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zinon residu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4초

쪽파(Allium ascalonicum L.) 재배기간 중 Diazinon, Iprodione 및 Chlorfenapyr의 잔류량 변화 (Temporary Persistance of Pesticide Residue of Diazinon, Iprodione and Chlorfenapyr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s in Shallot (Allium ascalonicum L.))

  • 고광용;나은식;김성헌;김상준;장영희;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32권2호
    • /
    • pp.223-231
    • /
    • 2005
  • In order to know the residual pattern of pesticides and predict to the degradation period until below MRL, we experimented diazinon, iprodinon and chlorfenapyr for shallot. They were the most detected pesticide in shallot by NAQS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management Service) survey. In this experiment, we sprayed those pesticides 15days before harvest and analyzed 0, 1, 2, 3, 5, 7, 10, 14 day sample to establish logical equation and to calculate $DT_{50}$. During the cultivating period, the residue amount of diazinon was changed from 1.02 mg/kg (0 day) to 0.01 mg/kg (14 day), $DT_{50}$ was 2.19 days, and iprodione was changed from 1.45 mg/kg (0 day) to 0.14 mg/kg (14 day), $DT_{50}$ was 4.15 days, and chlorfenapyr was changed from 1.5 mg/kg (0 day) to 0.01 mg/kg (14 day), $DT_{50}$ was 1.97 days. The $DT_{50}$ of double amount in those pesticides, diazinon was 2.24 days, iprodione was 4.82 days, and chlorfenapyr was 2.24 days, respectively.

  • PDF

Residues of Diazinon in Growing Chinese cabbage: A study Under Greenhouse Conditions

  • Khay, Sathya;El-Aty, A.M. Abd;Lim, Kye-Taek;Shim, Jae-Ha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4-179
    • /
    • 2006
  • Chinese cabbage, Braccica campestris has long been consumed as a staple food for Koreans in various forms of fresh, salted, and fermented Kimchi. Cultivation of the crop under greenhouse has become a general practices to fulfill its off-seasonal consumer's demand. However, agricultural practices of the crop have always accompanied with heavy applications of pesticides caused by severe outbreaks of diseases and pose under warm and humid circumferences. Since dissipation patterns of pesticide residues in/on the crop under greenhouse conditions ate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open-air, changes of diazinon, O,O-diethyl O-2-isopropyl-6-methylpyrimidin-4-yl phosphornthioate, in/on the Chinese cabbage applied by foliar spraying under greenhouse were studied. Diazinon 34% EC was applied with dilution of recommended and double dose to the crop. The shoots of crop were harvested immediately after this application and at regular intervals over a 10-day. After sample preparations, the diazinon residue was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equipped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GC/ECD). Initially deposited amount of the chemical in/on the crop right after applications with recommended and double doses were 8.3 and 15.2 mg/kg, respectively. The residue levels after 10 days of application were 0.03 and 0.09 mg/kg with 1.3 and 1.5 days of half-life in/on the crop, respectively. In consequent 10 days of pre-harvest interval (PHI) for diazinon EC formulation in/on Chinese cabbage under greenhouse condition was fulfill maximum residue level set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0.1 mg/kg).

전남지역 복숭아중의 농약잔류에 관한 조사 연구 (Study on the Pesticide Residues in Peaches in Chonnam province)

  • 김영국;오금순;송병준;박종태;김순천;박재홍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28
    • /
    • 1992
  • 전남지방의 주요 재배단제에서 채취한 총 16종의 복숭아들에 대한 농약 잔류량 조사하였으며, 이들 복숭아를 수세 및 탈피 그리고 저장하였을 때의 농약 잔류량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총 24종의 조사대상 농약중 TPN(Chlotothalonil) 및 Diazinon 그리고 Fenitrothion만이 3지점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잔류량은 보사부에서 설정한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s : MRL)에 크게 미달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들 시료들을 수세 및 탈피하지 않고 분석한 결과 TPN의 우 MRL을 훨씬 초과한 양이 검출되었는데, Diazinon은 MRL에는 미치니 못하였지만 수세 및 탈피한 시료들보다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수세에 의한 복숭아중의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TPN의 경우 63.4~66.4% 이었으며 Diazinon은 거의100% 수준이었다. 한편 탈피에 의한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TPN 및 Diazinon 모두에서 대부분 제거되어 수세에 의한 경감보다도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료를 2주간 저장한 후 복숭아를 수세나 탈피를 하지 않거나 수세만 하여도 TPN과 Diazinon이 대부분 제거되며, 탈피를 한 경우는 별로 차이가 없었다.

  • PDF

Fate of Some Pesticides during Brining and Cooking of Chinese Cabbage and Spinach

  • Kang, Se-Mi;Lee, Mi-G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77-81
    • /
    • 2005
  • Chinese cabbage and spinach applied with eight pesticides at two different rates were subjected to brining, heat-cooking, and blanching to determine residue or transfer ratios of those pesticides. Residue ratio in discarded inedible portion varied significantly, 0-94%, depending on pesticides applied, vegetable type, and cooking processes. Average reduction ratios of residues during cooking process were 78, 46, 23, 12, 10, 9, 8, and 2% in dichlorvos, diazinon, chlorpyrifos, endosulfan, EPN, cypermethrin, deltamethrin, and fenvalerate, respectively.

주요하천수(主要河川水)에 대(對)한 농약잔류(農藥殘留) 실태조사(實態調査) (A Survey for Pesticide Residues in Major Rivers of Korea)

  • 이해근;이영득;박영선;신용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3-89
    • /
    • 1983
  • 우리나라 주요(主要) 하천수(河川水)에 대(對)한 농약잔유실태(農藥殘留實態)를 파악(把握)하여 농약안전사용(農藥安全使用)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코자 5대강(大江) 본류(本流)를 중심(中心)으로 주요(主要) 지류유입지점(支流流入地點)을 강별(江別)로 5개소(個所)를 선정(選定), 갈수기(渴水期)(4월(月))와 성수기(盛水期)(8월)에 동일(同一) 지점(地點)에서 시과(試科)를 채취(採取)하여 하천수중(河川水中) 농약잔유량(農藥殘留量)을 조사(調査)하였다. 조사대상지역(調査對象地域)이나 조사시기(調査時期)와는 무관(無關)하게 하천수중농약잔유량(河川水中農藥殘留量)은 극미량(極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대체(大體)로 성수기(盛水期)가 갈수기(渴水期)에 비(比)해 다소(多少) 높은 수준(水準)으로 검출(檢出)되었는데, IBP와 diazinon의 경우는 그러한 현상(現象)이 더욱 현저하였다. 유기인계농약(有機燐系農藥)은 IBP와 diazinon만이 검출(檢出)되었으며, fenthion, fenitrothion, chlorpyriphos, chlorpyriphos-methyl, chlorfenvinphos, phenthoate, 및 edifenphos는 어느 시료(試料)에서도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IBP와 diazinon의 조사최고치(調査最高値)는 각각(各各) 1.53과 0.39ppb이었다. 유기염소농약(有機鹽素農藥)은 조사시기(調査時期)에 따른 차리(差異)가 거의 없었다. Aldrin은 어느 시료(試料)에서도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며, dieldrin과 p.p`-DDT는 극(極)히 일부(一部) 시료(試料)에서만 극미량(極微量)으로 검출(檢出)된 반면(反面), BHC와 heptachlor및 ${\alpha}-endosulfan$의 검출빈도(檢出頻度)는 다소(多少) 높은 편(便)이나 그들의 잔류수준(殘留水準)은 매우 낮았다.

  • PDF

팽화 처리한 나락의 결정화도, 당화효율,농약잔류량 비교 (Comparison of Relative Crystallinities, Saccharification Effeciency and Diazinon Residue of Varietal Puffed Paddy)

  • 김중만;김동한;백승화;백덕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87-491
    • /
    • 1994
  • 나락을 열풍팽화기로 팽화시켜 현미와 왕겨의 결정화도, 당화율, 농약잔류량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나락의 팽화처리로 쌀전분의 결정화도가 감소하였으나 왕겨의 결정화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찰벼의 팽화처리는 자숙처리에 비하여 엿기름 amylase에 의한 당화율이 높았으며 왕겨의 cellulase에 의한 가수분해율은 팽화처리시 $14{\sim}30%$ 상승되었다. 나락의 팽화처리로 왕겨와 현미 중의 농약(diazinon)의 잔류량 감소는 메벼에서 현저하였고, 팽화전에 비하여 현미와 왕겨에서 각각 42.7%, 47.6% 잔류되었다.

  • PDF

답토양(畓土壤) 및 수도체중(水稻體中) Diazinon의 잔류평가(殘留評價) (Evaluation of Diazinon Residues in Paddy Soil, Brown Rice and Rice Straw)

  • 이영득;이성희;박영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5
    • /
    • 1983
  • 수원(水原) 및 리리(裡里) 2개포장(個圃場)에서 diazinon립제(粒劑)의 토양중(土壤中) 잔류소장(殘留消長)을 구명(究明)하고 약제(藥劑) 철포회수(撤布回數) 및 시기별(時期別)로 수확(收穫)한 현미(玄米) 및 볏짚중 diazinon의 잔류양(殘留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원(水原) 및 리리(裡里) 포장조건하(圃場條件下)에서 토양중(土壤中) diazinon의 반감기(半減期)는 $9{\sim}12$일(日)로 철포회수(撤布回數)와 포장간(圃場間)에 큰 차리(差異)가 없었다. 2) 실험실시험(實驗室試驗)에서 diazinon의 토양중(土壤中) 반감기(半減期)는 수원토양(水原土壤)에서 12.6일(日), 리리토양(裡里土壤)에서 11.6일(日)이었다. 3) 락제처리별(樂劑處理別) 현미중(玄米中) diazinon의 잔류양(殘留量)은 부검출(不檢出)${\sim}0.14ppm$으로 이에 따른 안전사용기준(安全使用基準)은 수확전(收穫前) 15일한(日限), 살포회수(撒布回數) 4회 이내(回 以內)였다. 4) 볏짚 중 diazinon의 잔류양(殘留量)은 $0.08{\sim}4.76ppm$의 범위(範圍)였다.

  • PDF

시설재배 딸기와 오이 중 농약잔류에 관한 조사 연구 (A Monitoring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Strawberries and Cucumbers from plastic Film Houses)

  • 이해근;김영구;박영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93-202
    • /
    • 1988
  • 농작물중 농약 잔류량조사 계획의 일환으로 전국주요시설 재배지에서 채취한 딸기와 오이 각 50점과 서울시 소재 5개 슈퍼마켓에서 시판되는 딸기를 수집, 농약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딸기에서는 일부 시료에서 procymidone, chlorothalonil. captan, diazinon, ${\alpha}-endosulfan$ 등이 미량으로 검출되었으나 조사최대치의 경우에도 잔류허용기준의 1/79~1/2 에 불과하였다. Malathion, Fenitrothion, parthion 등 유기인계 살충제는 전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시판 딸기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오이에서는 유기인계 살충제가 전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기타 살균제의 검출빈도는 딸기와 비슷하였으나 잔류수준은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딸기와 오이 중 검출 빈도와 잔류수준이 비교적 높았던 농약은 procymidone과 chlorothalonil로서 이들의 조사최대치도 잔류허용기준에 크게 미달되고 있어 현재로서는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수일에 의한 딸기중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38~95%로서 상당부분이 제거 되었다. 딸기 잿빛 곰팡이병 방제약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procymidone이나 dichloflanid에 대한 농약잔류향조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되었으며, 아울러 본 조사연구는 금후 이들 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설정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PDF

광양만 해수 중 유기인 잔류 농약성분의 GC-MS 분석 (GC-MS Analysis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 in Seawater From the Kwangyang Bay, Korea)

  • 박미옥;박점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3-304
    • /
    • 2006
  • Sea water samples collected in August, 1994 from 20 stations in the Kwangyang Bay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ed ion monitoring (GC/MS-SIM) to investigate persistence and distribution pattern of four organophosphorus pesticides (DDVP, Diazinon, IBP, EDDP). Except for IBP, the contamination by DDVP, Diazinon, and EDDP in marine aquatic environment in Korea has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In this study, however, all these four pesticides were detected in all stations (except DDVP) 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in ng/L level. The concentrations ranged from detection limit to 15.3ng/L for DDVP, 1.8-27.7ng/L for Diazinon, 7.3-63.5ng/L for IBP, and 22.2-1100.1ng/L for EDDP. It is noteworthy that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IBP and EDDP in this study would be much lower than usual, since the use of IBP and EDDP was less than 50% of average annual consumption due to unusually dry and hot weather condition in the summer of 1994. It was very surprising to find that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were observed at stations near Daesa Streamlet instead of Seomjin River, which has more point source of the pesticid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mall river discharge during heavy ram period in summer can give harmful effect on marine biota (both wild and aqua-cultured) with its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 despite of their short residence time in aquatic environment. In order to protect the marine life properly from acute toxicity of the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t needs to be emphasized that monitoring the level of agricultural pesticides in river run-off should be done during active consumption period rather at regular intervals.

배추김치와 깻잎지의 제조과정에 따른 잔류농약의 제거 (Removal of Pesticide Residue during the Preparation of Baechu Kimchi and Perilla Leaf Pickle)

  • 황래홍;조인순;김민정;조태희;박영혜;박혜원;박경애;김현정;김무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3-409
    • /
    • 2011
  • 배추와 깻잎에 인위적으로 조성된 잔류농약이 김치제조 과정에서 제거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배추김치의 경우 농약처리 직후 배추에서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의 농도가 각각 $9.18{\pm}0.03$ mg/kg, $22.27{\pm}0.22$$10.46{\pm}0.02$ mg/kg 이었는데 12시간의 절임과정 후에는 각각 초기 농도의 22.5%, 25.3% 및 0.6% 가 제거된 것으로 조사 되 었다. 절임과 3회의 세척과정 후에는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이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69.9%, 85.6% 및 11.2%가 제거 되었다. 김치를 제조하여 4주간 발효 후에는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79.4%, 94.4% 및 21.0% 가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김치제조 과정별 제거비율은 diazinon 의 경우 절임과정 에서 28.4%, 세척과정에서 59.7%, 발효과정에서 11.9%가 제거 되었으며, procymidone의 경우에는 절임과정에서 26.9%, 세척과정에서 63.8%, 발효과정에서 9.3% 가 그리고 endosulfan 의 경우에는 절임과정에서 3.2%, 세척과정에서 50.4%, 발효과정에서 46.4% 가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갯잎의 경우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의 초기농도가 각각 $18.11{\pm}0.62$ mg/kg, $31.80{\pm}0.33$$12.01{\pm}0.01$ mg/kg 이었으며 3회 세척과정 후에는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60.5%, 52.0% 및 23.7% 제거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척과 2주간 절임과정 후에는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이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93.9%, 92.4% 및 49.6% 가 제거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깻잎지 제조과정별 제거비율은 diazinon 의 경우 세척과 정에서 64.5%, 절염과정에서 35.5% 가 제거 되었으며, procymidone 의 경우에는 세척과정에서 56.3%, 절임과정에서 43.7% 가 그리고 endosulfan의 경우에는 세척과정에서 47.8%, 절임과정에서 52.2% 가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