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humanities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1초

연구자 중심의 지중해전자문화지도(MECA)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diterranean Electronic Cultural Atlas(MECA) for Researchers)

  • 강지훈;이동열;유영중;문상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57-66
    • /
    • 2016
  • 전자문화지도는 디지털인문학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기본적으로 문화정보를 지도를 활용해 시각화, 즉 정보시각화로 나타내므로 사용자는 해당 지역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따라서 지역연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지도를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와 더불어 특정 주제, 시간정보를 연계하여 나타내므로 특정 지역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건 등에 대한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전자문화지도는 특정 지역을 인문·지역학을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특화된 디지털인문학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명, 종교, 지역, 인종, 언어 등의 문화가 다양한 양상의 교류로 인해 혼종되어 있는 지중해 지역을 대상으로 지중해 지역 연구를 위한 지중해전자문화지도(MECA: Mediterranean Electronic Cultural Atlas)를 설계 및 구현한다. 세부적으로 지중해지역과 관련된 연구결과물을 전자문화지도상에 시각화하여 표현하고 이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인문학 연구지원시스템'을 구축한다.

Analysis of Impact Between Data Analysis Performance and Database

  • Kyoungju Min;Jeongyun Cho;Manho Jung;Hyangbae Le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1권3호
    • /
    • pp.244-251
    • /
    • 2023
  • Engineering or humanities data are stored in databases and are often used for search services. While the latest deep-learning technologies, such like BART and BERT, a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humanities data still rely on traditional databases. Representative analysis methods include n-gram and lexical statistical extraction. However, when using a database, performance limitation is often imposed on the result calculations. This study presents an experimental process using MariaDB on a PC, which is easily accessible in a laborator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database on data analysis performance. The findings highlight the fact that the database becomes a bottleneck when analyzing large-scale text data, particularly over hundreds of thousands of records. To address this issue, a method was proposed to provide real-time humanities data analysis web services by leveraging the open source database, with a focus on the Seungjeongwon-Ilgy, one of the largest datasets in the humanities fields.

주제어 토픽모델링을 통한 IT 인문학 개념의 정립 (Conceptualization of IT Humanities through Keyword Topic Modeling)

  • 최영미;박남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467-480
    • /
    • 2022
  • 이 논문은 IT 인문학 관련 연구의 동향을 탐색함으로써 IT 인문학이 어떤 개념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디지털 과학기술 IT과 인문학 조합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꾸준히 수행되어온 국내외의 문헌을 통해, IT 인문학의 기원과 배경, 유사 개념을 바탕으로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IT 인문학의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IT 인문학' 및 'IT humanities' 검색어를 활용하여, 2001년 이후 발간 된 학술논문 중 주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KCI급 1,566편, SCI급 64편을 대상으로 주제어의 네트워크 토픽 분석을 실시하였다. IT 인문학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논문에서의 IT 인문학의 의미는 다양한 분야의 IT 정보기술이 인문학의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역량과 관련이 있었다. 토픽모델링 결과는 IT 인문학과 융합하는 분야 대상, 적용되는 형태, 문학·문화와의 연관, IT 인문학의 창출의 네 가지 군집으로 형성되었다. IT와 인문학의 융합은 한 쪽이 다른 한쪽을 도구화하거나 일방적으로 수렴하는 구조가 아닌, 상호 존중에 기초한 협업의 자세로 새로운 사유를 창출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인문학 전공자의 위기를 통한 융합교육의 방향성 고찰 (A Study on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Majors)

  • 이재홍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07-216
    • /
    • 2015
  • 최근에 인문학의 위기와 함께 인문학 전공자들의 실업률이 상당히 높다는 통계가 서울노동권익센터와 고용노동부에서 발표되었다. 곧이어, 정부가 발표한 '인문계 전공자의 취업을 촉진시키는 방안'을 중심으로 인문 전공자 취업 정책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계기로 인문학적 상상력과 공학적 상상력의 융합으로 인한 부작용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인문학도들의 취업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인문학적 융합 교육의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문학은 거시적 인문융합보다는 미시적 인문융합에서 활발하게 통섭이 이루어져야 하며, 미시적 융합이 탄탄하게 통섭되어 스토리텔링의 완성도를 높였을 때, 비로소 거시적 융합의 효과는 극대화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인문학 전공자들의 실업률을 타개하기 위해 융합형 인재 양성이 시급하며, 학제간 융합시스템에 의한 프로젝트를 가동시키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라는 결과를 돌출시킬 수 있었다.

갑골(상형)문자의 디지털화 조망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and Digital Age - The View of Digitalization of Ancient Scripts (Hieroglyphic Character) -)

  • 이주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17-23
    • /
    • 2016
  • 중국의 고대 문자인 "갑골문" 상형문자를 디지털과 결합시켜 대중화 시키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표의문자 (表意文字) 인 중국 문자는 표음 문자 (表音文字) 인 한글과는 다르게, 보여 지는 시각효과가 크고 또 그 이미지화된 자료를 가지고 의미를 상고해 내는 작업을 함에 있어서 디지털의 기술을 빌려 쓴다면, 앞으로 중문학계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인문학계와 융합하는 문제는 시간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고대(상형) 문자를 컴퓨터과학, 즉 디지털과 결합시킨다는 것은 e-learing 의 기술적인 도입과 결합과도 상관이 있을 것 같은데, 앞으로 디지털 시대를 맞아하여 인문학과 자연과학과의 결합이 절실해 지리라 본다. 이를 위하여 e-learning 과 디지털 교육이 시급하며, 상형문자(표의문자)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자료화 작업은 교육에 있어서도 매우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Digital Bank Channel Distribution: Predictors of Usage Attitudes in Jakarta's Gen Z

  • Eko Retno, INDRIYARTI;Michael, CHRISTIAN;Henilia, YULITA;Titik, ARYATI;Regina Jansen, ARSJAH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21-34
    • /
    • 2023
  •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makes young people more likely to use digital banking. This is because digital banking services and their distribution channels are technologically advanced, which can be a double-edged sword between ease of use and resistance to technolog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included 320 participants from generation Z in Jakarta who use digital bank and used a quantitative method with PLS-SEM. Results: This study explains how, in addition to usefulness, costs, and self-efficacy, resistance to technology has a direct effect on usage attitudes. Meanwhile, if the attitude of use is preceded by aspects of usefulness, self-efficacy, and awareness, resistance to technology will be felt indirectly. Conclusions: This demonstrated that most discussed factors, such as Ease-of-Use and security of use, are important for Generation Z users but no longer a major consideration in accepting digital banking. Aside from being more open to the use of technology in digital banks, Generation Z also desires a balance of technology services and benefi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excludes social variables, uses certain generations, and limits the research area to one large city, which can be expanded in future studies.

Development of Ontology for Thai Country Songs

  • Thunyaluk, Jaitiang;Malee, Kabmala;Wirapong, Chansanam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1호
    • /
    • pp.79-8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ntology for Thai country songs by using the seven steps of an ontology development process. Hozo-Ontology Editor software and Ontology Application Management Framework were tools used in this study. Nine classes of ontology were identified: song, singer, emotion, author, language used, language type, song style, original, and cont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song class had a relationship with all of the other classes. The developed ontology was evaluated by seeking opinions from experts in the field of Thai country songs, who agreed that the ontology was highly effective. Additionally, the evaluation employed the knowledge retrieval concept, and the precision, recall, and overall effectiveness were measured, with a precision of 92.59%, a recall of 86.21%, and an overall effectiveness (F-measure) of 89.28%.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veloped ontology is highly effective in describing the scope of knowledge of Thai country songs.

디지털 인문학에서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사조 분류 방법 (Mining Intellectual History Using Unstructured Data Analytics to Classify Thoughts for Digital Humanities)

  • 서한솔;권오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1호
    • /
    • pp.141-166
    • /
    • 2018
  • 최근 디지털 인문학 (Digital humanities) 연구분야의 등장으로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인문학 연구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인문학 연구에서 특정한 인물 혹은 문서가 어떠한 사상 (idea)을 담고 있는지와 다른 사상과의 어떤 연결성을 가지는지를 자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은 지성사(intellectual history)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도전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책이나 논문, 기사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 (unstructured data)에 포함된 주장을 파악하고 이를 다른 주장이나 사상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주장과 주장 사이의 영향관계를 밝히는 히스토리 마이닝 (History Mining)이라는 방법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딥러닝 기법 (deep learning method)을 포함한 분류알고리즘 기법 (classification algorithm)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방법론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철학 사조 중에서 대표적으로 대비되는 경험주의와 합리주의 관련 철학자들을 선정하고 관련된 저서 혹은 인터넷 상의 글을 수집하였다. 분류 알고리즘의 성능은 Recall, Precision, F-Score 및 Elapsed Time으로 측정하였으며 DNN, Random Forest, 그리고 앙상블 등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선정된 분류 알고리즘으로 특정 철학자의 글에 대해 합리주의 혹은 경험주의로 분류하였으며, 그 철학자의 활동 연도를 고려하여 히스토리 맵을 생성할 수 있었다.

Essential Competencies for Digital Workforce of Provincial Office in Thailand Using Delphi Technique

  • Rujira Rikharom;Wirapong, Chansanam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1권4호
    • /
    • pp.51-81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study its required performance requirements and proposes a competency framework necessary for the digital workforce of the Provincial Offices in Thailand. The specific primary informants were determined as 17 people. The collecting process was performed using the Delphi technique and the electronic Delphi technique in two phases, totaling four rounds. In the first time, a structured interview was used to conduct online interviews for 15 people. Content valid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issues of the competency framework essential for the digital workforce with 7-level scaled questionnaires, and then online reviews were collected between 10-15 people (2nd to 4th times). A consensus was found and confirmed four times with descriptive statistics, namely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mode, median,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mode and median, interquartile range,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ual framework.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 essential competency requirements for the digital workforce were covered in digital literacy (six aspects), digital skills (four aspects), and digital characteristics (four aspects). Consensus was confirmed for 84 issue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61 points for building an essential competency framework for the digital workforce made them effective in using digital technology as a labor-saving instrument, as well as for expanding the breadth of development of digital expertise to include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digital practitioner network. This development will benefit government agencies and the private sector,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in the future.

스마트폰을 이용한 마음인문학 전자문화지도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Electronic Culture Map of Mind Humanities using Smartphones)

  • 백현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45-53
    • /
    • 2012
  • 본 연구는 마음인문학의 연구성과를 사회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문화지도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한 것이다. 기존의 종이지도와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지면의 제약 없이 웹서비스화 한 것이 전자지도이다. 이에 문화의 개념을 얹으면 전자문화지도가 된다. 마음인문학의 다양한 연구성과를 사회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보다 많은 대중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문화지도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용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여러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개발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서비스를 만들 때 고려되어야 할 점과 개발과정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스마트폰의 특징을 점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