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resource

검색결과 707건 처리시간 0.029초

디지털도서관 정보관리자를 위한 전자정보자원관리시스템 구축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Digital Librarian)

  • 한종엽;조현양;기명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3-287
    • /
    • 2006
  • 정보매체와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통적인 도서관은 디지털도서관으로 진화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환경에서 급증하는 다양한 전자정보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의 전자정보자원으로는 전자저널, 웹 데이터베이스. 전자책, 오픈엑세스 자원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DLF의 ERMI를 분석하여 국내 디지털도서관 정보관리자를 위한 ERMS를 구축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자정보자원의 다양한 생성주기, 구독모델, 수록범위, 정보제공자를 조사하여 ERMS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학교도서관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stablishing School Library Digital Resource Room)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7-90
    • /
    • 2003
  •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 제7차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학교도서관이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시범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시범 운영중인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도에 설치된 96개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대상으로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초.중등학교의 도서관정보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마련하고자 한다.

  • PDF

대학도서관 전자자료 업무의 현안과 해법: 국립대학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Problems in and Solutions for Developing Digital Information Resource: the Case of Korean National University Librarie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45-175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전자자료 구독 업무와 관련하여 한국의 대학도서관들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의 실체와 원인을 밝혀내고, 개별 대학도서관들은 물론이고 대학도서관계 전체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전략과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10개의 거점국립대학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전자자료 구독 현황과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그들 도서관에서 전자자료를 구독하는 과정에서 드러내 보이는 업무행태적 특징과 한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더불어 기존의 전자자료 구독 행태가 향후 대학도서관과 사서집단에 미치게 될 부정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서, 그러한 업무행태를 혁신하기 위한 거시적 전략과 미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논의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는 관련 문헌과 통계에 대한 분석 그리고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자료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들과의 면담을 통해 확보하였다.

공공도서관 디지털 정보자원요소 중요도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in Public Libraries)

  • 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3-433
    • /
    • 2010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정보자원의 유형별 중요성을 파악하고자한 사례연구이다. 공공도서관의 수적 증가와 함께 디지털 정보원을 매개로 한 정보서비스의 고도화에 있어서도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현재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정보자원은 주로 디지털자료실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소극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디지털 정보원을 활용한 서비스도 활성화 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 원인을 콘텐츠에서 찾고자 하였다. 시설투자에 비하여 적정한 규모를 확보하지 못한 정보자원 측면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에서 디지털 정보원을 수집, 관리하는데 있어서 기본이 되는 콘텐츠 측면의 요소들에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고 각각의 중요도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정보자원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연구와 해외 주요 공공도서관 사례로부터 정보자원에 해당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서베이를 거친 후 도출된 정보자원 요소들과 중요도를 조사하여 제안함으로써 향후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콘텐츠 구성에 참고가 되고자 하였다.

Digital Government Application: A Case Study of the Korean Civil Documents using Blockchain-based Resource Management Model

  • Hanbi Jeong;Jihae Suh;Jinsoo Park;Hanul J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2권4호
    • /
    • pp.830-856
    • /
    • 2022
  • The Digital Government landscape is changing to reflect how governments try to discover innovative digital solutions, and how they transform themselves in the process. In addition, with the adv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e-governance became an essential part of the government. Among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Minwon24 online portal is the most used one. However, it has some processing limitations, namely: (1) it provides a cumbersome document authenticity service; (2) people cannot know what happened even if the agency handles the documents arbitrarily. To address the issues outlined above, blockchain processing can be a good alternative. It has a tremendous potential in that it has maximum transparency and a low risk of being hacked. Resource management is one of the areas where blockchain is frequently used. The present study suggests a new model based on blockchain for Minwon24; the proposed model is a type of resource management. There are three participants: issuer, owner and receiver. The proposed model has two stages: issuing and exchanging. Issuing is creating civil documents on the database, which is BigchainDB in this study. Exchanging, the next stage, is a transaction between the owner and the receiver. Based on this model, the actual program is built with the programming language Python. To evaluate the model, the study uses various criteria and it shows the excellence of the model in comparison to others in prior research.

국내 디지털 도서관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Digital Library Research Trends in Korea)

  • 강보라;김희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디지털 도서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대표 학술지 4종으로부터 최근 10년(2007년-2016년) 동안 발표된 디지털 도서관 관련 논문 272편을 대상으로 해당 논문의 저자가 직접 부여한 영문키워드 578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etMiner V.4를 사용하여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연구 주제의 양적인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Public Library', 'E Resource', 'E Book' 순으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 주제의 영향력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Reference Service',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의 확장성 측면에서는, 'Academic Library', 'Metadata', 'Information Behavior', 'E Resource', 'Librarian'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IoT Device Testing for Efficient IoT Device Framework

  • Gong, Dong-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2호
    • /
    • pp.77-82
    • /
    • 2020
  • IoT devices frequently require input resources to communicate with various sensors or IoT platforms. IoT device wastes a lot of time as idle time or waiting time to check the data of the input resource and use the input resource. In addition, IoT devices use various input resources. We compares and analyzes input idle time and input waiting time generated from hardware serial input resource, software serial input resource, digital port input resource, and analog port input resource using Arduino widely used as IoT device. In order to design the IoT device framework,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put resources and to design them to minimize unnecessary input idle time and input waiting time. The analog input wait time has a much larger input wait time than the digital input wait time, so it must be designed to receive analog information periodically at the appropriate tim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resources analyzed in this way help to design an efficient IoT device.

디지털 도서관의 웹자원 기반 장서개발 (Web Resources Based Collection Development for Digital Libraries)

  • 이지연;김성언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1-127
    • /
    • 2003
  • 각종 정보원이 웹으로 제공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는 현실에서 웹자원은 단순한 정보제공 차원을 뛰어 넘어 실물 장서와 같이 체계적인 관리과 이용의 대상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웹기반 장서개발을 위해서는 표준화된 웹자원 평가요소의 확립이 시급한데, 웹자원 평가요소로는 일반적으로 권위성, 신뢰성, 내용의 성실성, 기능성, 연결성, 접근성, 구조 및 디자인, 링크사항, 이용자 지원 및 보호 등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효과적인 장서개발을 위해서는 웹자원의 유형별 특성을 감안하여 특정 평가요소를 강조하거나 포함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또한 디지털 도서관의 웹자원 기반 장서개발 전략을 위해서 가치, 요구, 중복 방지, 지적 재산권, 지적 통제 평가기준은 면밀히 검토되어야 한다. 웹자원 평가의 객관성과 일관성을 위해 선정위원회를 조직하거나 웹환경 장서개발 모형을 개발하는 것, 다른 디지털 도서관과의 협력을 증진시켜 새로운 기준, 프로토콜, 마크업(markups), 메타데이터 등을 공유하게 하는 것, 이용자 중심의 장서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것 등은 더 나은 웹자원 장서개발을 위한 또 다른 전략으로 제시되었다.

A Study on the Change of Education System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 Industry

  • Kim, Ji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3호
    • /
    • pp.145-150
    • /
    • 2019
  •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the environmental change of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is rapidly progressing. The scop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is affecting not only the entertainment industry but also various industrie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vergence using realistic content, games, video, and VR have provided new opportunities for the growth of the content industry. The researcher determined that a new education system would need to be changed as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developed. For this purpose, an AHP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experts with a high basic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 platform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proposed a platform model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an education system that meets the demand of digital contents industry. The education system for nurturing talents needed by future society should include elements that can interest the learning of users. The platform should not be approached from a system point of view, but should be developed from the content and user's point of view, considering the platform's original purpose.

자원 공유 커뮤니티를 위한 인증 기술과 신뢰관계사슬 (Authentication and Trust Relationship Chaining for Resource Sharing Community)

  • 김정곤;김신곤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55-69
    • /
    • 2010
  • This article proposed the authentication protocol for peer-to-peer resource sharing community. The proposed protocol does not require a priori information for generating and exchanging authentication key. Also this protocol can provide the delicate access control by allowing the user(authenticator) to assign the trust level to the authentication supplicant, which can be used to decide if the resource providing node will accept the resource sharing request from a resource requesting node. Trust Relationship Chaining provides the environment where trust levels (included in the trust table) of nodes in the resource sharing community are propagated among nodes when trust tables are exchanged between two nodes engaged in mutual authentication process and authentication refresh so that any two nodes which are not directly mutual-authenticated can assign the trust level each other for the access control for resource sharing. In the proposed protocol a node can implements the authentication refresh continuousl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uthentication after mutual authentication so that the authentication of new node or authentication revocation(effectiveness cancellation) of the departed node can be propagated to the all the nodes in RSC and eventually safe resource sharing community is configu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