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information usage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5초

시니어 소비자의 모바일 디지털정보 활용의 결정 요인: 2차적 디지털 격차를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Mobile Digital Information Usage among Senior Consumers: Focusing on secondary digital divide)

  • 김효정;이진명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6호
    • /
    • pp.493-506
    • /
    • 2018
  • This study analyzes factors that determine the usage of digital information by senior consumers in the mobile environment. Senior consumers are alienated from digital information in South Korea; therefore, there have been increasing attempts to resolve this digital divide and reduce the digital information usage gap between young adults and senior consumers. The study used panel data from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7); there were 1,463 participants, aged 50-79 years. SPSS 19.0 was used to conduct the statistical analyses for frequency, factor analysis, Cronbach' ${\alpha}$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gative attitude toward information society negatively influenced the mobile digital information usage in diversity context. Second, average monthly income, degree of digital device usage motivation, positive attitude toward digital device usage, digital literacy of PC & Mobile, and family support positively influenced the mobile digital information usage in diversity context. Third, negative attitudes toward information society negatively influenced the mobile digital information usage in quality context. Forth, average monthly income, degree of digital device usage motivation, positive attitude toward digital device usage, digital literacy of PC & mobile, and family support positively influenced the mobile digital information usage in quality context. The study results can help further understand mobile usage behaviors among senior citizens and the implications on their quality of life in the digital information era.

전자학술정보 이용통계 유통을 위한 표준 플랫폼 구축 (Implementation of Standard Platform for Distributing Usage Statistics of Digital Scholarly Information)

  • 정영임;김재훈;김광영;김환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1-72
    • /
    • 2014
  • 전자학술정보의 활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대규모 이용로그 정보의 처리가 가능해지면서 전자학술정보의 이용에 대한 분석이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각 출판사에서 각기 다른 형태와 방법으로 생성한 이용통계를 표준 포맷으로 통합 수집하여 국가 차원의 이용량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520여 기관의 전자학술정보 이용통계를 통합 수집하고, 이용통계 데이터 표준 프로토콜인 SUSHI(Standardized Usage Statistics Harvesting Initiative)에 기반하여 유통할 수 있는 플랫폼 모델을 제안한다.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문영임;이성규;김지혜
    • 정보화정책
    • /
    • 제28권4호
    • /
    • pp.36-53
    • /
    • 2021
  • 최근 우리사회는 지능정보사회로의 진입과 디지털 대전환으로 인해 개인의 삶에서 디지털정보화 활용 능력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취약계층인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이들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지능정보사회연구원의 「2020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장애인 2,200명이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경우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부(-)적인 조절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이 사회적 지지에 의존하기보다 자립과 자력으로 디지털기기 및 기술을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활용할 시 삶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정책 및 실천현장에서 이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디지털 기기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적 자본 관점 (Effect of Social Relation on Digital Device Usage: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 구윤모;오주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3호
    • /
    • pp.131-149
    • /
    • 2019
  •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보급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접근'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정보의 효과적인 '활용'과 능동적인 '생산', '공유'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가 중요한 것은 디지털 기술의 활용 행태가 개인의 인적, 물적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사회적 불평등 구조를 재생산하거나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가 두 가지 유형의 사회적 자본(결속형, 가교형)을 매개로 디지털 기기의 경제적 활용과 사회참여적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문리서치 업체를 통해 수집된 740건의 설문조사 데이터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수평적일수록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의 사회적 관계는 두 가지 형태의 디지털 기기 활용(경제적, 사회참여적)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사회적 자본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교형 사회적 자본의 경우 두 가지 형태의 디지털 기기 활용 모두에 대해 매개효과가 존재했지만, 결속형 사회적 자본은 경제적 활용에 대해서만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에 대한 해석과 함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의 디지털 아이템 구매와 실제 사용에 관한 연구: 종단적 관점에서 (Exploring Purchase Behavior of Digital Items and Actual Usage in a Social Network Site: A Longitudinal Perspective)

  • 김병수;한세희;강영식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1권2호
    • /
    • pp.97-114
    • /
    • 2012
  • Given the rapid growth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such as Facebook and Cyworl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SNS users' decision-making processes such as purchasing and continuance intention. Especially, as a number of SNS providers such as Cyworld and Habbo Hotel recognize the sales of digital items as the main source of their profits, it is critical to in-depth understand SNS users' purchasing behavior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continued usage behaviors and purchase behaviors of digital items in an SNS environment using a longitudinal research method. This paper develops a theoretical model to deeply understand the key drivers of purchase behavior of digital items through constructs prescribed by two established research streams on information systems, namely continuance usage and habitual usage. Moreov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ctual and ideal self-image congruity on SNS continuance intention and habit.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307 users who have experience with Cyworl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SNS actual usage directly influence purchase behavior of digital items. SNS users' continuance intention and habit are key drivers to enhance the level of actual usage of the SNS. Both actual and ideal self-image congruity play a key role in enhancing continuance usage and habitual usage. The implication of research and discussions provides reference for SNS providers in marketing and IT strategy.

결혼이민자 여성소비자의 디지털정보격차지수 결정 요인: 연령별 차이 연구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digital divide: Focusing on married female immigrants)

  • 김효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3호
    • /
    • pp.217-232
    • /
    • 2018
  •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ing factors of the digital divide index in married female immigrants based on panel data from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6). There were 287 participants, all of whom owned a smartphone. The study divided the consumer groups into three age groups: 20-29, 30-39, and 40-49 years. SPSS 19.0 was us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result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were described using frequency, descriptive, cross-tab,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nationality, acquisition of Korean nationality, and duration of living in Kore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Second, digital competency and online service usage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Third, PC usage ability, mobile usage ability, and diversity of online usag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igital divide index in all age groups. Fourth, residential duration in Kore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igital divide index for groups in their 30s and 40s. Fifth, Lonel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igital divide index for groups in their 20s. Sixth, de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igital divide index for groups in their 30s. The study will help to further understand age-related differences and the digital divide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중고령자의 디지털 이용태도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과 디지털 정보생산·공유활동의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 (Impact of attitude towards digital usage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 and older adults: Sequential Mediation analysis in online networking activity and digital information production·sharing activities)

  • 김수경;윤희정;이대겸;신혜리;김영선
    • 한국노년학
    • /
    • 제40권1호
    • /
    • pp.131-14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디지털 이용태도와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과 디지털 정보생산·공유활동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Hayes(2013)의 PROCESS for SPSS Macro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이용태도와 생활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고령자의 디지털 이용태도가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을 경유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디지털 이용태도가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을 거쳐 디지털 정보생산·공유활동을 경유한 후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0291단위만큼 유의하게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중고령자의 디지털 이용태도와 생활 만족도,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 디지털 정보생산·공유활동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중고령자의 디지털 이용 및 생활 만족도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ocial Capital)

  • 윤희정;신혜리;김영선
    • 정보화정책
    • /
    • 제27권4호
    • /
    • pp.85-100
    • /
    • 2020
  •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을 파악하고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중고령자의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서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전국의 55세 이상 중고령자에 해당하는 1,662명이다. 분석자료는 SPSS 25.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높고 사회적 자본 수준, 연령이 높으며, 여성, 비독거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더불어 사회적 자본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Investigating Consumer Innovativeness for New Media Infusion: Role of Literacy in the Context of OTT Services in Korea

  • Park, Keon Chul;Lee, Sangm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6호
    • /
    • pp.1935-1952
    • /
    • 2022
  • Consumer innovativeness plays a vital role in explaining consumer dynamics, such as adoption, usag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 new world of disruptive online media. This empirical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and digital literacy in the adoption and expansion of new technology-based media services, focusing on OTT services. Extending the theory of adoption of new technologies by innovators to new media environment centered on OTT services, it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four dimensions of motivated consumer innovativeness on OTT service usage. The Korea Media Panel Data of 2019, where overall ICT usage and media consumption of a broad panel of respondents was collected, was used for the analysis. From the data of 10,864 respondents, 4,031 (37.1%)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 in using OTT services.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innovativeness of consumers and their use of OTT services,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he bootstrap method was applied to reveal that all four dimensions of consumer innovativeness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new media usage through digital literacy, thus indicating how digital liter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pread of new digital services in addition to consumer innovativeness. The findings are important in that they can help in the efforts to introduce new technologies to the public and educate them to improve their digital literacy so that they can enjoy the complete experience of using these new digital products.

음원의 디지털화에 따른 음악 시장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Music Industry)

  • 전병준
    • 통상정보연구
    • /
    • 제7권4호
    • /
    • pp.3-21
    • /
    • 2005
  • Music industry confronts turbulent change through the explosive usage of internet in downloading music files by consumers. Internet substitutes traditional music distributional channel and develops new digital music market. This study examines what change has been brought to music industry in both domestic market and global market by the usage of internet. The study also discusses some cases and legal issues in digital music indust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