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mondback moth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7초

Chlorpyrifos 저항성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살충제 저항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Resistance to Chlorpyrifos in Diamondback-moth (Plutella xylostella L.))

  • 김경주;김성수;김성문;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88-295
    • /
    • 2003
  •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에 대한 배추좀나방의 저항성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저항성 인자로 알려진 두 가지 무독화 효소, esterases와 glutathione- S-trasferase(GST)의 활성과 작용점 효소인 acetylcholinesterase(AChE)의 insensitivity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chlorpyrifos와 작용점이 동일한 계통의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교차저항성 발달 특성을 검정하였다. 감수성 배추좀나방에 chlorpyrifos의 아치사량을 처리하여 160배의 저항성을 나타내도록 선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저항성 계통의 GST 활성은 감수성 계통의 GST 활성에 비하여 1.7배 높았으나, 감수성 계통과 저항성 계통간에 esterases 활성 차이는 없었다. 또한 chlorpyrifos의 작용점인 AChE insensitivity 측정결과 저항성 계통이 감수 성계통보다 11.6배 높았다. Chlorpyrifos 저항성 계통은 AChE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기인계 및 카바 메이트계 살충제인 dichlorvos, dimethylvinphos, carbofuran에 대해서도 각각 33.6배, 17.6배, 18.7배의 insensitivity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동일한 작용점을 저해하는 phenthoate-oxon에 대해서는 1.7배의 낮은 insensitivity를 보였다. 또한 이들 약제들에 대한 교차저항성 발달정도를 측정한 결과, chlorpyrifos 저항성 계통은 dichlorvos, dimethylvinphos, carbofuran에 대하여도 각각 82배, 47배, 42배의 높은 교차저항성 발달을 나타내었으나, phenthoate에 대해서는 2.3배로 낮은 교차저항성 발달을 보여 작용점이 동일한 유사계열 약제들이라도 저항성을 유발하는 기작에는 서로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 AChE insensitivity 와 저항성 발달비 간에는 정의상관관계$(r=0.9951^{**},\;p^{(0.01)}$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저항성 발달이 AChE에 대한 insensitivity 정도와 관련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chlorpyrifos에 대한 배추좀나방의 저항성 발달은 작용점인 AChE에 대한 약제의 insensitivity가 주 요인 중 하나이며, 무독화 효소 중 GST 활성증가가 부가적인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PN 저항성 배추좀나방에 대한 IGR계 약제 Bistrifluron의 살충활성과 세 가지 협력제에 의한 살충활성 증진 효과 (Insecticidal Activities and Synergism of Bistrifluron Against EPN-Resistant Strain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 주유리;양정오;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4-61
    • /
    • 2009
  • EPN-저항성 배추좀나방에 대한 chitin 생합성저해제인 bistrifluron의 발육단계별 살충활성, 성충수명 및 산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에 대한 부화억제율은 추천농도(50 ppm)에서 낮았지만, 부화유충의 치사율이 50-60%를 나타내었고, 두 계통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영기별 살충효과는 감수성 계통과 저항성 계통 모두에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계통간에 차이는 크지 않았다. 번데기에 처리시 우화억제율은 거의 없었으며, 또 성충의 수명과 산란수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성충에 처리했을 때 50 ppm농도에서 성충수명과 산란수는 감소하였지만 두계통간에 차이는 없었다. EPN저항성계통에 대한 bistrifluron과 협력제 piperonyl butoxide(microsomal oxidase inhibitor)와 polyoxin B(chitin synthetase inhibitor)는 각각 137.7배와 73.1배로 높은 협력작용을 나타내었다.

강원도 고랭지 Chlorpyrifos 포장저항성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저항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resistance to chlorpyrifos in diamondback moth(Plutella xylostella L.) collected from Chinese cabbage alpine farmland at Gangwon-do, Korea)

  • 조준모;김경주;김성수;박홍열;임춘근;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0-55
    • /
    • 2006
  • 본 연구는 강원도 고랭지 배추경작지에서 채집한 chlorpyrifos 포장저항성 계통의 배추좀나방에서 추출한 무독화 효소 esterases와 glutathione-S-tranferase(GST)의 활성과 단백질의 sequestration 비율 및 acetylcholinesterase(AChE) insensitivity를 측정하여 저항성 발달기작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Esterases의 경우 저항성과 감수성 배추좀나방간의 활성 차이는 없었으나, 전기영동상에서는 특정 isozyme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GST 활성은 포장저항성 계통이 감수성 계통보다 약 1.5배 높았다. 두 계통 간 단백질의 sequestration 차이는 없었으며, chlorpyrifos에 대한 AChE의 sensitivity는 포장저항성 계통의 AChE가 감수성계통보다 약 460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내에서 저항성을 유도하여 파악한 배추좀나방의 저항성 특성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강원도 고랭지 chlorpyrifos 포장저항성 배추좀나방의 저항성 발달은 AChE의 insensitivity가 주요 요인이며, 부가적으로 GST의 활성 변화도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포장에서 배추좀나방에 대한 백강균 CS-1의 방제효과 (Field evaluation of conidia of Beauveria bassiana (Balsamo) Vuillemin strain CS-1 against diamondback moth larvae)

  • 윤철식;윤태중;박현수;이상계;유재기;이정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3-118
    • /
    • 1998
  • 실내와 망실에서 배추좀나방에 대하여 높은 살충력을 보인 백강균 CS-1의 포장에서의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1.5% 실험용 대두유, 4% 점토, $4{\times}10^{7}$ conidia/ml이 함유된 포자현탄액을 0.55 L/3.3 $m^{2}$의 양으로 살포하였으며 살포된 양이 배추간 또는 유충간에 큰 차이 없이 균등하게 살포되었음을 water-sensitive paper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포장실험 중 기상조건은 살포 후 2일째부터 이틀간 비온 후 덥고 건조하였으며 잎과 유충표면에서의 포자 지속성은 주위환경에 의하여 많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불리한 환경조건에서도 본 균주는 약 54%의 방제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하여 백강균 CS-1을 이용한 미생물살충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알루미늄호일 이용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 살란활성 검정법 개발 및 살란활성 식물추출물의 선발 (Development of a Bioassay Method Using Aluminium Foil Sheet for Screening Ovicidal Activity Against Diamondback Moth Egg, Plutella xylostella L. and Selection of Plant Extracts with High Ovicidal Activity)

  • 권민;김주일;이승환;임매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4-200
    • /
    • 2011
  •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은 세계적으로 배추과 작물의 가장 문제 해충이다. 지금까지 배추좀나방 방제는 유충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더욱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 알의 부화를 억제하거나 살란활성을 가진 새로운 살충제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알루미늄 호일을 활용하여 배추좀나방의 살란활성을 효율적으로 생물검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알루미늄호일($4{\times}12$ cm, 산란호일)에 배추잎 즙액을 도포하여 아크릴원통에 넣고 갓 우화한 성충 300마리를 24시간 접종한 결과 알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는 4일간 연속으로 채란 가능하였다. 살란활성 검정은 난괴 크기별로 산란호일을 6~12조각으로 나눈 농도별로 준비된 메탄올 용액에 2~10초간 핀셋으로 침지한 후 음건(15~30분)하여 소형사육통에 넣어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산란호일은 50% 메탄올에 10초간 침지하여도 활성검정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소형 사육통의 뚜껑을 개폐하면 활성물질의 성질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식물체 50종의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배추좀나방 살란활성을 검정한 결과, 고본(Angelica tenuissima) 뿌리, 원지(Polygala tenuifolia) 뿌리, 지골피(Lycium chinense) 뿌리, 천궁(Cnidium officinale) 뿌리 등은 90% 이상의 높은 살란활성을 나타내었다.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의 pyrethroids약제에 대한 감수성 및 전기적 신경 반응 비교 (Toxic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Activities of Pyrethroids between Larvae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and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함선희;안희근;양정오;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7-202
    • /
    • 2009
  • 본 실험은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에 처리방법에 따른 살충 효과를 토대로 신경계를 작용점으로 하는 pyrethroid계 약제를 이용하여 신경반응을 비교해 보았다.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모두 충체분무처리시 세 약제에서 50%이하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엽면침지시 배추좀나방은 50ppm에서 deltamethrin은 100%, fenvalerate는 80%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permethrin은 63.3%로 나타났다. 하지만 파밤나방은 모든 농도에서 control과 비슷한 낮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세 약제가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 신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기생리반응을 통해 신경감수성을 살펴본 결과, 배추좀나방은 deltamethrin은 $10^{-7}M$, fenvalerate는 $10^{-5}M$, permethrin은 $10^{-3}M$에서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파밤나방은 이 세 약제에서 모두 둔감한 반응결과를 얻었다.

유약호르몬 유사체인 피리프록시펜 제제의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면역 억제 효과와 이를 이용한 Bacillus thuringiensis 살충력 제고 기술 (Enhanced Insecticidal Activity of Bacillus thuringiensis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Using an Immunosuppressive Effect of Juvenile Hormone Analogue, Pyriproxyfen, Formulation)

  • 김근섭;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116
    • /
    • 2009
  • 유약호르몬은 변태를 억제하고 성충의 생식작용을 중개하는 곤충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은 또한 탈피호르몬과 길항적으로 면역반응에도 관여하여 혈구세포 활동을 억제시킨다. 본 실험은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세포성 면역반응에 대한 피리프록시펜 제형의 효과와 이를 Bacillus thuringiensis(Bt)와 혼합하였을 때의 살충력 제고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피리프록시펜 제형은 낮은 농도에서도 혈구세포의 활착능력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피리프록시펜 제형을 배추좀나방 대상으로 실내실험에서 Bt와 혼합하여 섭식처리 한 결과 살충력이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실내실험 결과 토대로 피리프록시펜 제형과 Bt 혼합제를 배추좀나방이 서식하고 있는 배추포장에 약제처리 했을 때 Bt 단독처리 보다 살충효과를 높이고 살충시간이 효과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