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fiber components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초

루틴, 퀘르세틴, 식이섬유 혼합물 설계를 이용한 전분소화 지연 효과의 최적화에 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Optimization for Suppression of Starch Hydrolysis using Rutin, Quercetin and Dietary Fiber Mixture Design)

  • 오임경;배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5-41
    • /
    • 2020
  • 본 연구는 루틴, 퀘르세틴, 식이섬유가 전분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 혼합물 설계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세 가지 성분들은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분소화 지연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퀘르세틴과 식이섬유가 함께 섞였을 때 가장 높은 지연 효과를 보였다. 이 혼합물 설계는 simplex-centroid 실험설계법을 이용하였고, 최적 모델은 quadratic 모델에서 나타났다. 이때 얻어진 회귀방정식을 통하여 유의한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화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혼합비를 분석한 결과 퀘르세틴과 식이섬유가 72: 28 비율에서 전분 소화 지연 효과가 최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분소화에 대한 영향을 3차원 표면 도표로 시각화하여 나타내었으며, 이 결과로 퀘르세틴과 식이섬유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전분 소화를 15% 이상 지연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an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

  • 한귀정;신동선;장명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80-68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생식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땅두릅이 적정 출하시기가 끝나면 기온상승으로 인하여 생식용으로 부적합한 제품이 다량 발생하고, 땅두릅 잎 또한 가축의 사료로 쓰이거나 그대로 버려지고 있어 가공적성에 맞는 상품개발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이용가치를 높이는 방안으로 땅두릅과 땅두릅잎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땅두릅과 땅두릅잎의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 비타민 모두에서 비교적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일반성분에 있어서 땅두릅은 수분이 94.50%로 나타났으며 탄수화물이 2.20%, 조섬유가 0.90%로 나타났고 조단백질은 1.60%, 조지방은 0.20%, 회분은 0.70% 이었다. 또한 땅두릅잎은 수분이 85.70%, 탄수화물이 7.00%이었고 조섬유가 1.50%, 조단백질이 4.30%, 조지방이 0.30%, 회분이 1.20%로 나타났다. 특히 무기성분은 K가 땅두릅에 264.00 mg%과 땅두릅잎에 172.00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다음으로 Ca, P, Na, Mg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은 베타카로틴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비타민 C의 함유량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포닌 함량은 땅두릅이 63.7 mg/g, 땅두릅잎은 63.5 mg/g으로 비교적 많은 조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었다. 항산화활성능은 페놀성 화합물이 각각 58.25, $79.32{\mu}g/mg$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는 각각 11.25, $15.36{\mu}g/mg$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32.23, $28.06{\mu}g/mg$으로 우수한 소거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이섬유 함유량은 땅두릅의 경우 총 식이섬유 함량이 2.13%, 땅두릅잎은 총 식이섬유가 5.98%로 비교적 높은 식이섬유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총 클로로필 함량도 땅두릅이 92.58 mg%와 땅두릅잎이 147.25 mg%로 높게 함유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Wheat Bran and Breast Cancer : Plausibility of the Estrogen Hypothesis

  • Cho, Susan-Sungsoo;Sharon Rickard;Chung, Chin-Eun
    • Nutritional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60-166
    • /
    • 2003
  • To examine the evidence that wheat bran is protective against breast cancer development and that its main mechanism of action is by modulating estrogen metabolism. This review explores the role of different experimental factors on the anticancer effects of wheat bran and the relationship of changes to estrogen metabolism by wheat bran on breast cancer risk The timing of the experimental diets in relation to carcinogen administration, the length of feeding of the experimental diets, and the level of dietary fat had an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doses of wheat bran in reducing breast carcinogenesis. Wheat bran supplementation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s in human plasma estrogen levels but not in that of animals tested. The change in excretory metabolism of estrogen by wheat bran feeding in animals was not related to any of the tumor indices measured. The protective effect of wheat bran in breast carcinogenesis is greatest at the promotional phase and when supplemented in a high fat diet. Doses of wheat bran in the 9-12% range in diet have been consistently protective. The inconsistency observed with higher doses of wheat bran may be dependent on the animal model used. Although wheat bran's inhibitory effects on tumor growth may involve changes to estrogen metabolism, the fiber and phytochemical components of wheat bran may also act through estrogen-independent mechanism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wheat bran on breast carcinogenesis, studies comparing the effects of different wheat bran components both alone and in combination need to be performed.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 Lee, Youn-Ri;Kim, Ja-Young;Woo, Koan-Sik;Hwang, In-Guk;Kim, Kyong-Ho;Kim, Kee-Jong;Kim, Jae-Hyun;Jeong, Heon-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1006-1010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germinated rough ric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e chemical components that were determined for 'Ilpum', 'Goami2', 'Keunnun', and 'Heugkwang' rough rice cultivars included dietary fiber,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and functional components such as tocopherols and ${\gamma}$-oryzanol. The crude protein, fat, total dietary fiber, and free sugar contents of the rough ric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germination.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particularly increased. After the germination of the 'Ilpum', 'Goami2', 'Keunnun', and 'Heugkwang' varieties, the following increases were found: ${\gamma}$-aminobutyric acid increased 2.4, 2.5, 6.1, and 3.4 times, respectively; ${\alpha}$-tocopherol, ${\alpha}$-tocotrienols, and ${\gamma}$-tocotrienol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gamma}$-oryzanol content increased 0.8, 1.1, 1.5, and 1.2 times, respectively. Thus, germinated rough rice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healthy and functional food ingredient.

아마인과 아마인유의 영양성분과 물리화학적 특성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Flax(Linum usitatissimum) Seeds and Oils)

  • 남진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6-525
    • /
    • 2010
  • 아마인의 유용성분에 대해서 알아보고 가열과정을 통한 성분변화 및 다른 종유작물과 유지의 물리화학적 성분과 비교, 평가하였다. 조지방은 37~43%, 탄수화물은 30~35%, 조단백질은 18~23%, 조회분은 3~4% 그리고 수분 함량은 0.2~6.8%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식이섬유 함량은 생아마인보다 가열 처리한 볶음 아마인에서 SDF의 함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IDF의 함량도 감소하기 때문에 TDF의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총 식이섬유 함량은 28~31%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아마인의 주요 유용성분을 살펴본 결과, 비타민은 ${\gamma}$-tocopherol(E), 아미노산은 ag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은 생아마인보다 볶음 아마인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마인의 무기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칼슘, 칼륨, 마그네슘, 인이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물리화학적인 특징으로 요오드가, 비누화가, 산가를 분석하였으며, 브라운 아마인유는 각각 204.1 g/100 g, 193.6 mg/g, 1.59 mg/g을 나타내었으며, 골드 아마인유는 각각 203.0 g/100 g, 189.9 mg/g, 2.35 mg/g으로 조사되었다. 아마인유의 지방산 함량에서는 전체적인 구성 비율을 볼 때 ${\alpha}$-linolenic acid(ALA, C18:3n-3)가 약 55.5~56.1% 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브라운보다는 골드 아마인유의 ${\alpha}$-linolenic acid의 함량이 약간 높았다. 높은 ${\alpha}$-linolenic acid 함량은 아마인유가 오메가-3 지방산이 강화된 식품 개발에 좋은 자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약 71%로 함유되어 있으며, ${\alpha}$-linolenic acid 등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식품의 영양학적인 의의가 크며, 양질의 식용유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Role and Potential of Ruminal Fungi in Fiber Digestion - Review -

  • Ushida, K.;Matsui, H.;Fujino, Yuko;Ha, J.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6호
    • /
    • pp.541-550
    • /
    • 1997
  • Anaerobic chytridiomycete fungi are now well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rumen microflora. Since the discovery of anaerobic fungi, the knowledge upon their morphology and physiology has been accumulated. It is certain that they gave roles in ruminal fiber digestion, although their quantitative contribution to rumen digestion is still unclear. Their role in fiber digestion is complicated by the dietary factors and the interaction with other microorganisms. We aim at reviewing such information in this article. Considerable attention gas been paid to the polysaccharidase of these fungi. Analysis on the fungal genes encoding these enzymes has been performed in several laboratories. This article also covers the genetical analysis of fungal polysaccharidases.

성인 여성에서 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따른 식생활과 대사성 질환 위험 (Diet and Metabolic Disease Risk by Perceived Stress Level in Korean Adult Women)

  • 김미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83-492
    • /
    • 2020
  • Dietary components can modulate stress, inflammatory indicators, and health risk.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diet, metabolic disease risk, and perceived stress in Korean adult females using the 2017-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total of 4,353 adult women aged 19-64 yea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perceived stress level: very high stress group (VHSG, n=225), high stress group (HSG, n=1,079), moderate stress group (MSG, n=2,532), and low stress group (LSG, n=517). Data collection included the sociodemographics, anthropometrics, blood profile, and dietary survey.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those in the VHSG had a higher body mass index (p=0.013) and obesity rate (p=0.053) with a shorter sleep time than the LSG group. The VHSG also tended to have a higher plasma LDL-cholesterol, hsC-reactive protein and lower levels of HDL-cholesterol, vitamin A, and vitamin E than the low stress group. High stress subjects demonstrated increased breakfast skipping frequency (p<0.0001), decreased fiber intake (p=0.001), potassium (p=0.041), and vitamin A (p=0.011) than the low stress ones. Therefore the perceived stress level was associated with the inflammatory indicators, obesity, and lack of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nutrients. The dietary components may be an important mediator of stress and metabolic disease.

두유박 수용성 식이섬유의 고온 추출물 제조와 이화학적 특성구명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luble Dietary Fiber Extracts from Soymilk Residue at High Temperature)

  • 박천호;김현정;문태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48-656
    • /
    • 1997
  • 두유박을 수용성 식이섬유의 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140^{\circ}C,\;150^{\circ}C$$160^{\circ}C$에서 각각 열처리를 통해 두유박 식이섬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불용성 식이섬유를 수용성 식이섬유로 변환시킨 후 이를 추출하여 각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온도별로 pH와 열처리 시간을 달리하여 추출하였을 때 최대 가용화 조건에서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30.3{\sim}32.2%$이었다. 두유박 식이섬유 고온 추출물의 당 조성을 HPLC로 분석한 결과 glucose > galactose > arabinose + fucose > mannose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추출물을 high performanc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로써 평균 분자량에 따라 3가지 획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추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분자량 획분이 줄어들고 중간분자량 획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추출물을 함유한 용액의 점도는 추출 온도의 상승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pH에 따른 변화 경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추출물의 용해도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a-binding capacity는 $140^{\circ}C$ 추출물이 다른 시료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 PDF

Potential of Using Maize Cobs in Pig Diets - A Review

  • Kanengoni, A.T.;Chimonyo, M.;Ndimba, B.K.;Dzam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2호
    • /
    • pp.1669-1679
    • /
    • 2015
  • The quest to broaden the narrow range of feed ingredients available to pig producers has prompted research on the use of low cost, unconventional feedstuffs, which are typically fibrous and abundant. Maize cobs, a by-product of a major cereal grown worldwide, have potential to be used as a pig feed ingredient. Presently, maize cobs are either dumped or burnt for fuel. The major challenge in using maize cobs in pig diets is their lignocellulosic nature (45% to 55% cellulose, 25% to 35% hemicellulose, and 20% to 30% lignin) which is resistant to pigs' digestive enzymes. The high fiber in maize cobs (930 g neutral detergent fiber/kg dry matter [DM]; 573 g acid detergent fiber/kg DM) increases rate of passage and sequestration of nutrients in the fiber reducing their digestion. However, grinding, heating and fermentation can modify the structure of the fibrous components in the maize cobs and improve their utilization. Pigs can also extract up to 25% of energy maintenance requirements from fermentation products. In addition, dietary fiber improves pig intestinal health by promoting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hich suppress proliferation of pathogenic bacteria in the intestines. This paper reviews maize cob composition and the effect on digestibility of nutrients, intestinal microflora and growth performance and proposes the use of ensiling using exogenous enzymes to enhance utilization in diets of pigs.

Nonheme철분의 흡수와 식이성분 (Nonheme Iron Absorption and Dietary Factors)

  • Kim, Yun-Ji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49-358
    • /
    • 1993
  • 철분 결핍은 아직도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인 영양장애중 하나이다.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식이로부터의 철분 생이용도가 매우 낮은데 이는 nonheme 철분 흡수를 매개하는 식이성분의 양이 매우 적은 것이 주원인이다. 식이에 함유된 철분의 양, 개체의 철분 영양상태, 그리고 식이성분 등은 철분흡수에 영향을 주는 주 요소들이다. 식이로부터 부적당한 철분의 섭취는 칼로리가 낮은 식이, 제한된 음식물 섭취, 단조로운 식이로부터 오기 쉽다. Ascorbic acid, 육류, 생선, 닭고기 등은 식이에서 nonheme 철분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ascorbic acid와 육류는 여러 연구에서 철분 생이용도 증가 효과를 일정하게 보여 주었다. Phytate, polyphenols, dietary fiber는 nonheme 철분 흡수의 주요 저해 요소로서 인지되어 왔다. 또한 nonheme 철분의 생이용도는 함께 섭취한 식품의 성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어떤 조합에 의한 식품의 섭취는 철분 흡수를 상승 또는 저해시킬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