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zinon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32초

Diazinon과 Carbofuran의 송사리(Oryzias latipes)와 미꾸리(Misqurnus anguillicaudatus)에 대한 선택적 독성과 Acetylcholinesterase저해 (Selective Toxicity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of Diazinon and Carbofuran to Killifish(Oryzias latipes) and Loach(Misgurnus anguillicaudatus))

  • 김영배;이성규;김용화;노정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7-123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diazinon과 carbofuran의 송사리와 미꾸리에 대한 선택적 어독성 기작을 규명코자 뇌와 몸체에서 acetylcholinesterase(AchE)를 추출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 농약에 의한 효소의 활성저해도(IC50)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급성 어독성 실험에서 얻어진 LC5O값과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송사리의 AchE의 활성은 미꾸리의 활성보다 2배 높았고, diazinon과 carbofuran의 선택적 독성은 diazinon의 대사산물인 diazoxon의 두 어종에 대한 IC50 값이 미꾸리가 송사리보다 4배 낮고, carbofuran의 IC50값은 송사리가 미꾸리보다 약 3.4배 낮으므로,IC50 값에 의하여 부분적으로는 설명될 수 있었다. 따라서 AchE을 이용하여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독성을 검색하는데 있어 동일농약인 경우 어종간의 감수성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농약의 독성을 1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위의 방법이 본격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농약의 종류와 어종을 다양화한 실험과 흡수, 체내에서의 대사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급성 독성 현상과 AchE의 저해도와의 관계가 먼저 정리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배추김치와 깻잎지의 제조과정에 따른 잔류농약의 제거 (Removal of Pesticide Residue during the Preparation of Baechu Kimchi and Perilla Leaf Pickle)

  • 황래홍;조인순;김민정;조태희;박영혜;박혜원;박경애;김현정;김무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3-409
    • /
    • 2011
  • 배추와 깻잎에 인위적으로 조성된 잔류농약이 김치제조 과정에서 제거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배추김치의 경우 농약처리 직후 배추에서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의 농도가 각각 $9.18{\pm}0.03$ mg/kg, $22.27{\pm}0.22$$10.46{\pm}0.02$ mg/kg 이었는데 12시간의 절임과정 후에는 각각 초기 농도의 22.5%, 25.3% 및 0.6% 가 제거된 것으로 조사 되 었다. 절임과 3회의 세척과정 후에는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이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69.9%, 85.6% 및 11.2%가 제거 되었다. 김치를 제조하여 4주간 발효 후에는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79.4%, 94.4% 및 21.0% 가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김치제조 과정별 제거비율은 diazinon 의 경우 절임과정 에서 28.4%, 세척과정에서 59.7%, 발효과정에서 11.9%가 제거 되었으며, procymidone의 경우에는 절임과정에서 26.9%, 세척과정에서 63.8%, 발효과정에서 9.3% 가 그리고 endosulfan 의 경우에는 절임과정에서 3.2%, 세척과정에서 50.4%, 발효과정에서 46.4% 가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갯잎의 경우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의 초기농도가 각각 $18.11{\pm}0.62$ mg/kg, $31.80{\pm}0.33$$12.01{\pm}0.01$ mg/kg 이었으며 3회 세척과정 후에는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60.5%, 52.0% 및 23.7% 제거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척과 2주간 절임과정 후에는 diazinon, procymidone 및 endosulfan 이 초기농도에 비해 각각 93.9%, 92.4% 및 49.6% 가 제거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깻잎지 제조과정별 제거비율은 diazinon 의 경우 세척과 정에서 64.5%, 절염과정에서 35.5% 가 제거 되었으며, procymidone 의 경우에는 세척과정에서 56.3%, 절임과정에서 43.7% 가 그리고 endosulfan의 경우에는 세척과정에서 47.8%, 절임과정에서 52.2% 가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공강우와 콩재배 포장 라이시메타를 이용한 diazinon과 metolachlor의 유출량 평가 (Runoff of Diazinon and Metolachlor by Rainfall Simulation and from Soybean Field Lysimeter)

  • 김찬섭;이병무;박병준;정필균;최주현;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9-288
    • /
    • 2006
  • 강우에 의한 경사지 토양으로부터의 농약 유출양상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환경적 요인 및 영농방법등의 영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토양흡착실험과 인공강우유출실험 및 콩 재배 lysimeter 포장에서 유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실험을 수행하여 농약의 이동 가능성과 이동형태를 파악하고, 인공강우시설을 이용한 유출실험으로 강우양상 및 경사도의 영향 정도를 살펴보고, 콩 재배 경사지 포장에 설치된 lysimeter 실험을 수행하여 작물 재배에 따른 농약의 유실 양상 차이를 파악하여 농약의 표면유출에 의한 유실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두 농약의 Freundlich 흡착계수 K는 diazinon은 $4.0{\sim}5.5$이었고 metolachlor는 $1.6{\sim}2.0$이었다. Freundlich 등온흡착식의 직선성을 나타내는 1/n 값은 탈착방법의 경우 $0.96{\sim}1.02$이었고 흡착방법의 경우는 $0.87{\sim}1.02$이었다. 영국 SSLRC의 이동성 분류기준으로 판단하면 diazinon과 metolachlor는 moderately mobile ($75{\leq}Koc$ <500) 등급에 해당하였다. 인공강우 처리구의 유출수 및 유실토양에 의한 농약 유실률은 각각 diazinon $0.1{\sim}0.6%$$0.1{\sim}0.2%$, metolachlor $0.5{\sim}1.0%$$0.1{\sim}0.7%$ 이었고, 경사도 30%의 경우가 10%에 비하여 농약 유실량이 $0.2{\sim}1.9$ 배 많았다. 인공강우실험 후 농약의 토심별 분포를 살펴 본 결과 diazinon은 토심 $5{\sim}10$ cm까지 이동하였고 metolachlor는 토심 $10{\sim}15$ cm까지 이동하였다. Lysimeter 포장유출실험 결과 경사도 및 경사장별 나지구의 유실량은 diazinon $0.23{\sim}0.50%$, metolachlor $1.0{\sim}3.1%$ 수준이었으며, 인공강우실험의 유실률에 비하여 $1/3{\sim}2.5$ 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콩재배구의 유실률은 나지구의 유실률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21{\sim}75%$ 정도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수 중 농약성분의 최고농도는 콩재배구 및 나지구 각각 diazinon $1{\sim}9{\mu}g\;L^{-1}$$3{\sim}16{\mu}g\;L^{-1}$, metolachlor $7{\sim}31{\mu}g\;L^{-1}$$5{\sim}40{\mu}g\;L^{-1}$ 수준으로 작물 재배 여부에 따른 유출수 중 농도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순환식 반응기에서 유리판에 코팅된 TiO2 광촉매를 이용한 유기인계 농약의 광분해 (Photodegradation of Organophosphorous Pesticides using TiO2 Photocatalyst Coated on Glass Plates in Circular Reactor)

  • 류성필;오윤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89-596
    • /
    • 2002
  •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chlorpyrifos and diazinon, which are extensively used as an organophosphorous pesticide in the agriculture field, has been investigated with UV-radiated TiO$_2$ in aqueous phase. Photodegradation rat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of the solutio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chlorpyrifos and diazinon were 100% after 200 min in pH 9. Photodegradation followed a pseudo-first-order reaction. The rate constants of chlorpyrifos and diazinon were 0.0160min$\^$-1/ and 0.0180min$\^$-1/, respectively. NO$_3$$\^$-/, PO$_4$$\^$3-/, SO$_4$$\^$2-/ and Cl$\^$-/ were found as end products on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chlorpyrifos and diazinon with TiO$_2$/UV.

마우스에서 diazinon, toxaphene 과 endrin 단독 혹은 그 혼합물 독성의 대사 (Metabolic aspects of the toxicology of mixtures of diazinon, toxaphene and/or endrin in mice)

  • 김종수;김곤섭;하대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65-272
    • /
    • 1998
  • The effects of mixtures of diazinon(DA;5mg/kg), toxaphene(TOX;40mg/kg) and/or endrin(END; 5mg/kg) on the hepatic mixed-function oxygenase(MFO) system were stuided in ICR mice(18~22g) by oral intubation daily for 7 days. In general, TOX and TOX-containing mixtures were found to induced the metabolism of aminopyrine(22~60%), aniline(42~85%), phenacetin(145~194%) and benzo [a]pyrene(158~210%), and pentobaribtal biotransformation in the 9,000g liver supernatants and to increased the hepatic cytochrome p-450 contents(47~89%). Results of these may be, at least in part, associated with the MFO system. TOX pretreatment increased the aliesterase activity in the serum and liver homogenates and supernatants by 23~145%. The toxicity of TOX and TOX-containing mixtures would be lower than that of diazinon because of TOX-induced increase in the metabolism of diazinon(DA) or diazioxon(DO) and capability of TOX to stimulate the metabolism of diazinon and diazioxon and provide a pool of non-critical enzym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information might be helpful in the evaluation of the potential hazard due to occupational and/or environmental exposures to pesticides and their mixtures.

  • PDF

담배나방과 파밤나방의 유충사망률과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의 활성에 미치는 니코틴과 다이아지논의 영향 (Comparative effects of nicotine and diazinon on larval mortality and activity of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 in Helicoverpa assulta and Spodoptera exigua)

  • 이정호;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5-235
    • /
    • 1993
  • 담배나방(Heliocoverpa assulta)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유충에 대한 유기인계 살충제인 다이아지논과 담배의 산물인 니코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다이아지논이 처리된 담배나방유충의 사망률은 파밤나방유충의 경우보다 훨씬 높았으며 니코틴 처리구에서는 이와 반대양상을 나타내었다. 담배나방유충 중장의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 (MFO) 활성은 다이아지논 처리구에 비해서 니코틴 처리구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담배나방유충을 기주식물인 담배잎으로 사육하였을 때 다른 화합물과는 달리 대부분의 니코틴은 변화 없이 배설되었다.

  • PDF

꽃매미(Lycorma delicatula) 약충과 성충에 대한 약제방제 효과 (Chemical Control Effect Against Spot Clothing Wax Cicada,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Nymphs and Adults)

  • 김선국;이기열;신윤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40-445
    • /
    • 2010
  • 본 연구는 꽃매미(Lycorma delicatula)의 방제약제 선발을 목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5종 살충제에 대한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꽃매미 3령약충과 성충에 대해서 chlorpyrifos, etofienprox+diazinon, etofenprox, dinotefuran, imidacloprid 모두 100% 살충활성을 보였다. 5종 약제의 배수, 반수, 추천농도에 대한 실험결과 뿌리의 침투이행성 실험은 dinotefuran, etofenprox+diazinon의 반수농도에서 각각 82.2%와 84.4%의 성충 치사율을 보였으며, chlorpyrifos는 추천농도에서 86.0% 치사율을 나타냈다. 엽면적 침투이행은 반수농도와 추천농도에서 dinotefuran을 제외하고 치사율이 모두 65%이하로 낮았으나, 배수농도에서는 ch1orpyrifos, dinotefuran, etofenprox에서 82% 이상의 치사율을 보였다. 약제 간 잔효성 비교는 dinotefuran, etofenprox+diazinon의 배수와 추천농도에서 14일 동안 100%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나머지 약제는 효과가 낮았다. 노지 포도원에서 실시한 방제실험 결과 약충은 14일까지 4약제 모두 87%의 방제가를 보였고, 성충은 dinotefuran, etofenprox+diazinon에서 96%이상 치사율을 보인 반면, 나머지 약제는 각각 59.1%와 61.2%로 낮았다. 따라서, 뿌리와 잎에 침투이행이 높고 잔효성이 우수한 dinotefuran, etofenprox+diazinon이 야외 포장에서의 방제효과도 높았다.

시설 열무 중 diazinon 및 endosulfan에 대한 잔류농약 분해특성 (Characteristic of Decomposition of Residual Pesticides on Diazinon and Endosulfan in Young Radish)

  • 최근영;김준형;한병재;정양모;서혜영;심성례;김경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238-243
    • /
    • 2004
  • 열무의 안전한 생산을 위한 시설재배 생산단계에서의 각 농약 잔류량 변화 추이와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농산물 안전성 평가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제 시험포장에 열무를 파종한 후 수확 10일 전에 2 종(diazinon, endosulfan)의 살충제를 각 성분별로 안전사용 기준에 따라 기준량 및 배량의 처리구에 직접 살포하여 열무의 포장상태에서의 잔류량 감소(생물학적 반감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설재배포장에서의 열무 중 각 약제의 살포농도별 잔류량 변화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잔류수준이 점차 감소하였다. 약제 살포 후 분해속도는 diazinon이 endosulfan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Endosulfan은 대사산물인 sulfate 때문에 잔류기간이 0.6일 더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위한 열무 중 약제 살포 후 수확일은 잔류허용기준(MRL)을 적용시킬 경우 기준량으로 볼 때 diazinon은 6일 후, endosulfan은 10일 후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화된 LPME(Liquid Phase Microextraction)장치를 이용한 다성분 농약분석 (Multicomponent pesticides analysis by automated liquid phase microextraction)

  • 명승운;정홍래
    • 분석과학
    • /
    • 제18권3호
    • /
    • pp.224-231
    • /
    • 2005
  • 잔류농약 분석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액체-액체 추출법과 액체-고체 추출법의 여러 가지 단점을 극복하고 기존의 낮은 정밀도와 저조한 추출효과를 보완하기위해 자동화된 장치를 이용한 액체상 극미량 추출법(Liquid Phase Microextraction : LPME)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최적화 조건을 설정하였다. 대상농약은 demeton-S-methyl, diazinon, parathion, fenitrothion, EPN등 5종이었으며 채소 시료 중에서 추출하여 HP 6890 GC/NP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동화된 LPME를 이용한 최적의 추출조건은 pH 3, 염의 농도 $100{\mu}g/mL$이었으며 검량선을 작성하였을 때 $0.2{\sim}10{\mu}g/g$ 범위에서 $R^2=0.9921$ 이상 직선상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5{\mu}g/g$ 농도에서 demeton-S-methyl은 7.7%, diazinon은 9.8%, parathion은 7.8%, fenitrothion는 9.7%, EPN은 8.2%의 상대표준편차를 나타내었고 정확도는 demeton-S-methyl는 12.7%, diazinon는 7.8%, parathion는 10.4%, fenitrothion는 -6.7%, EPN은 -0.7%로 좋은 값을 나타내었다.

열무 중 살충제의 잔류농약 분해 특성 연구

  • 김준형;서혜영;최근영;정양모;박순연;김관수;최택열;손길선;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50.1-150
    • /
    • 2003
  • 열무의 안전한 생산을 위한 생산단계에서의 각 농약 잔류량 변화 추이와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농산물 안전성 평가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제 시험포장에 열무를 파종한 후 수확 10일 전에 4 종(diazinon, endosulfan, cypermethrin, cyhalothrin)의 살충제를 각 성분별로 안전사용 기준에 따라 기준량 및 배량의 처리구에 직접 살포하여 열무의 포장상태에서의 잔류량 감소(생물학적 반감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농약별로 2 수준 농도의 표준물질을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평균회수율은 diazinon 98.7∼99.9%, endosulfan 97.6∼98.5%, cypermethrin 98.3∼99.6%, cyhalothrin 98.4∼99.1%이였고, 검출한계는 diazinon 및 cypermethrin은 0.04 mg/kg, endosulfan은 0.012 mg/kg, cyhalothrin은 0.01 mg/kg 이었다. 약제 살포 후 분해속도가 빠른 성분은 diazinon > endosulfan > cypermethrin >cyhalothrin 순이었다. 작물체(열무)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잔류량의 변화를 1차 반응으로 표현하여 농약 4종의 살포농도별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한 결과, 기준량 살포의 경우 diazinon 0.9일, endosulfan 2.0일, cypermethrin 2.2일, cyhalothrin 2.5일 그리고 배량 살포의 경우에는 diazinon 1.1일, endosulfan 2.0일, cypermethrin 2.1일, cyhalothrin 2.2일로 나타났다.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위한 열무 중 약제 살포 후 수확일은 잔류허용기준(MRL)을 적용시킬 경우 기준량으로 볼 때 diazinon은 6일 후, endosulfan은 10일 후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합성 피레스로이드계인 cypermethrin과 cyhalothrin은 농약살포 후 2 시간 후에 농약 잔류량이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