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ltiazem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8초

랫트의 실험적 동맥경화증에 대한 $\beta$-Glucan의 예방 효과 (Preventive Effect of $\beta$-Glucan on the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in Rats)

  • 정의배;이영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2
    • /
    • 1986
  • The present studies were undertaken in attempt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 of $\beta$-glucan from barley ad diltiazem on cholesterol and vitamin D2 induced-atherosclerotic rat.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erized as follows. 1.The group, fed only the mixture of cholesterol and vitamin D2,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calcium, inorganic phosphorus, total cholesterol, lipid LDL-cholesterol and phospholipid in serum, and total lipid in the liver (p<0.05) as comparing with normal group. The aorta showed severe damage of disorganization, necrosis and lipid deposition in the elastic membrane. 2. The group fed mixture of cholesterol and vitamin D2 plus diltiazem simultaneously,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total cholesterol, total lipid and phospholipid in serum, and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n the liver (p<0.05) as comparing with normal group, but the significant decrease of calcium and inorganic phosphorus in serum(p<0.05) as comparing with the atherogenic control group. The aorta showed slight damage of elastic membrane and lipid deposition as comparing with the atherogenic control group. 3.The group, fed mixture of cholesterol and vitamin D2 puls $\beta$-glucan simultaneously,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total cholesterol, LDL and VLDL-cholesterol, total lipid, phospholipid and triglyceride in serum, and total lipid in the liver as comparing with the atherogenic control group(p<0.05), but the significant increase of calcium in serum as comparing with the normal group(p<0.05). The aorta showed no changes in elastic fiber and no lipid deposition in comparing with the atherogenic control group.

  • PDF

뼈조직과 세포에서의 칼슘이동기전에 대한 1,25 dihydroxycholecaliciferol과 Ca Ionophore A23187의 영향 (Effects of 1,25 Dihydroxycholecalciferol and Ca Ionophore A23187 on Ca Transports in Bone and Bone Cells)

  • 이선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1권3호
    • /
    • pp.173-181
    • /
    • 1988
  • Various types of evidence suggest that some changes in cellular in cellular calcium may well signal the initiation of a chain of events leading to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the bone resorbing agents. The effects of 1,25-dihydorxycholecalciferol, $1.25\textrm{(OH)}_2\textrm{D}_3$, Ca ionophore A23187 and calcium antagonist, diltiazem on bone resprption and the cellular transport of Ca were investigated. Bone $^{45}\textrm{Ca}$ desaturation experiment was realized in isolated heterogenous rat bone cells after equilibrating the cells with $^{45}\textrm{Ca}$. Results of $^{45}\textrm{Ca}$ desaturation experiments were analysed by fitting the $^{45}\textrm{Ca}$ desaturation curve to a model of 2 exponential terms which indicated the presence of 2 exchangeable cellular calcium pools. $1.25\textrm{(OH)}_2\textrm{D}_3$ (0.5ng/$m\ell$) induced significantly bone resorption which was decreased by the physiological dose of diltiazeme(above 5nmol/$m\ell$) although it was ineffective alone. Ionophore A23187 (0.2$\mu\textrm{g}$/$m\ell$) decreased Ca release from bone but no additivity of effect with diltiazem(20nmol/$m\ell$) was observed. $1.25\textrm{(OH)}_2\textrm{D}_3$ (0.5ng/$10^{6}$ cells) had a moderate effect on the two kinetic phases of $^{45}\textrm{Ca}$ desaturation curve and these values were normalized when diltiazeme (20nmol/$10^{6}$ cells) was added along with $1.25\textrm{(OH)}_2\textrm{D}_3$. Ionophore($0.05\mu\textrm{g}$/$10^{6}$ cells) alone increased specifically the value of the slow turnover rate which was not affected by addition of diltiazem. The hypothesis concerning the involvement of calcium in bone resorption seems in fact to be verified in case of $1.25\textrm{(OH)}_2\textrm{D}_3$ but more unsettled for Ca inophore A23187.

  • PDF

랫트에 있어서 페노바르비탈 전처리가 딜티아젬의 생체내 동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henobarbital Pretreatment on the Pharmacokinetics of Diltiazem in Rats)

  • 이용복;고익배;이민화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2권3호
    • /
    • pp.219-227
    • /
    • 1992
  • The influence of phenobarbital (PB) pretreatment (75 mg/kg/day, i.p. for 4 days) on the pharmacokinetics of diltiazem (DTZ) and its metabolite, desacetyldiltiazem (DAD), was investigated in rats. DTZ was injected via femoral (3 mg/kg) or portal (10 mg/kg) vein to the control and PB-pretreated rats. DAD was also injected separately via femoral (3 mg/kg) vein to both groups of rats. The intrinsic hepatic plasma clearance of DTZ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6.8-fold) by the PB pretreatment. However, the fraction of an intravenous DTZ dose converted to DAD $(F_mi)$ was only slightly (6%) increased and calculated metabolic rate constant of DTZ to DAD was not affected by the pretreatment. On the other hand, plasma free fraction of DTZ was increased (1.8-fold) from $4.24{\pm}0.25%$ to $7.45{\pm}0.54%$ by the pretreatment. However, the l.8-fold increase in the free fraction of DTZ would not explain the 6.8-fold increase in the hepatic intrinsic clearance of DTZ. Therefore, the increase in either the hepatic blood flow or the metabolism other than to DAD was expected as the probable mechanism(s) of the increased hepatic clearance of DTZ. Sequential metabolism of DAD to further metabolites, however, would be a more potential cause of the apparently unchanged metabolism of DTZ to DAD by the PB-pretreatment.

  • PDF

Preventive effects of imperatorin on perfluorohexanesulfonate-induced neuronal apoptosis via inhibition of intracellular calcium-mediated ERK pathway

  • Lee, Eunkyung;Choi, So-Young;Yang, Jae-Ho;Lee, Youn Ju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0권4호
    • /
    • pp.399-406
    • /
    • 2016
  • Early life neuronal exposure to environmental toxicants has been suggested to be an important etiology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development. Perfluorohexanesulfonate (PFHxS), one of the major perfluoroalkyl compounds, is widely distributed environmental contaminants. We have reported that PFHxS induces neuronal apoptosis via ERK-mediated pathway. Imperatorin is a furanocoumarin found in various edible plants and has a wide range of pharmacological effects including neuroprotec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mperatorin on PFHxS-induced neuronal apoptosis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are examined using cerebellar granule cells (CGC). CGC were isolated from seven-day old rats and were grown in culture for seven days. Caspase-3 activity and TUNEL staining were used to determine neuronal apoptosis. PFHxS-induced apoptosis of CGC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imperatorin and PD98059, an ERK pathway inhibitor. PFHxS induced a persistent increase in intracellular calcium, which was significantly blocked by imperatorin, NMDA receptor antagonist, MK801 and the L-type voltage-dependent calcium channel blockers, diltiazem and nifedipine. The activation of caspase-3 by PFHxS was also inhibited by MK801, diltiazem and nifedipine. PFHxS-increased ERK activation was inhibited by imperatorin, MK801, diltiazem and nifedipine. Taken together, imperatorin protects CGC against PFHxS-induced apoptosis via inhibition of NMDA receptor/intracellular calcium-mediated ERK pathway.

혈관 수축제의 뇌혈관 수축반응에 대한 혈관근 내피세포의 역할 (Modification of Endothelium on Contractile Response of Brain Vessels to Contracting Agents)

  • 국영종;백영홍;김종근;최봉규;최수형;김연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3-216
    • /
    • 1988
  • 돼지, 가표 및 가토의 뇌동맥에서 기저동맥 (basilar artery, BA)과 circle of willis동맥 (WC)의 동맥환을 만들어 혈관수축제와 calcium 길항제의 효과 그리고 내피세포의 역할은 검토하였다. 돼지 BA와 WC에 서 norepinephrine (NE), phenylephrine (PE)및 epinephrine (EP)은 propranolol $10^{-6}M$ 전처리하에서 그리고 KCI, histamine, 5-hydroxytryptamine (5-HT) 및 angiotensin은 모두 용량의존성 수축반응을 일으켰다. 그 최대수축력은 angiotensin에서 가장 적었고, 5-HT에서 가장 강력하였다. KCI 35 mM수축반응은 calcium 길항제로 용량의존성으로 억제되었고, 그 효력은 nifedipine > > diltiazem > flunarizine > oxybutynin > isosorbide dinitrate (ISDN) > glycerl trinitrate의 순서였다. 5-HT $10^{-5}M$의 수축반응은 nifedipine으로는 용량의존성으로 억제 되었으나 diltiazem과 ISDN으로는 경미한 억제만을 일으켰다. 내피세포동맥환에서 KCI 35 mM의 수축반응은 acetylcholine (ACh)으로 거의 영향받지 않았으나 $PGF_{2{\alpha}}\;10^{-5}M$의 수축반응은 ACh과 adenosine으로 용량의존성으로 억제되었고, 이 내피세포 의존성억제는 nifedipine $10^{-6}M$로는 영향받지 않으나 methylene blue $50\;{\mu}M$로는 현저히 억제되었다. 네피제거동맥환에의 $PGF_{2{\alpha}}$의 수축반응은 ACh의 영향이 없거나 더욱 수축되었다. 내피세포를 제거하지 않은 가토흉부대동맥편을 bath에 함께 넣어주면 ACh의 용량의존성 이완반응이 나타났고 이 이완반응도methylene blue로 억제되었다. 가묘 BA와 WC에서 5-HT와 NE는 용량의존성 수축반응을 일으켰고 ACh도 내피세포 존재유무와 관계없이 강력한 용량의존성 수축반응을 일으켰으며 그 최대수축력은 ACh에서 가장 강력하였다. 내피세포동맥환에서 5-HT $10^{-5}M$의 수축반응은 ACh에 의하여 이완반응없이 더욱 수측되었다. 가토 BA에서 5-HT와 NE는 응량의존성 수축반응을 일으졌고5-HT의 수축반응이 더욱 현저하였다. 내피세포동맥환에서 5-HT $10^{-5}M$의 수축반응은 ACh $10^{-5}M$로 현저하게 이완되있고 이 내피세포의존성 이완반응은 atropine $10^{-7}M$로는 억제되었으나 diltiazem $10^{-6}M$로는 거의 억제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성적은 돼지와 가토의 뇌동맥에서 ACh은 내피세포-의존성 이완반응을 일으키며그 이완반응은 muscarinic receptor를 통해 나타났고, 가묘뇌동맥에서 ACh은 혈관수축제의 역할을 갖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쥐의 타액선 방사선조사 후 만성반응에 Pentoxifylline과 Diltiazem이 미치는 영향 (Modification of Late Radiation Response of Rat Salivary Glands by Pentoxifylline and Diltiazem)

  • 서현숙;양광모;강윤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230-237
    • /
    • 1999
  • 목적 : 두경부암 환자들은 방사선조사 후 부작용으로 타액선의 기능부전인 구강건조증이 흔히 유발되어 치료 후 회복이 늦어지고 삶의 질이 저하된다. 방사선조사와 함께 혈류개선제로 알려져 있는 pentoxifylline (PTX)과 칼슘 통로차단제로 알려져 있는 diltiazem (DTZ)을 단독 또는 병합으로 투여한 후 타액선의 만성변화를 분석하여 이 약제들의 방사선손상 억제 가능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Sprague-Dawley 쥐 16마리를 네 군 즉, 1) 방사선조사 단독군, 2) 방사선조사와 PTX 투여군, 3) 방사선조사와 DTZ 투여군, 4) 방사선조사와 PTX, DTZ의 병합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4 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16 Gy 일회로 타액선 부위에 방사선조사를 시행하였다. PTX은 방사선조사 20분 전에 kg당 50 mg을, DTZ은 방사선조사 30분 전에 kg당 20 mg을 복강 내로 각각 투여하였다. 방사선조사후 10주와 16주후에 타액선을 절제하여 H&염색을 하여 병리학적 소견을 관찰하였고 만성변화의 객관적 지표인 세포질내 공포 형성의 정도를 백분율로 측정하여 각 군간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x^2$-검사에 의해 확인하였다. 결과 : 방사선조사 10주 후 타액선의 선방세포질 내에서 다수의 공포형성이 관찰되었으며 방사선조사와 PTX 투여군, 또는 PTX과 DTZ 병합투여군에서는 이들 세포질내 공포 형성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 vaiue, 0.001). 그러나 DTZ 투여군에서는 세포질내 공포 형성 정도가 방사선조사단 독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되지 않았다(p value, >0.05). 방사선조사 후 16주에 관찰한 실험 군들에서도 선방세포질내 공포형성의 차이가 10주군들과 각기 유사한 소견을 보였으며 10주와 다른 점은 선방세포의 전체 수가 감소된 것과 간질 내 섬유화의 증가였다. 결론 : 방사선조사를 받은 쥐의 타액선에서 PTX 투여, 혹은 PTX과 DTZ 병합 투여결과 만성손상이 감소되었음을 관찰하였고 이로 미루어 보아 PTX이 방사선조사후 발생하는 구강건조증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약제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PDF

알록산으로 유도된 당뇨가토에서 정맥투여된 딜티아젬의 약물동태 변화 (Pharmacokinetic Changes of Intravenous Diltiazem in Rabbits with Alloxan-Induced Diabetes Mellitus)

  • 최준식;이종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1-95
    • /
    • 2004
  • 당뇨환자가 합병증으로 고혈압이 있을 경우 항고혈압약물인 딜티아젬을 투여시 딜티아젬의 동태학적 측면에서 투여계획을 설계하기 위해서 토끼에 알록산을 당뇨병모델을 만들었다. 알록산으로 유도된 급성 및 만성 당뇨 토끼에서 딜티아젬의 약물동태 변화에 대한 결과는 당므과 같다. 1. Alloxan 45 mg/kg을 토끼의 귀정맥에 투여시 혈당농도는 control군에서 $112\pm20.6\;mg/dl$, acute DM군에서는 $260\pm897\;mg/dl$, chronic DM군에서는 $331\pm85\;mg/dl$으로 당뇨가 유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2. Alloxan에 의한 당뇨병 유발토끼에서 딜티아젬의 혈중농도곡선하면적(AUC)값은 대조군$(21.6\pm2.45\;\mug/ml)$ 보다 chronic DM군$(31.91\pm379\;mg/ml{\cdot}hr)$에서 유의성(p<0.05) 있게 증가하였다. 3. 딜티아젬의 요중누적배설량은 대조군에 비해 acute 및 chronic DM군에서 감소되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4. 당뇨병 유발 토끼에서 딜티아젬의 토탈바디클리어런스$(CL_t)$ 값과 $\beta$-소실속도정수값이 대조군에 배해서 유의성(p<0.05)있게 감소되었다. 실험적 당뇨 토끼에서 딜티아젬의 생체이용률의 증가는 딜티아젬의 토탈바디클리어런스$(CL_t)$ 값과 베타의 소실속도정수 값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성있게 감소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전기자동차 개발

  • 임성기
    • 전기의세계
    • /
    • 제41권12호
    • /
    • pp.21-30
    • /
    • 1992
  • 내연기관의 가솔린자동차보다 역사가 오래된 전기자동차는 상대적으로 주생성능과 가격 경쟁력의 열세로 그 자취를 감추었고 최근까지 주로 특수목적의 단거리 저속차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1890년대 후반부터 전세계가 자동차배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과 지구온난화 현상등의 문제를 심각하게 공감하게 되었고 마침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전가자동차의 강제판매를 규정화하게 이르렀다. 이 규정에 의하면 1998년도부터 차량 판매대수의 2%를 전기자동차 판매로 강제요구하고 있다. 이 비율은 2000녀도에 5% 2003년에는 10%로 늘어날 계획이다. 따라서 미국에 많은 자동차를 수출하고 있는 일본, 독일 및 여러 유럽국가에서는 이 사업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며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미국의 Big3도 에너지성의 도움으로 최근 USABC를 결성하여 전기자동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기존의 가솔린자동차 기술에 있어서 일본과 독일에 상대적 열세에 있었던 미국도 이번 캘리포니아주의 전기자동차 강제판매 규정에 따른 전기자동차 사업으로 미국자동차 시장의 새로운 판도를 조성하겠다는 의도인듯하다. 국내에서도 정부가 이 사업의 중요성을 심각히 인식하고 G7사업과제의 하나로 선정하여 산, 학, 연 각층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성공적으로 개발을 마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평균주행성능을 보면 최고속도 100-120km/h, 일층전 최대주행거리 150-200km 정도이며, 아직 양산체제에 돌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격면에서 경쟁력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1990년도에 들면서 각종 요소부품들의 기술수준이 급성장을 이루어서 앞으로 10년정도 후면 성능과 가격면에서 가솔린자동차와 대등한 수준의 전기자동차 개발이 실현될 수 있으리라 예측된다.는 영향받지 않았다. Clonidine의 심박수 감소작용은 .뇌실내및 정맥내 diltiazem이나 nifedipine 처리후에 감약되었다. 5). 뇌실내 clonidine$(30{\mu}g)$ 처 리후 뇌실내 diltiazem$(400{\mu}g)$과 nifedipine$(350{\mu}g)$의 혈압하강및 심박수 감소효과는 영향 받지 않고 그대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diltiazem과 nifedipine은 가토뇌내에서 methoxamine에 의한 혈압상승의 작용점인 alrfia-1 adrenoceptor의 흥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clonidine의 작용점인 alpha-2 adrenoceptor의 흥분에 의한 혈압하강및 심박수 감소효과는 억제한다고 추론하였다.thin 함량은 110.6 mg/L로서 산업적인 생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변이주 B76 및 이의 대량 발효를 위한 최종조건의 정립은 향후 astaxanthin의 산업적 생산공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색총말내에 소형의 도형, 소형의 장형 연접소포 및 DENSE CORE VESICLE의 3가지 연접소포를 가지고 있었고 출현빈도수는 촉각엽에서 가장 큰 33%이었다. 제5형 신경연접은 축색종말내에 중등도크기의 원형, 대형의 원형연접소포 및 DENSE CORE VESICLE을 포함하였고 13%의 출현빈도수로 관찰되었다. 배추횐나비의 촉각에 있는 지각신경세포가 뇌의 촉각엽으로 뻗어 들어가 위의 5가지 신경연접중 어느 형을 형성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좌측 촉각의 기부를 제거하여 지각신경세포를 절단하였는데 그 결과, 좌측 촉각엽에서 제4형의 신경연접이 퇴행성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