으로,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고분자형 안료 분산제를 얻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될 수 있다. Anchor로서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를, stabilizer로서 oligo(ethylene oxide)methyl ether methacrylate를 각각 선택해 고분자 분산제를 합성하였다. 고분자의 구조 및 조성이 안료 분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길이의 stabilizing group을 가지는 diblock copolymer를 합성하여 비교하였다.

고체 amine 광개시제에 따른 치과용 복합수지의 중합효율 (Photopolymerization efficiency of dental resin composites with solid amine photoinitiators)

  • 선금주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3-52
    • /
    • 2006
  • Three t-amines, 4-(dimethylamino)benzoic acid (ABA), 4-(dimethylamino)benzaldehyde (MBA), 4-(dimethylamino)benzophenone (MBP), were investigated as new visible light photoinitiators for a dental resin composite of UDMA in order to improve photopolymerization effect. Three t-amines mixed with three photosensiizers, CQ, PD and DA, respectively. And the photopolymerization effect of photoinitiators were compared with that of 4-(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EM), the most widely used photoinitiator. The photopolymerization efficiency of UDMA containing the photoinitiator increased with irradiation time. The increase was in the order: MBP

  • PDF

포스포늄염을 포함하는 가교 고분자의 제조 및 그들의 감습특성 (Preparation and their humidity-sensitive properties of crosslinked polymer containing phosphonium salts)

  • 이칠원;공명선;이승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5-250
    • /
    • 2000
  • 고습도 또는 결로시 내수성을 지니는 저항형 습도센서를 제조하기 위하여 vinylbenzyl tributyl phosphonium chloride를 포함하는 4원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저습도와 고습도 범위에서 측정이 가능한 습도센서용 감습막을 제작하였다. 1,5-dibrompentane과 4차 염화 가교 반응을 통하여 최종 저항형 습도센서를 제작하였다. 감습막은 알루미나 기판에 한 쌍의 금 paste가 인쇄된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감습막은 다양한 비율의 vinylbenzyl tributyl phosphonium chloride, 2-(dimethlamino)ethyl meth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그리고 [2-(methacryloyloxy)ethyl]trimethyl ammonium chloride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감습막은 micro-syringe를 이용하여 도포하였으며 건조 oven에서 50℃에서 6시간 동안 가교반응을 진행하였다. 습도센서의 임피던스 특성은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또는 [2-(methacryloyloxy)ethyl]trimethyl ammonium chlorid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vinylbenzyl tributyl phosphonium chloride /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2-ethylhexyl acrylate / [2-(methacryloyloxy)ethyl]trimethyl ammonium chloride의 조성비가 4/4/1/1인 공중합체의 경우 30-90%RH 범위에서 2.64 ㏁ - 3.11 ㏀의 임피던스 특성을 보였으며 우수한 직선성과 낮은 히스테리시스 나타내었다.

4-Arm 스타형과 선형 블록 공중합체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분산 연구 (4-Arm Star Shaped and Linear Block Copolymers for Copper Phthalocyanine Dispersion)

  • 김병재;정종화;정지혜;김봉수;정기석;백현종
    • 폴리머
    • /
    • 제38권5호
    • /
    • pp.671-67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잘 규정된 4-arm 스타형 및 선형 고분자를 합성하여 구조에 따른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의 분산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분산제는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DMAEMA)와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PEGMA)를 사용하여 activators generated by electron transfer(AGET) 원자이동라디칼중합법(ATRP)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고분자는 젤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와 핵자기 공명 분광법(NMR)을 사용하여 합성한 고분자들의 분자량 및 단량체의 조성을 결정하였다. 4-Arm 스타형 고분자 및 선형 고분자 분산제에서 stabilizing group인 PEGMA의 중합도를 조절하여 copper phthalocyanine(CuPc)의 분산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PEGMA의 DP가 130인 4-arm 스타형 고분자를 사용한 경우 $25^{\circ}C$에서 7일 동안 CuPc의 분산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광중합형의 치아수복용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심미 특성 (Esthetic Properties of Photoinitiated Polymeric Dental Restorative Nanocomposites)

  • 김오영;한상혁;김창근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102-105
    • /
    • 2005
  • 다양한 치아 수복이 가능한 광중합형의 치아수복용 고분자 나노복합체(polymeric dental restorative nanocomposites, PDRNC)를 제조하고 이들의 심미적 물성을 고찰하였다. PDRNC 제조에 사용한 충전제는 평균 입경이 1${\mu}m$인 바륨실리케이트와 40 nm 및 7 nm 크기의 나노실리카를 혼성화시켜 사용하였는데 bisphenol A glycerolate methacrylate와 tr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60/40 wt%)으로 구성되는 기재와의 혼화성 증가를 위해 실란으로 표면을 소수성으로 처리하였다. 가시광선을 이용한 PDRNC의 광중합에 필요한 광개시제는 camphorquinone을, 광증감제는 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PDRNC의 심미적 물성을 Hunter L, a, b 값으로 평가한 결과, 7nm 크기의 나노 충전제가 첨가될수록 PDRNC의 투명성이 증가되어 심미적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전극 표면에 부착된 IPN 형태의 전해질 고분자의 제조 및 그들의 감습특성 (Preparation of IPN-type Polyelectrolyte Films Attached to the Electrode Surface and Their Humidity-Sensitive Properties)

  • 한대상;공명선
    • 폴리머
    • /
    • 제34권6호
    • /
    • pp.565-573
    • /
    • 2010
  • IPN 구조를 가지는 감습성 고분자 전해질로 사용하기 위하여 디브로모알칸과 가교가 가능한 copoly(2-(dimethylamino) ethyl methacrylate)(DAEMA)/butyl acrylate(BA)와 광가교가 가능한 copoly(methyl methacrylate) (MMA)/BA/2-(cinnamoyloxy)ethyl methacryate(CEMA)를 제조하였다. 전극의 기재 표면에 광조사에 의한 IPN-감습성 전해질의 부착을 위하여 3-(triethoxysilyl)propyl cinnamate(TESPC)을 전극표면에 처리하였다. IPN 구조의 감습성 고분자 필름은 copoly(DAEMA/BA), copoly(MMA/BA/CEMA) 및 1,4-dibromobutane(DBB) 가교제의 혼합 용액에 침적한 후에 UV 조사와 동시에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IPN-전해질 고분자의 전극 기재와의 부착은 광화학적 $[2{\pi}+2{\pi}]$ 환화반응에 의하여 진행하였다. 얻어진 습도센서는 20~95%RH의 영역에서 매우 높은 감도와 1.5%RH 이하의 작은 히스테리시스를 보여주었다. 또한, 33~94%RH 사이에서 가습과 제습과정의 응답 및 회복 속도는 각각 48초와 65초로 나타나 매우 빠름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에 감습액 중의 공중합체의 농도, 가교제의 양, 가교반응 시간 등이 내수성을 포함한 감습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Well-Defined Thermoresponsive Copolymers with Tunable LCST and UCST in Water

  • Jung, Seo-Hyun;Lee, Hyung-I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2호
    • /
    • pp.501-504
    • /
    • 2014
  • A thermoresponsive polymer, poly(2-(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PDMAEMA),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by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Different amounts of 1,3-propanesultone were used as quaternization agent to transit the PDMAEMA into partially modified poly(zwitterions), resulting in p[DMAEMA-co-3-dimethyl(methacryloyloxyethyl)ammonium propanesulfonate] (PDMAEMA-co-PDMAPS). Molecular weight,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degree of quarternization were determ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1H NMR spectroscopy. The transmission spectra of the 1.0 wt % aqueous solutions of the resulting polymers at 650 nm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and the upp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UCST) could be easily controlled by the different composition of dimethylamino and zwitterion groups. The effect of partial quaternization on thermoresponsive properties was also studi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with the same aqueous concentration (1.0 wt %) as employed for turbidimetry studies. The LCST and UCST values measured by DLS correlated well with those determined by turbidim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