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igital art

검색결과 1,023건 처리시간 0.036초

20세기 인터랙티브 아트의 전개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Art in 20th Century)

  • 김희영;이왕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77-185
    • /
    • 2008
  • 향수자 일방의 관조적인 관람을 전제로 하는 작품 창작의 주류 속에서 관람자 참여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20세기 예술에서였다. 수동적 관람자로부터 능동적 참여를 끌어낸 옵아트나 키네틱아트 등은 향후 전개될 인터랙티브 아트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작가와 관람자의 상호대면을 포맷화하는 '해프닝' 장르 등의 작업들도 TV나 아날로그 매체를 통한 관람자와의 소통 양식들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게 된다. 이후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매체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관람자와 인터랙티브 아트의 상호소통을 통한 작품의 창작은 결정적 전기를 맞게 된다. 본 논문은 예술 사조사에서 인터랙티브아트의 생성과 전개의 맥락을 전형화하는 대표적 작품들의 사례 분석을 통해 인터랙티브 아트의 발전적 흐름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고전예술과 디지털 (Classical Art and Digital)

  • 박유정
    • 트랜스-
    • /
    • 제4권
    • /
    • pp.1-36
    • /
    • 2018
  • 본 논문은 2017년 10월 31일 개최된 제7회 트랜스미디어연구소 국제심포지움 <고전예술과 디지털>의 일부 발표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한 내용을 담고 있다. 금년 국제심포지움은 '고전예술과 디지털'이란 다소 넓은 주제 아래에서 무용학을 비롯한 영상학과 영화학, 그리고 순수예술의 분야에 몸담고 있는 국내외의 학자들이 참여해 심도 깊고 미래지향적인 논의를 펼쳤다. 원본과 가상적 모방의 이중적 재현에 대한 제1부의 논의에서 '시각예술과 디지털'에 대한 3편의 논문이 중점적으로 소개되었다. 이 첫 번째 논의가 '일상적 심미화 과정의 체계변화'라는 새로운 관점으로의 이동을 촉구하며 정리되었다면, 이어지는 제2부 '공연예술과 디지털'에 대한 논의는 디지털 융합과 퍼포먼스의 시대에 발생하는 지시적 용어 체계의 구체화를 꼬집으며 새로운 미학적 토대의 발생에 대한 가능성을 언급되며 마무리되었다. 특히 2부의 전체 발표 논문 중 2편의 무용 매체에 대한 논문이 본고에 집중적으로 소개된다. <고전예술과 디지털>이라는 올해의 주제가 계속하여 '제2의 라오콘 논쟁'에 대한 발판을 제시하리라 기대하면서 본 논의는 정리될 수 있다. 요컨대, 미학의 역사상 나타난 다양한 논쟁의 이면에서 '예술'과 예술이 남긴 그 '정신적인 유산'에 대한 거대한 흐름을 읽어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촉구하며 학술대회가 마무리된 것이다. 미래지향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융복합 미디어 시대에 발맞추어 실무적이면서도 체계적인 이론의 기초를 금년 국제학술대회는 제시하고 있다고 자평할 수 있다.

  • PDF

인공생명 예술의 창발적 발전양태 - 나오꼬 토사의 작품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al Aspect of Emergence in Naoko Tosa's Artificial Life Art)

  • 김희영;이왕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45-652
    • /
    • 2008
  • 인공생명 연구는 인공생명을 이용한 예술의 발전에도 영향을 주었다. 인공생명예술은 초기의 미시생물에 대한 탐구에서 출발하여 관람자의 선택을 통해 창발성을 일으키는 작업으로 발전해 왔다. 또한 실제 동물에 대한 관심은 사이버 펫과 같은 인공 동물의 제작으로 이어지고, 인간에 대한 관심은 아바타의 창조로 이어진다. 본고는 사이버 펫과 아바타를 활용한 나오꼬 토사 작품의 비가시적 감성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인공생명 예술의 창발적 변화가 인터랙티브 아트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입증하고자 한다.

  • PDF

레이저 마킹 시스템을 이용한 Customizing 네일아트 디자인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ustomizing Nail Art Design Using Laser marking System)

  • 윤재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53-359
    • /
    • 2022
  •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접어들어서 차별화 된 라이프 스타일로 인간은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삶의 질이 향상 될수록 네일아트는 미용과 장신구 예술의 한 부분으로써 또 다른 예술 분야로 각 광 받고 있다. 또한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디지털시스템화 된 장식적 미용 네일 산업이 세계의 주요 산업의 자리 잡으면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장식 표현을 요구하는 조형미용 예술로 표현되고 있다.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디지털시스템화 된 장식적 미용 네일 산업이 세계의 주요산업의 자리 잡으면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장식 표현을 요구하는 조형미용 예술로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스템 중 레이저 마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미지 각인 표현 방법으로 창의적인 뷰티산업과 장신구 네일아트가 대중화되기를 기대하며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새로운 표현 발상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A Research of Ink and Wash Elements on the 3D Animation Film <Deep Sea>

  • Biying Guo;Xinyi Shan;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3호
    • /
    • pp.82-87
    • /
    • 2023
  • <Deep Sea> is an 3D animated film that stands out for its exceptional special effects and distinctive artistic style. The film employs a multitude of dazzling and vibrant ink particles, creating a strong sense of three-dimensionality and weightlessness, while simultaneously portraying a dreamlike and elegant representation of a deep sea ink painting. Furthermore, through the utilization of fragmented stream of consciousness narrative technique, the film establishes a unique artistic effect infused with a Chinese atmosphere. This paper by analyzing the unique particle ink art style and color and stream of consciousness narrative methods in film, this paper discusses the innovative art style generated by traditional ink art style combined with three-dimensional technology, and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ink art ideas and artistic conception in animated films. The objective is to cultivate a new ink art style and prove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al expression in animated films, while providing new perspectives for the future application of traditional art in animation.

미디어아트를 이용한 패션 액세서리 디자인 (Fashion Accessory Design Using Media Art)

  • 제갈미;이연희
    • 복식
    • /
    • 제58권4호
    • /
    • pp.1-12
    • /
    • 2008
  • The expansion of media art has not only developed the digital technology but also given lots of environmental evolution to improve various fields of design as the main topic of the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at proposing the new design that integrates fashion accessaries with media art technology. This will be done by understanding the social environment in digital ages and studying technology of design based on a variety of literature about changes in our society, neo value, vision, culture and art with fundamental notion of media art. First stage for this study, put an idea into just fashion accessary design because it is not sufficient to incoporate fashion and media art technology. The presente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in this study is a kind of display to be in a limelight in the next generation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 of design. media art simultaneously moved into the scope of artistic debates. As a result, we can found that the use of audiovisual introduced numerous new aspects to the conceptual and aesthetic engagement with questions of conception. Today, the presented forms of art and inter-action from the closed -circuit work to interactive media art installations to open process-exist as parallel possibilities.

미디어아트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특성 연구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론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Appeared by Media Art -Focusing on Marshall McLuhan's Media Theory-)

  • 김효영;김민지;간호섭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59-473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a new aesthetic value of fashion design utilizing media art technology based on Marshall McLuhan's media theory, vitalize a creative fashion design by applying media art technology into traditional fashion design and discover the possibility of various formative expressions. The result of the analysis under the three criterion extract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other art genre such as dance, music, architecture and painting are as follows. First, new concept clothing was designed in the way of combining science and technology with existing costume designs. Second, applying technology based media art images on clothes has been noticeably effected by changes to clothing surfaces. Third, fashion design using technology based media art stimulates the five senses and creates new communication structure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fashion design utilizing technology based media art, an innovative medium for future fashion development in digital society, has expanded the boundaries of fashion design beyond limits and contributed to diversity in creative fashion design.

디지털 포토그램과 디지털 사진의 확장 (Digital Photogram and Possibility of Digital Photo)

  • 김미련;박남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08-310
    • /
    • 2012
  • 오늘날 디지털기술과 결합한 사진은 현실과 허구를 결합하는 상호 텍스트성으로서의 사진이미지로 빠르게 변모하며 예술, 과학, 산업이 혼융되어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디지털 사진과 재현의 새로운 관계 모색을 위해 적용된 디지털 포토그램의 다양한 사례를 Scanography, 3D Scanning작품, 나노과학기술과 사진이 만나 결합한 Nanogrphy, 렌티큘러 필터를 이용한 즉석 입체영상 배경사진 촬영 등을 통해 살펴보고 다양한 문화현상을 형성하고 새로운 시각적 패러다임을 제시하면서 문화변동까지 이끌어내는 디지털 사진의 확장가능성에 대해 연구한다.

  • PDF

현대 상업 실내공간에서 나타나는 미디어아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for of Media Art Appeared in interior of contemporary Commercial Space)

  • 이효선;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9-92
    • /
    • 2007
  • Media art has been differentiated and evolved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growing of pop culture. Finally experiential ways, which make much of communication with human beings, bring themselves into relief in media art, and these various ways broke lines between virtual reality and reality with the elev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that has a direct effect on expressing actual space. For this reason, diversified expressions of media art can be an important guideline for studying how to express modern space. This research analyzes expressing features in media art establishing a link with modern industrial interior space and offers new future-oriented space.

  • PDF

A study on the expansibility of sound-responsive visual art contents

  • Jiang, Qianqian;Chung, Jean-H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2호
    • /
    • pp.88-94
    • /
    • 2022
  •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 and vision was experimentally confirmed by physicist Ernst Florens Friedrich Chladni as early as the 18th century and formally entered into systematic research. With the development of emerging media technology, sound reactive type visual content is not limited to a single visual interaction based on the vibration of sound, and its visual content shows a diversified and scalable development trend according to different purposes in many fields. This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sound visual art contents from early stage to modernization, and analyzes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 of sound visual art content in different fields and scene environments influence by interactive media, new media technologies and devices by means of case analysi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sound reactive type visual art content can continue to develop and extend in the existing fields, while explore the scalability of the application of sound reactive type visual art content in more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