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fiber components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1초

전두부와 일반두부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and Whole Soybean Curd)

  • 이형재;신홍철;이유석;김진영;문영학;박근형;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7-121
    • /
    • 2009
  • 일반두부는 제조과정에 있어 비지가 제거되어지며, 압착에 의한 성형을 행한다. 그러나 전두부는 대두 그 자체의 분말을 여과나 압착 과정없이 용기 내에서 응고시켜 제조된다. 그래서 일반두부와 전두부 간에는 영양성 및 기능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그들 각각을 대상으로 일반성분, 일부 특수성분 분석과 물리적 및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반두부에 비해 전두부의 경우 회분, 탄수화물, 식이섬유, 비타민 $K_1$, 나이아신의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전반적으로 일반두부에 비해 전두부에 있어 우수성이 관찰되었으며, 수용성 성분과 식이섬유 공급원으로서 전두부가 일반두부에 비해 보다 우수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일반두부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식이섬유가 전두부(3.41${\pm}$0.75 g/100 g)에 높게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흥미롭게도 전두부의 경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된 형태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일반두부 보다 전두부 쪽의 조직이 현저히 미세한 망상구조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물성 및 형태학적 특성은 전두부의 경도 및 식감에 있어 우수성을 제공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시사된다.

녹차와 실크 펩타이드 및 캡슐 소재 함유 조성물이 여대생들의 복용 기간별 체지방 및 혈청 지질 성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Cocoon Hydrolysates and Capsulated Components Mixture on Body Fat and Serum Lipid Composition in College Women in Terms of Supplemented Periods)

  • 이성희;조병남;홍이진;이민숙;주상섭;김동명;진동규;노숙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15-72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산화, 변성되기 쉬운 비타민 C와 유산균을 캡슐화하여 비타민 C의 활성을 유지시킴은 물론 유산균에 보호막을 씌움으로써 불활성화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녹차잎과 캡슐화한 비타민 C, 유산균 및 실크 펩타이드, 다시마, 차전자피, 알로에 등의 섭취가 체지방 감소 및 체중 감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여대생 34명을 대상으로 2002년 8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3개월 동안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군의 평균 연령은 20.3세, 평균신장은 162.5 cm, 평균 체중은 57.9 kg, BMI 평균은 21.9 였다. 총열량 섭취량은 보충 전.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당질 섭취량은 보충 전보다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p<0.05), 단백질과 지방의 섭취는 보충 전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이 섬유소 섭취의 경우 보충 전에 비해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각 주별 체중 및 BMI의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보충 전에 비하여 보충 후에 2.5 kg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량 변화는 보충 전에 비해 보충 4주군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나(p<0.05) 보충 전에 비해 보충 4주 후 2.0 kg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지방율 변화 역시 보충 전보다 보충 4주 후에 유의적인 감소 경향이 나타나(P<0.05) 보충 전에 비해 보충 후 1.9%의 체지방율 감소가 나타났다.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WHR)의 변화는 보충 전에 비해 보충 4주군에서 유의한 감소 경향이 나타났다(p<0.05). 보충 전.후의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변화는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1),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및 LDL/HDL ratio는 보충 전.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본 연구에서 한달 동안 일상식이를 섭취하면서 녹차와 실크 펩타이드와 식이 섬유소의 보충은 체지방을 낮추는 역할을 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수준의 감소 효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산화, 변성되기 쉬운 비타민 C와 유산균을 캡슐화하여 비타민 C의 항산화 기능으로 혈청 지질 개선에 유의적이었으며, 정장 작용을 도움으로써 체중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신체의 부위 중 복부의 지방을 감소시켜 복부 비만의 관리 및 체지방 관련 위험율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

괴각(槐角)의 식품영양학적 접근 및 몇 가지 생리활성물질 함량 분석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ome Bioactive Components Contents of Sophorae fructus)

  • 최영수;신언환;박성진;김종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54-1161
    • /
    • 2008
  • 본 연구는 괴각을 대상으로 약이성 음식으로의 활용을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계획 수행되었다. 따라서 괴각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괴각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75.9%, 조단백질 16.4%, 조지방 2.41% 및 조회분 5.2%이었고 괴각 100 g의 함유 열량은 337.3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총 당질 중 11.45%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1.09%, 10.36%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2,310.91 mg, 5,218.52 m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슘, 인,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24.94%, 단일불포화지방산 32.40%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32.86%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식물류에 비해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괴각의 생리활성 물질의 분석에서는 생리활성 작용이 기대되는 항산화비타민의 경우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높아 혈관의 탄력성 증진에 관여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혈관의 탄력 및 모세혈관 투과성에 관여하는 루틴의 함량이 1.78%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괴각의 물추출물 1 mL당 수용성 항산화물질의 함량은 $4.95\;{\mu}g$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는 mL당 비타민 C 1,560.96 mmol에 해당하는 항산화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미세분쇄/공기분급을 이용한 마의 점질물 분리 (Mucilage Separation of Korean Yam Using Microparticulation/Air Classification Process)

  • 이부용;박동준;구경형;김현구;목철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96-602
    • /
    • 1994
  • 국내에서 재배량 및 생산량이 가장 많은 장마로부터 마의 점질물을 농축시키기 위한 건조조건, 초미세분쇄 조건 및 공기분급조건을 조사하였다. 마의 건조는 동결 건조방법이 마 고유의 색 및 점실물을 보존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었으며, 열풍건조시 $40^{\circ}C,\;70^{\circ}C,\;80^{\circ}C$등의 건조온도에서는 갈변과 점성이 소실되는 현상이 심하여 $50^{\circ}C$ 정도의 건조온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결건조하여 초미세분쇄된 마의 공기분급시 ACWS가 높은 분획으로 갈수록 식이섬유, 단백질 및 지방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특히 ACWS 15,000rpm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분급하지 않은 마 분말보다 식이섬유와 단백질 함량이 $2.5{\sim}9.0$배 정도 농축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탄수화물의 함량은 ACWS가 증가할수록 88.31%에서 16.84%로 감소하여 분급하는 ACWS에 따라 성분들의 분리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CWS 15,000rpm 이상의 분획들의 WSI와 WAI는 그 이하의 분획들보다 $1.5{\sim}3.0$배 이상 높았으며, 입자의 모양과 크기도 구형이 아닌 $15{\mu}m$ 이하의 부정형의 작은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단 속도 1000l/s로 에서의 겉보기점도의 경우 ACWS 15,000rpm 이상의 분획은 0.0800 Pa s이었고, 그 이하의 분획은 0.0080 Pa s로 나타나 10배 정도 점질물이 농축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마로부터 점질물을 분리, 농축하기 위해서는 마를 동결건조하고 $5{\sim}30{\mu}m$크기의 입자로 초미세분쇄한 뒤 ACWS 15,000 rpm 이상으로 공기분급을 실시하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심부근 보다 5${\sim}10^{\circ}C$ 높았으므로 적절한 주파수의 선정이 중요하였다. 5. 고추장과 된장의 수분함량이 습량 기준으로 30% 이하일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Ohmic heating의 적용이 불가능 하였으나, 30% 이상에서는 수분함량의 증가에 따라 가열속도는 급속히 증가하였다.하였다. 6. 수분(水分) potential 엽수분함량(葉水分含量)이 동일(同一)한 조건(條件)에서 콩보다 인삼(人蔘)이 낮았으며, 수분(水分) potential과 광합성(光合成) 및 기공식도도(氣孔傳導度)와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있었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인삼(人蔘)의 광합성(光合成)이 타식물(他植物)보다 낮은 것은 기공식도도(氣孔傳導度)와 수분(水分) potential이 낮은 것과도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g\;/\;\ell$ 처리(處理)의 대부분(大部分)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거의 1개체(個體) 정도(程度)이도 발육상태(發育狀態)도 불량(不良)하였으나 NAA $4mg\;/\;\ell\;Kinetin\;2mg\;/\;\ell$ 그리고 활성탄(活性炭) $1g\;/\;\ell$ 첨가처리(添加處理)에서 만이 주당(株當) 본수(本數)가 2.3개이고 개체당(個體當) 발근수(發根數)가 월등(越等)히 많았다. 5. 실험결과(實驗結果) 마 경절편(莖節片) 배양(培養)의 Shoot유가(誘起)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배지(培地)는 1/8MS+1AA $2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 $1g\;/\;\ell$ 이였으며, White+NAA $4mg\;/\;\ell+Kinetin\;2mg\;/\;\ell$+활성탄(活性炭)

  • PDF

건조방법에 따른 생식 원료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Raw Materials of Saengsik, Uncooked Food by Drying Methods)

  • 김철암;오덕환;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8-196
    • /
    • 2006
  • 생식 제조공정 중 주요공정인 건조방법에서 효율적인 방법을 찾기 위하여 건조방법에 따른 생식 원료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당근, 양배추, 표고버섯, 양송이버섯, 미역 김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등 성분의 함량은 열풍건조(50, 55, $60^{\circ}C$)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서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근, 표고버섯, 미역은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를 실시한 후 변화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양배추(a값), 양송이버섯(L, a, b값), 김(a값)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섬유의 함량은 열풍건조를 거친 시료에서 증가를 나타냈다. 당근, 양배추, 미역, 김 중의 Vitamin C와 ${\beta}-carotene$ 함량은 열풍건조를 진행한 시료가 동결건조를 진행한 시료보다 손실이 많이 것으로 나타났고 총 페놀성 화합물과 lectin의 함량은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를 거쳐도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ectin, alginic acid, porphyran 등의 함량은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료에서 증가를 나타냈다. 총 페놀성 화합물, lectin pectin, alginic acid, porphyran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생식 원료는 열풍건조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Vitamin C와 ${\beta}-carotene$과 같이 열에 약한 비타민을 많이 함유한 생식 원료는 동결건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야생 망초(Conyza canadensis L) 추출물의 영양성분 분석 (Nutritional Analysis of Wild Conyza canadensis L. Extract)

  • 김홍열;송현숙;이거룡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0-108
    • /
    • 2022
  • 배경: 야생 망초에는 다양한 물질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일부가 보고되었으나 전체적인 성분분석은 아직 미흡하다고 생각한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야생 망초에서 항산화 물질 및 다양한 영양성분에 대하여 추출조건을 설정하고 검색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망초 추출물을 다양하게 추출하여 다양한 분석기기를 활용하여 성분분석의 조건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망초 추출물의 일반영양성분에서는 탄수화물이 46.4%, 조단백질 26.5%, 수분 16.3%, 조회분 9.5%, 조지방 1.2% 순이었다. 식용섬유 함량은 30.76%이었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가 분리되었고, fructose의 함량이 4,144.2 mg/100 g으로 높았다. 무기성분 분석에서는 K가 64.87 mg/g, P가 4.09 mg/g, Mg이 1.77 mg/g, Na이 나트륨이 0.16 mg/g이 확인되었다. 지방산은 모두 20종이 확인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octadecenoic acid, octadecadienoic acid, linolenic acid 가 함유하였고, linolenic acid가 54.1%로 높았다. 포화지방산 함량은 0.39 g/100g 이었고,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0.01 g/100g이었다. 망초에서는 콜레스테롤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riboflavin이 0.4 mg/100g, 필수 아미노산 6종과 24종의 아미노산을 확인하였다. 결론: 망초 추출물에는 다양한 영양성분과 기능성 성분이 존재하여 이를 이용한 자연치유적 활용성이 기대 된다.

Investigation of mulberry farm's soil properties and mulberry leaf nutritive components in local areas of Korea

  • Ju, Wan-Taek;Jeong, Chan Young;Kim, Seong-Wan;Park, Jong Woo;Kim, Nam-Suk;Kang, Sang Kuk;Kim, Kee-Young;Kweon, Hae-Yong;Lee, Seul-Bi;Kim, Woong;Gwak, Byeong-Sam;Han, Bong-Tae;Choi, Moon-Tae;Lee, Yoo Beom;Seok, Young-See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5권1호
    • /
    • pp.35-41
    • /
    • 2022
  • Mulberry is a hardy, perennial, deep-rooted plant capable of thriving under diverse agroclimatic conditions. The selection of suitable land and appropriate variety can help the sustainable mulberry field. However, no conclusive and comprehensive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on the mulberry soil properties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mulberry cultivars from Korea local areas in previous studies. In our study, soil properties and mulberry leaf components of Korea local mulberry farms were briefly investigated. In result, the soil organic matter (OM)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 in Buan (6.81%) and Jangseong (6.14%). In contrast, available phosphate (P2O5) was different in each local area.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oil property and nutritive component of mulberry leaf, Cheongil leaf samples from 8 local areas were analyzed. Among the macrominerals (K+, Ca2+, Na+, and Mg2+), the concentration of K varied from (1884±9.36) mg/100 g to (2685±11.5) mg/100 g. The potassium (K+) of Cheongil leaf in Sangju was the highest at 2685 mg/100 g. Besides macrominerals, flavonoids,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and moisture of Cheongil leaf samples were studied in the 8 local areas. In terms of these contents, the variation was largely depending on the local areas. This study provides a possible industrial use of mulberry, and holds promise to enhance the overall profitability of sericulture.

사과박의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 (Antioxidative Activity and Related Compounds of Apple Pomace)

  • 이재호;김영찬;김미연;정헌식;정신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908-913
    • /
    • 2000
  • 사과쥬스 제조 후 대부분 폐기 처분되고 있는 사과박의 이용성을 증대하기 위해 사과박의 유용성분을 분석하고 사과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사과박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58 mg%, 총페놀 함량은 1048 mg%, 비타민 C함량은 19.8 mg%로 나타났으며 사과박의 식이섬유 함량은 총식이섬유 55.56%, 수용성 식이섬유 14.20%, 불용성 식이섬유41.36%로 나타났다. 사과박의 phenolic acid는 protocatechuic acid가 3.51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사과박의 flavonoid를 HPLC로 분석하였을때 phloridzin과 quercetin-3-glucoside가 확인되었으며 각각의 함량은 48.87 mg%, 16.22 mg%로 나타났다. 사과박의 각 분획별 항산화능 시험에서 지용성 모델계에서 BHA와 ${\alpha}-tocopherol$보다는 낮지만 ethyl acetate 획분이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쥐 간조직을 기질로한 과산화지질 생성억제 시험에서도 ethyl acetate 획분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차가버섯 균사체가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 흰쥐의 혈장 포도당과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onotus obliquus Mycelia on the Level of Plasma Glucose and Lipid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양병근;;;송치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4-68
    • /
    • 2005
  • Streptozotocin으로 당뇨가 유발된 흰쥐에 차가버섯 균사체를 2주간 체중 ka당 200 mg으로 경구투여시킨 후 혈장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LT, 및 AST 활성을 관찰하였고, 차가버섯 균사체의 일반성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체증증가는 당뇨 대조군에 비해 약 23.5% 증가하였고, 식이섭취량은 21.0% 낮게 나타났으며, 간장 무게는 18.1% 정도 감소하였다. 혈장 glucose 농도는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군이 당뇨 대조군보다 23.1%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장 total cholesterol과 triglyceride는 각각 12.6%와 22.6%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혈장 ALT와 AST 활성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차가버섯 균사체 투여군이 27.6%와 21.9% 낮은 활성을 보였다. 상기와 같은 항당뇨 활성을 가진 차가버섯 균사체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조회분 5.55%, 조지방 2.35%, 조단백 28.29%, 탄수화물 9.53% 및 식이섬유 54.28%로 구성되어 있었다.

Effects of Dietary Addition of Surfactant Tween 80 on Ruminal Fermentation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Hanwoo Steers

  • Kim, Chang-H.;Kim, Jong N.;Ha, Jong K.;Yun, Sang G.;Lee, Sung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337-342
    • /
    • 2004
  • A non-ionic surfactant, Tween 80 has been known to exert a number of positive effects on degradative enzymes in in vitro aerobic and anaerobic microbial culture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Tween 80 on ruminal fermentation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Hanwoo steers.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s a $3{\times}3$ Latin square with duplication and six Hanwoo steers with rumen cannulae, average weight 497 (SE 61.1) kg. For the experiment the animals were given a basal diet consisting of rice straw and compound feed mixed at 4:6 ratio. The three experimental treatments were (1)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2) 5 g/d Tween 80 and (3) 10 g/d Tween 80. Ruminal pH was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Tween 80 supplementation at 6 h after feeding. Increasing supplementation levels of Tween 80 linearly increased the total VFA concentration. CMCase activity by the 10g/d supplementation of Tween 8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by 24.4%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Digestibility of crude fib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Hanwoo steers fed the diet supplemented with 10 g/d Tween 80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whilst digestibility of ether extract (EE) was linearly increased by increasing Tween 80 supplementation level (p<0.05). In other nutrient components, their digestibilities of Hanwoo fed diets supplemented with Tween 80 tended to increase. It is concluded that Tween 80 has a potential for industrial application as a feed additive to improve ruminant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