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tom bloom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2초

담수유입에 의한 식물플랑크톤의 대량번식 후의 연안 수질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Coastal Water Quality after Diatom Blooms Due to Freshwater Inflow)

  • 이영식;박영태;김귀영;최용규;이필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79
    • /
    • 2006
  • 연안해역의 수질특성 및 일차생산 증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담수 유입 후 규조류가 대량 번식한 상태와 담수가 유입되지 않고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의 해수의 수질특성을 조사차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호우로 많은 양의 담수가 유입된 해역에서 규조류인 Skeletonema costatum와 Thalassiosira spp.가 각각 $1,200{\sim}5,000cells/mL,\;750{\sim}1,200cells/mL$의 농도로 관찰되었다. 2)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지 않은 곳보다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한 곳에서 수온, PH, 용존산소농도가 높게 조사되어, 두 곳 사이의 거리가 20m 정도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두 곳의 수질특성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3)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하지 않은 곳보다 규조류가 대량으로 증식한 곳에서 질소 인, 규소의 농도가 낮게 조사되어, 호우로 질소, 인, 규소보다는 규조류가 증식하기 위해 필요한 미량원소가 육지로부터 풍부하게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DIN/DIP, $DIN/SiO_2-Si$ 비는 모두 규조류가 대량 증식한 정점과 그렇지 않은 정점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 PDF

인천 연안의 초가을 식물플랑크톤 대증식기에 식물플랑크톤과 종속영양 원생동물 군집의 단주기 변동 (Short-term Variations in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and Heterotrophic Protozoa during the Early Fall Phytoplankton Blooms in the Coastal Water off Incheon, Korea)

  • 양은진;최중기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01-112
    • /
    • 2007
  • 2001년 8월부터 9월 사이에 인천연안 수역에서 발생된 초가을 식물플랑크톤 대증식기에 식물플랑크톤과 종속영양 원생동물 군집의 단주기 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엽록소-$\alpha$ 농도의 분포는 $1.8-19.3\;{\mu}g\;l^{-1}$로 분포 하였으며, 첫 번째 대증식기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소형 엽록소-${\alpha}({\gt}20\;{\mu}m)$는 대증식기 동안에 엽록소-$\alpha$ 농도의 80% 이상을 차지하였고, 미소형 엽록소-${\alpha}(3-20\;{\mu}m)$ 대증식기 전과 대증식기 후에 전체의 42%를 차지하였으며, 대증식기 사이에는 극미소 엽록소-${\alpha}({\lt}3\;{\mu}m)$에 의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대증식기 사이에는 독립영양 극미소플랑크톤에 의해 우점 하였으며, 대증식기 전과 대증식기 후에는 독립영양 미소편모류에 의해 우점 하였고, 두 번의 대증식기에는 규조류에 의해 높은 우점률을 보였다. 특히 대증식기에 관찰된 규조류의 개체수는 Chaetoceros pseudocrinitus와 Eucampia zodiacus에 의해 50% 이상 우점하였다. 종속영양 원생동물의 탄소량은 $8.2-117.8\;{\mu}gC\;l^{-1}$로 분포하였으며,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이 가장 높았던 직후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종속영양 원생동물의 상대적인 기여도는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및 군집구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빈섬모충류와 종속영양 와편모류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대증식기에 우점 하였으며, 종속영양 원생동물 생물량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Protoperidinium spp.에 의해 우점하는 종속영양 유각와편모류는 첫 번째 대증식기에 가장 우점하였으며, Gyrodinium spp.로 구성된 종속영양 무각와편모류는 두 번째 대증식기에 가장 우점 하였다. 그외 Noctiluca scintilla는 첫 번째 대증식기에 식물플랑크톤 소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기 동안에 종속영양 원생동물 군집은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및 군집구 조의 변화에 빠르게 반응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두 군집 사이에 잠재적인 피식-포식자의 관계가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조사기간 동안 종속영양 원생동물은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의 소멸과 관련된 중요한 섭식자로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겨울철 녹조발생 원인종 Stephanodiscus hantzschii의 생물학적제어를 위한 미소생물제재의 적용실험 (Potential in the Application for Biological Control of Winter Diatom Bloom Caused by Stephanodiscus hantzschii)

  • 김백호;강윤호;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37권2호통권107호
    • /
    • pp.236-240
    • /
    • 2004
  • 국내에서 저온기에 하천 및 하천형 호수에서 대발생하는 소형원반 규조 stephanodiscus hantzschii 제어를 위하여 팔당호 상류인 경안천 수역에서 세균 Pseudomonas putida 및 섬모충 Stentor roeseli 를 각각 분리하고, 이들의 단일 및 혼합적용시 조류제어효과를 조사하였다. 세균단일처리군에서는 접종 7일만에 98%이상의 규조를 제거한 반면, 섬모충 단일 처리군에서는 약 80%정포를 제어하였다. 두 생물제재를 혼합적용한 경우, 배양 5일만에 배양계내에서 더 이상 규조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살조세균과 섬모충의 두 생물재제 혼합적용이 규조 Stephanodiscus hantzschii 대발생을 제어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현장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제시한다.

살조세균과 초식성 섭식자의 혼합배양에 의한 녹조제어효과 (Effects of Predator Addition to the Algicidal Bacterium in Controlling Diatom Sephanodiscus hantzschii Dominating the Eutrophic Pal′tang Reservoir, Korea)

  • 김백호;가순규;한명수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2호
    • /
    • pp.23-29
    • /
    • 2004
  • An algicidal effect of endemic algicidal bacterium (Pseudomonas putida) and rotifer zooplankton (Brachionus calyciflorus) on diatom Stephanodiscus hantzschii were examined in the filtered water,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bacterium plus ciliate. Bacteria removed as 80% of the diatom within 3.5 days, while ciliate and zooplankton suppressed 57% and 40% of diatom during the same period, respectively. Mixed treatment of bacteria plus ciliate removed as 54% of diatoms, while that of bacteria plus zooplankton decreased as 85%. Although single bacteria and mixed treatment of bacteria plus zooplankton quickly decreased the diatom in the initial of experiment, bacteria plus ciliate perfectly removed the diatom in culture flask within 5.5 days of the study. On the other hand, other single and mixed treatments did not clear the diatom during the same period, and over 10% of them still remain in culture flask. Predator biomass in the presence of algicidal bacteria showed the growth patterns; zooplankton gradually decreased, and ciliate sustained over 0.5 cells/m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ciliate to the algicidal bacterium in controlling the diatom Stephanodiscus hantzschii i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zooplankton. Therefore, this synergistic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bacterium and ciliat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io-manipulation using bio-agents to control the diatomal bloom in freshwater lakes and streams.

Monitoring of Algal Bloom at Seomjin River Estuary, Southern Coast of Korea

  • Yoo, Jong-Su
    • ALGAE
    • /
    • 제18권4호
    • /
    • pp.361-363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Seomjin River estuary to identify the causative species of algal bloom and their blooming cycles.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at 4 stations in every week from April to December of 1999. Thirty species were observed as the causative species of alga bloom.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sp., and microflagellate spp. (mixed red tide: Chroomonas sp. and two species of Prasinophycea) made algal blooms during the present study period. In addition, toxic algal species of diatom Pseudo-nitzschia multiseries and dinoflagellate Dinophysis acuminata were observed. The algal blooms were caused by microflagellate spp. in June, Thalassiosira sp. in July and Skeletonema costatum in August. Generally, the algal blooms persisted for about 5 days in this area.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tic Pigments during the Outbreak of Harmful Algal Bloom at the South Coastal Area in the Korean Sea Waters

  • Kim, Sook-Yang;Lim, Woel-Ae;Kang, Young-Sil
    • 환경생물
    • /
    • 제28권1호
    • /
    • pp.20-29
    • /
    • 2010
  • Cochlodinium polykrikoides has occurs regularly during the summer in the South Sea of Korea. To investigate photosynthetic pigments concerned with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s bloom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the experiment was sampled at 20 stations three times between July and September 2002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 distribution of peridinin, the biomarker of dinoflagellate, was higher at the blooming time than it was before and it disappeared after bloom. The correlative coefficients between Chl. a and peridinin at the blooming time and out of bloom were 0.9253 and 0.1613,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bloom was caused by dinoflagellate. The correlative coefficients between Chl. a and fucoxanthin were 0.3282 and 0.9759, respectively, and the correlative coefficients showed the succession from dinoflagellate to diatom. This result means that the bloom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can be detected by Chl. a information from satellite remote sensing. Therefore, if the algorithm to detect peridinin in addition to Chl. a were to be developed, dinoflagellate red tide could be monitored more effectively.

Infection of marine diatom Coscinodiscus wailesii(Bacillariophyceae) by the parasitic nanoflagellate Pirsonia diadema(Stramenopiles) from Yongho Bay in Korea

  • Yoo, Jiae;Kim, Sunju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567-577
    • /
    • 2020
  • The infection of marine diatom Coscinodiscus wailesii by a parasitic protist from the Yongho Bay of Busan, Korea was observed during the diatom bloom events in 2017 through 2018.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features suggested that the parasitic nanoflagellate Pirsonia diadema was responsible for the infection. During the study period, the parasite prevalence ranged from 0.3% to 3.3%, and infected C. wailesii cells were observed only at surface seawater temperatures ranging between 10.9 and 19.9℃, although the host population appeared at temperatures above 25℃. The parasite and host system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as cultures. Using the cultures, we determined the morphological features over the infection cycle, parasite generation time, parasite prevalence as a function of inoculum size, and zoospore infectivity and survival time. The diatom C. wailesii was readily infected by the parasite P. diadema, with a parasite prevalence reaching up to 100% and a zoospore to host inoculum ratio above 20:1. The survival and infectivity of the parasite zoospores decreased with age. While the zoospores could survive up to 88 hours, they quickly lost their ability to infect after 48 hours. These results could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iology and ecology of the parasitoid infecting the giant-sized diatoms in coastal waters.

남극 엽층리 퇴적물로부터 규조 종을 이용한 고기후 변화 연구 (Diatom Succession Representing the Paleoclimatic Change from Laminated Sediments around Antarctica)

  • 박영숙;윤호일;유규철;이영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0-197
    • /
    • 2015
  • 남극 브랜스필드 해협의 동부분지로부터 획득한 GC08-EB01 코어퇴적물의 고해상 엽층리로부터 규조를 이용하여 고기후변화를 연구하였다. 규조 정량 분석의 결과 규조 개체수 농도는 $0.4-4.2{\times}10^8g^{-1}$로 매우 풍부하게 산출되었으며, 엽층리는 생물기원의 규조가 풍부한 층과 육성기원 퇴적물이 풍부한 층으로 구분된다. 규조 엽층리는 Corethron crilophilum, Eucampia antarctica, Fragilariopsis curta, F. kerguelensis, Odontella weissflogii, Proboscia inermis, R. styliformis, Thalassiosira antarctica와 Chaetoceros resting spores 등의 번성이 특징적이며, 육원성 엽층리에서는 규조 군집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홀로세 후기 동안 Fragilariopsis curta+F. cylindrus)/Thalassiosira antarctica의 산출 수직 분포비가 급격히 증가하는 구간은 해빙의 확장을 지시하며, 연구 코어 GC08-EB01 코어퇴적물이 퇴적되는 동안 적어도 5번의 한랭기가 있었음을 알려준다.

Distributional Ecology Of Planktonic Diatoms In The Strait Of Georgia, B. C.

  • Shim, Jae Hyung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32
    • /
    • 1977
  • In order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al ecology, an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se features, the diatom communities in plankton at depths of one, twenty-five, fifty, and seventy five meters in the area were studied and measured over a fifteen month of period. Measurements of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algal nutrients such as phosphate, silicate, nitrate, and ammonia were also made at the same depths and loc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ize of diatom communities and the species population changes were heavily dependent upon to season and location parameters as well as nutrient concentrations and hydrographic factors. Major factors influencing population distributions varied with principal species responsible for dominant species and species sucession. Two distinct distributional patterns in total diatom crop were observed in the study area. Maximum standing crop observed during spring and/or summer were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available at the onset of the spring bloom on a large scale. On a small scale, however, the distributions of total diatom standing crop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th season/location factors and with hydrographic parameters as well. Vertical stratification of diatoms was observed only in the presence of the thermocline in the water column. Within the study area there was some seasonal consistancy in the composition of the species groups. However, some species association in these environments may vary with the change of season.

  • PDF

낙동강 하구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문창호;최혜지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4-154
    • /
    • 1991
  • 낙동강 하구독 건설 후 하구역의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하여 19894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하였다. 하구독 건설 후 장림천의 영향을 직접받는 하구둑 바로 아래지역은 둑 건설전에 비하여 용존산소가 낮아지고 암모니아 및 인산염의 농도 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독 건설 후 낙동강의 유입이 일시적으로 차단되어 물의 정체현 상이 일어나고 이곳에 장님천을 통하여 많은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가 유입 되었기 때 문으로 사료된다. 질산염과 규산염 농도는 염분과 높은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어 이들 의 주요 공급원은 낙동강 유입으로 판단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춘계에는 하 구둑 상류지역에서 Asterionella sp.가, 하계에는 하구에서 Skeletomema costatum의 bloom이 있었으며 둑 건설 전에 비하여 녹조류 및 남조류가 증가하였다. 특히 하구둑 상부지역의 높은 엽록소 b의 농도는 이곳의 담수 녹조류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중 요종의 상당한 부분이 오염지표종이었다. 하구독 건설 후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