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hate speech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청소년의 유해콘텐츠 접촉 경험이 디지털 성범죄 노출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혐오 표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dolescents' Exposure to Harmful Content on Digital Sexual Crim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Hate Speech)

  • 조성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63-169
    • /
    • 2024
  •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청소년의 디지털 성범죄와 관련하여 디지털 성범죄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해 콘텐츠 노출과 디지털 혐오 표현의 영향력을 검증하고, 유해 콘텐츠 노출과 디지털 성범죄 노출의 관계에서 디지털 혐오 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23 사이버폭력실태조사에 참여한 9,218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디지털 성범죄 노출에 유해 콘텐츠 노출과 디지털 혐오 표현의 직접적인 영향력과 함께 유해 콘텐츠 노출과 디지털 성범죄 노출의 관계에서 디지털 혐오 표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의 디지털 성범죄 노출을 막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Crossing the "Great Fire Wall": A Study with Grounded Theory Examining How China Uses Twitter as a New Battlefield for Public Diplomacy

  • Guo, Jing
    • Journal of Public Diplomacy
    • /
    • 제1권2호
    • /
    • pp.49-74
    • /
    • 2021
  • In this paper, I applied grounded theory in exploring how Twitter became the battlefield for China's public diplomacy campaign. China's new move to global social media platforms, such as Twitter and Facebook, has been a controversial strategy in public diplomacy. This study analyzes Chinese Foreign Spokesperson Zhao Lijian's Twitter posts and comments. It models China's recent diplomatic move to Twitter as a "war of words" model, with features including "leadership," "polarization," and "aggression," while exerting possible effects as "resistance," "hatred," and "sarcasm" to the global community. Our findings show that by failing to gage public opinion and promote the country's positive image, China's current digital diplomacy strategy reflected by Zhao Lijian's tweets has instead constructed a polarized political public sphere, contradictory to the country's promoted "shared human destiny." The "war of words" model extends our understanding of China's new digital diplomacy move as a hybrid of state propaganda and self-performance. Such a strategy could spread hate speech and accelerate political polarization in cyberspace, despite improvements to China's homogenous network building on Twitter.

국내 통신심의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ernet Content Regulation in South Korea)

  • 윤성옥
    • 정보화정책
    • /
    • 제30권2호
    • /
    • pp.3-21
    • /
    • 2023
  • 최근 인터넷 환경은 인터넷 내용규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요구한다. 헌법재판소가 인터넷을 가장 참여적인 시장으로 표현촉진적인 매체라고 정의한 지 20여년이 흘렀다. 그 동안 인터넷에서는 디지털성범죄, 마약, 자살정보, 악성댓글, 혐오표현, 가짜뉴스 등 표현의 자유로만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문제들이 등장했다. 통신심의 제도에 대한 논의가 중요한 이유이다. 본고는 국내 통신심의 제도에 대한 입법적 분석, 사법적 분석, 행정적 분석을 시도한다. 통신심의 법률 현황과 특징은 무엇인지, 통신심의에 대한 사법부의 판단은 어떠한지, 실제 통신심의의 운영과정과 특징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입법적, 사법적, 행정적 접근을 통해 국내 통신심의 제도의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다루었다. 이를 통해 국내 통신심의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