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9초

마이크로캡슐 잠열 축열재 혼합수의 열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Slurry)

  • 임재근;최순열;김명준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8권6호
    • /
    • pp.962-971
    • /
    • 2004
  • This paper has dealt with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slurry as a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having a low melting point. The measured results of the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the test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slurry, those are, density, specific heat, thermal conductivity and viscosity, were discussed for the temperature region of solid and liquid phases of the dispersion material (paraffin). The measurements of these properties of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slurry have been carried out by using a specific-gravity meter, a water calorimeter,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a transient hot wire method and rotating type viscometer, respectively. It was clarified that the additional properties law could be applied to the estimation of the density and specific heat of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slurry and also the Euckens equation could be applied to the estimation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is slurry.

삭카린 중간체의 열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 of Saccharin)

  • 김관응;김영수;신창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80-185
    • /
    • 1998
  • The evaluation of thermal and pressure hazard of chemicals on the manufacturing, transporting and storaging is important in the chemical industry for safety. In this study,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 of Saccharin were investigated by using Accelerating Rate Calorimeter(ARC)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decomposition temperatures in p-TSA were about 280~$318^{\circ}C$ by DSC and $201^{\circ}C$ by ARC. In case of o-TSA were about $336^{\circ}C$~$360.8^{\circ}C$ by DSC and $299^{\circ}C$ by ARC.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acquired by ARC was about $70^{\circ}C$ lower than that by DSC. The exothermic runaway reaction in case of p-TSA occured in 598 minute and o-TSA in 5 minute. For the safety in the chemical industry, we should consider the ARC data as well as DSC data in the handling and design of process.

  • PDF

견단백질 / Poly (Vinyl pyrrolidone)의 열특성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ic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of Silk Fibroin / poly (Vinyl pyrrolidone))

  • 권해용;이광길;여주홍;우순옥;한상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77-80
    • /
    • 2007
  • 실크단백질을 이용한 나노화 소재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실크 피브로인과 PVP를 반응시켜 제조한 견단백질/PVP의 열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차열분석 및 열중량분석을 행하였다. 1. PVP의 유리전이온도는 $175^{\circ}C$ 부근에서 관찰되었으며 실크 단백질과 반응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견단백질/PVP는 $220^{\circ}C$ 부근에서 미지의 발열피크를 나타내었다. 2. 열중량 분석 결과 PVP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실크 단백질에 기인한 열분해시작온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LA/CNT 복합재료의 결정화 특성 및 가수분해에 미치는 CNT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NT on Crystallization Kinetics and Hydrolytic Degradation of PKA/CNT Composite)

  • 이미현;김성하;김시환;박종규;이우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5-10
    • /
    • 2011
  • 환경오염이 나날이 증가함에 따라 바이오 재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 유산 (PLA)을 기지재료로 하고 탄소나노튜브 (CNT)를 나노 filler로 사용하여 압출 및 사출공정을 통하여 복합재료를 제작하였다. 시편의 결정화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어닐링 시간에 변화를 주어 처리하였다. PLA의 결정화 특성은 시차주사열량계 (DSC)를 통하여 평가하였고, 적당한 양의 CNT가 PLA의 결정화 속도를 향상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 PLA/CNT 복합재료의 가수분해 속도는 순수 PLA에 비하여 빠르지만 PLA/CNT 복합재료의 결정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수분해 속도가 늦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가수분해가 PLA/CNT의 계면에서 쉽게 일어나고 결정화도가 높아짐에 따라 분자 구조가 치밀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된다.

Poly(vinyl acetate-co-ethylene) 에멀젼 물성에 대한 가소제 효과 (Effect of Plasticizer on Physical Properties of Poly(vinyl acetate-co-ethylene) Emulsion)

  • 최용해;이원기
    • 공업화학
    • /
    • 제20권4호
    • /
    • pp.459-46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poly(vinyl acetate-co-ethylene) (VAE) 에멀젼에 가소제로 많이 사용되는 di-butyl phthalate (DBP)를 혼합하여 가소제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측정으로부터 건조한 필름의 유리전이온도($T_g$)를 측정한 결과,가소제 함량의 증가에 따라, $T_g$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반면에 에멀젼의 점도는 가소제 함량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건조한 필름상태에서 가소제는 고분자사슬의 상호작용을 방해하여 $T_g$를 감소시키며 에멀젼 상에서는 가소제가 에멀젼 입자 내로 침투하여 swelling시킴으로써 입자크기가 증가하고 점도를 상승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적 물성은 가소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저하되었으나 내수성은 증가되는 결과를 얻었다.

단계중합법에 의한 PMMA/PSt Composite Particle의 제조에 관한 연구 (h Study on the Preparation of PMMA/PSt Composite Particles by Sequential Emulsion Polymerization)

  • 이선룡;설수덕
    • 폴리머
    • /
    • 제25권5호
    • /
    • pp.617-624
    • /
    • 2001
  • 음이온계 유화제를 사용하여 monomer pre-emulsion을 제조한 다음 ammonium persulfate를 개시제로 하여 단계 중합법에 의해 새로운 입자의 생성이 적고 중합 과정에서 안정성이 우수한 poly(methyl methacrylate)(PMMA)/polystyrene (PSt) 라텍스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ell 중합시에 새로운 입자의 생성이 적고 중합 중 안정성이 우수한 라텍스를 제조하기 위해 개시제농도, 유화제농도, 중합온도가 PMMA/PSt와 PSt/PMMA의 core-shell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중합한 라텍스를 입도분석기 (particle size analyzer: PSA) 및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을 이용하여 실제 입자측정과 입자형태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시차주사열량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온도($T_g$)의 측정, 필름 조막성 (minimum film formation temperature: MFFT), NaOH 첨가에 의한 가수 분해에 따르는 pH를 측정하여 core-shell의 또 다른 특성을 확인하였다.

  • PDF

고밀도 폴리에틸렌 분진의 열분해성과 착화에너지 (Pyrolysis Characteristic and Ignition Energy of High-Density Polyethylene Powder)

  • 한우섭;이정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3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국내 분진폭발사고에서와 동일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 분진을 사용하여 열분해성과 착화에너지를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폭발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열중량분석기(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및 최소착화에너지(minimum ignition energy, MIE) 측정장치를 사용하였다. HDPE의 체적기준 평균입경은 $61.6{\mu}m$가 얻어졌으나, 입자 크기에 따른 입자 수밀도(particle number density) 분석에서는 $0.4{\sim}4{\mu}m$의 미세 입자가 98% 이상의 비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GA 및 DSC 측정결과로부터 HDPE는 $380{\sim}490^{\circ}C$의 온도 구간에서 발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MIE는 $1200{\sim}1800g/m^3$의 HDPE의 농도 범위에서 1 mJ 이하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입자 수밀도 기준에 따른 $0.4{\sim}4{\mu}m$의 미세 입자의 비율(98 %)이 매우 높았던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산성 인지질 이중층의 열적 상전이에 미치는 칼슘과 페노치아진 유도체의 영향 (The Effects of Calcium and Phenothiazine Derivatives on the Thermotropic Phase Transition of Acidic Phospholipid Bilayers)

  • 김남홍;노승배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7-82
    • /
    • 1990
  • 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DPPC)과 dipalmitoyl phosphatidic acid(DPPA) 리포좀내 이중층의 열적 상전이에 미치는 칼슘과 페노치아진 유도체의 영향을 시차 열량 분석계로 연구하였다. 인지질 이중층은 가열시 어느 특정온도에서 급격한 구조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온도에 의존한 변화는 순수 인지질의 경우 특이할 만큼 예민하였다. 순수 인지질에 페노치아진 유도체를 가하였을 때 순수 인지질의 상전이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일어 났으며 상전이 열그림을 넓적하게 만들었다. 칼슘 이온은 DPPC: DPPA(34: 66mol%)의 상전이 온도를 높였다. 그러나 위의 혼합 인지질에 페노치아진 유도체를 가하였을 때 $73^{\circ}C$에서의 작고 넓적한 곡선 부분이 사라졌다. 이러한 현상은 아마도 칼슘과 폐노치아진 유도체의 산성 인지질의 친수부분에서 상호 경쟁적 작용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 PDF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UO_2$ Fuel Materials

  • Lee, Hung-Joo;Kim, Chul-Wha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81-88
    • /
    • 1976
  • Flash Method로서 열에 관련된 물리적인 성질(밀도, 정압비열 또는 열확산 계수등)을 측정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을 이용하여 핵연료의 열화산 계수를 상온(300k)으로부터 고온(1400 K)까지 측정하였으며 정압비열은 시차열용량법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에 의하여 상온에서부터 500k까지 측정하였고 열전도 계수는 열확산 계수, 정압비열 그리고 핵연료의 밀도로부터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낮은 온도(500k 이하)에서는 불순물의 정도(Impurity Level)에 따라서 열전도 계수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중요시되지만 높은 온도(1000k 이상)에서는 불순물의 정도에 따른 열전도 계수의 변화가 근소함으로 그의 존재유무가 비교적 중요시되지 않는 Dielectric Material의 보편적인 경향과 완전히 일치하였다. Gd$_2$O$_3$를 첨가한 다수의 $UO_2$ Sample들에 대한 열확산 계수를 상온에서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이것을 재확인하였다.

  • PDF

Aramid단섬유보강 고기능폴리에틸렌 및 에폭시 복합재료 제조- I.DSC에 의한 에폭시/아민계의 경화 촉진 연구 (Short Aramid Fiber Reinforced Polyethylene and Epoxy Composity- I. Studies on the Curing Acceleration of Epoxy/Amine System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 하창식;임승하;김병규;신영조;조원제
    • 공업화학
    • /
    • 제3권1호
    • /
    • pp.111-118
    • /
    • 1992
  •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에폭시 - 아민계의 경화 촉진을 연구하였다.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DGEBA)든 촉진제와 함께 또는 촉진제 없이 메틸렌디아닐린(MDA)으로 경화시켰다. 본 연구를 위하여 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DMP - 30)과 3 - (3,4 - 디클로로페닐) - 1,1 - 디메틸우레아(DIU-ON) 두 종류의 촉진제를 사용하였는데 경화시의 발열량, 유리전이온도($T_g$) 및 동적 DSC에 의한 활성화에너지 계산에 의해 DMP - 30이 빠른 경화 속도 및 낮은 활성화에너지를 보여 DIURON보다 양호한 촉진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