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library

검색결과 1,243건 처리시간 0.027초

CiteSpace 적용을 통한 디지털 보존 지식영역 비주얼화 연구 (A Study on Visualization of Digital Preservation Knowledge Domain Using CiteSpace)

  • 김희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89-104
    • /
    • 2005
  • 디지털 보존 주제분야를 중심으로 지식영역 비주얼화(knowledge domain visualization)를 시도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1990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간 동안의 Web of Science DB를 중심으로 총 74건의 문헌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지식영역 비주얼화를 위하여 사용한 툴은 서지DB를 중심으로 비주얼 데이터마이닝 결과를 제공하는 Java 어플리케이션인 CiteSpace이다. 분석 결과, 디지털 보존 분야의 핵심적인 지식 영역은 최신정보기술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보존전략, 정보네트워크와 보존시스템, 전자정부와 지식관리의 세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상의 디지털 문화컨텐츠 분류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Digital Culture Contents on the Internet)

  • 김성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81-200
    • /
    • 2002
  •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하에서 디지털 문화 컨텐츠를 재정의하고 문화컨텐츠 산업의 범위를 구분하였다. 또한, 현재 5개 인터넷 검색엔진을 선정해서 문화컨텐츠 분류현황을 분류체계조건, 주제의 논리성을 기준으로 분석한 후 새로운 분류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정보 및 문화컨텐츠의 효율적인 검색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현황 및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Component of Digital Archive)

  • 최원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3-40
    • /
    • 2001
  • 디지털 기술은 정보의 생산, 저장, 배포를 위하여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경제적, 국가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아카이브의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디지털 정보의 장기 보존과 관련된 배경과 이슈들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선택, 구분, 보존, 관리 등의 구성 요소와 미래의 전망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 PDF

건설 통합 설계를 위한 라이브러리 구축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thod of Building Library for Integrated Design in Construction)

  • 송춘동;전영일;김활수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6-23
    • /
    • 2002
  •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building integrated library to supported to CAAD of the A.E.C field that is oriented to the environment of integrated design. In this research, we design and implement a new library model as a solution of design-data sharing and multi-displaying that is on the rise among many problems in construction integration. We name this integrated library ACO(Actual Component Object) and using the ACO, we can share data without loss in the fields such as construction, estimation, structure. Together with this, the different expressions along each field provide the solution of sharing both graphic data and non-graphic data. This ACO is a newly conceptualized Library that is able to supply a composite structure to an architect(designer) through the internet-based ACO System. To the ACO System that supplies those ACO service, we introduce the concept of DBMS in design and design administrator, and we investigate the solutions that enable an architect to use this ACO directly on the Web.

  • PDF

Verilog UDP Library의 등가 게이트수준 모델 생성 (Generation of Gate-level Models Equivalent to Verilog UDP Library)

  • 박경준;민형복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0권1호
    • /
    • pp.30-38
    • /
    • 2003
  • Verilog HDL의 UDP(User Defined Primitive) 라이브러리는 디지털 회로 설계 과정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합성이 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이와 등가의 게이트수준 라이브러리를 따로 만드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등가의 게이트수준 모델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는 테스트 과정에서 고장 검출율을 낮추는 요인이 되므로 등가 게이트수준 모델 생성은 필수적이며 이의 자동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매우 복잡한 알고리즘이 발표되기는 했지만 Verilog UDP library의 특성상 보다 더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알고리즘이 간략해짐에 따라 이를 구현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과 노력이 절약되고 프로그램 실행시간도 크게 줄일 수 있다.

UML을 이용한 도서관 자료 구입 모델링 (Library Material Acquisition Process Modeling Applying UML)

  • 김성혁;김현주;김경옥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83-101
    • /
    • 2001
  • 본 연구는 전통적인 도서관의 자료구입과 관련한 수서 업무에 전자상거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작업흐름개념을 응용하여 도서관 자료구입 프로세스를 재설계(BPR)하였으며 재설계된 업무를 비주얼 모델링 개념을 이용한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수서 업무의 재설계를 통해 도서관의 자료 구입 업무과정을 유연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델을 통해 도서관, 정보센터뿐만 아니라 출판사, 출판 대행사, 배송 및 결재업체 등의 관련 분야 참여자들의 업무를 효율화하고 나아가 전통적인 도서관 업무에 종사하는 사서들을 새로운 업무로 전환시켜 도서관 운영의 디지털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도서관 통합서비스 모델로서의 Information Commons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formation Commons as Model of Library Integrated Service)

  • 정미경;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47-363
    • /
    • 2007
  • 디지털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용자의 서비스요구는 다양해지고 복잡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대학 도서관을 중심으로 도입 확산되고 있는 Information Commons의 정의, 개념, 유형 등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Information Commons는 단순한 도서관 시설이나 공간이 아니라 디지털 정보환경에서 비롯된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이행하기 위한 협력적 서비스의 제공, 인적자원의 제휴, 물리적인 공간 및 시설의 재정의가 수반된 통합적 서비스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Information Commons의 성공적인 도입 및 구축을 위해서는 디지털 정보자원에 대한 접근, 유기적이거나 연속적인 서비스의 제공,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원의 통합이 선행되어야 한다.

DLS 종합목록의 교과 연계성 분석 (The Analyses of Relationships Between Curricula and Union Catalog of Digital Library System)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5-7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DLS 종합목록의 교과 연계성을 분석하고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연계성 평가 기준으로 포괄성, 상세성, 최신성 그리고 소장처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서울지역 사회과의 도서관활용수업 학습주제를 활용하여 이러한 분석기준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DLS 종합목록은 도서자료 중심의 학습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보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상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서 학습 공동체를 만족시키는데도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과 목록의 교육적 가치를 이해하고 있는 사서교사를 배치하여 종합목록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자도서관의 발달과 전망 (A study on the electronic library)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351-371
    • /
    • 1995
  • This paper intends to describe the concept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electronic library, to examine som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CD-ROM, electronic books, multimedia and networks, and to analyze cases of electronic library. Electronic library is able to offer many services in digital form, ranging from bibliographic databases on CD-ROM running on standalone computers, to fully networked abstracts and texts, available inside and outside the library. For users, the electronic library is a means of improving the speed of access to library materials, of providing a simple means of the selecting materials amid the glut of information available, and of eliminating the need to visit a library for many information inquires. In summary, electronic library has the potential to give scholars better service than conventional libraries, at a lower cost. However, remember that, today, almost all these benefits are still potential.

  • PDF

국가도서관장의 전문성 확보방안 연구 (A Study on Ensur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National Library Director)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87-106
    • /
    • 2011
  • 국가도서관은 자국에서 출판되거나 생산된 모든 중요한 출판물과 디지털 정보를 수집 보존할 책임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장은 도서관 및 정보시스템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직무를 수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역대 국립중앙도서관장은 도서관 및 정보시스템 분야의 전문지식과 관리경력이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개방형 직위제, 책임행정기관화, 정무직화, 특수법인화의 측면에서 국립중앙도서관장의 전문성 강화 내지 확보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