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butyltin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7초

Effects of Organotin Compounds on Follicular Steroidogenesis in Frogs

  • Kwon, Hyuk-Bang;Kim, Seung-Chang;Kim, An-Na;Lee, Sung-Ho;Ahn, Ryun-Sup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3호
    • /
    • pp.163-172
    • /
    • 2009
  • Some organotin compounds such as butyltins and phenyltins are known to induce impo-sex in various marine animals and are considered to be endocrine disruptor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organotins on follicular steroidogenesis in amphibians was examined using ovarian follicles of Rana dybowskii and Rana catesbeiana. Isolated follicles were cultured for 6 or 18 h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frog pituitary homogenate (FPH) or various steroid precursors, and the levels of product steroids in the culture media oassay. Among the butyltin compounds, tributyltin (TBT) strongly and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FPH-induced synthesis of pregnenolone ($P_5$) and progesterone ($P_4$) by the follicles. TBT also strongly suppressed the conversion of cholesterol to $P_5$ and partially suppressed the conversion of $P_5$ to $P_4$. A high concentration of dibutyltin (DBT) also inhibited steroidogenesis by the follicles while monobutyltin and tetrabutyltin had negligible effects. The toxic effect of TBT or DBT was irreversible and a short time of exposure (30 min) was enough to suppress steroidogenesis. All the phenyltin compounds significantly inhibited FPH-induced $P_5$ synthesis by the follicles. The effective dose of 50% inhibition by diphenyltin was $0.04\;{\mu}M$ and those of monophenyltin and triphenyltin were $0.24\;{\mu}M$ and $0.3\;{\mu}M$, respectively. However, none of the phenyltin compound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conversion of $P_4$ to $17{\alpha}$-hydroxyprogesterone ($17{\alpha}$-OHP) (by $17{\alpha}$-hydroxylase), $17{\alpha}$-OHP to androstenedione (AD) (by $C_{17-20}$ lyase), or AD to testosterone by the follicles. Taken together, the data show that among the steroidogenic enzymes, P450scc in the follicles is the most sensitive to organotin compounds and that an amphibian follicle culture system can be a useful screening model for endocrine disruptors.

  • PDF

자외선 및 고에너지 가시광 차단 기능을 갖는 눈 건강을 위한 폴리머 안경렌즈 (Polymer Eyeglass Lens with Ultraviolet & High-Energy Visible Light Blocking Function for Eye Health)

  • 김기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0-15
    • /
    • 2020
  • 파장 400 nm 이하의 자외선은 눈 건강에 매우 해롭다. 또한 고에너지 가시광도 망막 세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최근에 밝혀졌다. 따라서 자외선 및 고에너지 가시광 차단 기능의 안경렌즈 개발이 시대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와 2,3-bis((2-mercaptoethyl)thio)-1-propanethiol 모노머 및 벤트리아졸 UV 흡수제, 알킬인산에스터 이형제, 안료혼합물(CI solvent violet 13), 이염화부틸주석 촉매제 등의 혼합물을 인젝션 몰드 방법으로 열중합 공정을 적용하여, 굴절률 1.67의 고굴절률 폴리머 안경렌즈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머 안경렌즈의 양면에 전자빔 진공증착 시스템으로 다층 반사방지 코팅을 하였다. 제조된 안경렌즈의 자외선 및 고에너지 가시광 차단 기능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UV 흡수제를 0.5wt% 첨가한 폴리머 안경렌즈가 411 nm 파장 이하의 자외선 및 고에너지 가시광을 99 % 이상 차단하였다. 또한 460 ~ 660 nm 파장의 명소시 시각 민감도 10% 이상의 영역에서 평균 투과율이 97.9%를 나타내어 명소시에서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연안의 참굴 및 바지락 속에 존재하는 부틸주석화합물의 분석 (Analysis of butyltin compounds in Crassostrea gigas and Tapes philippinarum on the korean coast)

  • 이성언
    • 분석과학
    • /
    • 제22권5호
    • /
    • pp.360-368
    • /
    • 2009
  • 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와 한국은 2003년을 기점으로 하여 TBT의 사용을 전면 금지 하였다. 이 금지를 통하여 몇몇 나라에서는 해양환경(바닷물, 퇴적물, 굴)에서 TBT의 오염도가 차츰 감소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 규제 이후 TBT의 오염도를 확인 하기 위하여 Crassostrea gigas(굴) 및 Tapes philippinarum(바지락)을 선택 하여 부틸주석화합물(butyltin compounds)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Crassostrea gigas 및 Tapes philippinarum 가 생산되는 농장 및 주요 TBT 오염이 예상되는 지점에서 시료를 직접 채취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각각 측정된 농도는 Crassostrea gigas의 경우 MBT, DBT와 TBT가 각각 N.D. -N.D., N.D. -N.D., N.D. -60.21 ng Sn $g^{-1}$ (wet wt)으로 측정 되었다. Tapes philippinarum의 경우 MBT, DBT와 TBT가 N.D. -12.27, N.D. -45.95, N.D.-7.30 ng Sn $g^{-1}$ (wet wt)로 각각 측정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TBT 오염도 감소를 확인 하기 위하여 1994년도에 측정된 동일 지역의 Crassostrea gigas의 부틸주석 화합물의 농도 대하여 비교조사를 해보았다. 조사결과 비교대상 7개 지점 샘플 중에 모든 샘플에서 TBT가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4개 지점 샘플은 butyltin compounds가 검출한계 이하로 측정이 되었다. Tapes philippinarum의 경우도 외국 연구자료와 비교하여 볼 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