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betic control statu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1초

제2형 당뇨환자에 대한 영양교육이 당뇨병 관리와 혈액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in Type 2 Diabetes Mellitus on Diabetes Control and Blood Antioxidant Status)

  • 신경남;이혜상;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89-695
    • /
    • 2011
  • 본 연구는 효과적인 당뇨 교육 및 평가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안동시 보건소를 내원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4주간의 당뇨교육을 하고, 교육 전, 교육 후 및 교육 후 3개월에 각각 영양소 섭취, 혈당 관리와 항산화 영양상태 및 DNA 손상 정도를 조사하여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기에 따른 교육 효과를 반복 측정 분산 분석으로 검정한 결과, HbA1c와 총 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장 레티놀(p=0.001)과 토코페롤(p=0.000), 그리고 CAT(p=0.000)와 GPx(p=0.000)의 활성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혈장 과산화지질(TBARS) 농도(p=0.000)와 DNA 손상 정도(p=0.000)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상태에 대한 영양교육의 효과는 에너지의 경우, 교육 전에 EER의 76.4% 수준으로 섭취하였으나 교육 직후와 교육 후 3개월에 각각 83.6%와 90.6%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9). 에너지 섭취의 증가와 함께 인(p=0.033), 나트륨(p=0.001), 칼륨(p=0.019), 아연(p=0.043), 리보플라빈(p=0.050), 엽산(p=0.048) 및 비타민 C(p=0.008)의 섭취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영양소 섭취 상태의 변화와 생화학적 특성 변화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 변화는 공복혈당 및 HbA1c의 변화와 유의성은 없었으나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칼륨(r=-0.418, p<0.05), 철분(r=-0.443, p<0.05), 리보플라빈(r=-0.432, p<0.05) 및 엽산(r=-0.446, p<0.05)의 섭취 상태 개선이 혈액의 과산화지질 감소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r=0.543, p<0.01), 단백질(r=0.545, p<0.01), 인(r=0.425, p<0.05), 철분(r=0.485, p<0.05), 아연(r=0.570, p<0.01) 및 나이아신(r=0.510, p<0.05)의 섭취는 혈장 레티놀과, 엽산섭취(r=0.605, p<0.01)의 변화는 CAT와 각각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처럼 당뇨병에서 식이를 통한 영양소의 섭취 증가는 항산화 상태 개선 및 산화 스트레스 감소와 일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Daraesoon (Actinidia arguta shoot)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mellitus

  • Lee, Ah-Yeon;Kang, Min-Jung;Choe, Eunok;Kim, Jung-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3호
    • /
    • pp.262-267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is the attainment of glycemic control. Hyperglycemia increases oxidative stress which contributes to the progression of diabetic complicat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Daraesoon (Actinidia arguta shoot)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mellitus. MATERIALS/METHODS: Rats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received an oral administration of a starch solution (1 g/kg) either with or without a 70% ethanol extract of Daraesoon (400 mg/kg) or acarbose (40 mg/kg) after an overnight fast and their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s were measured. Five-week-old C57BL/6J mice were fed either a basal or high-fat/high-sucrose (HFHS) diet with or without Daraesoon extract (0.4%) or acarbose (0.04%) for 12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chronic consumption of Daraesoon on fasting hyperglycemia and antioxidant status.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ats that received Daraesoon extract (400 mg/kg) or acarbose (40 mg/kg) exhibi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area under the postprandial glucose response curve after the oral ingestion of starch. Additionally, the long-term consumption of Daraesoon extract or acarbose significantly decreased serum glucose and insulin levels as well as small intestinal maltase activity in HFHS-fed mice. Furthermore, the consumption of Daraesoon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nd increased glutathione levels in the livers of HFHS-fed mice compared to HFHS-fed mice that did not ingest Daraesoon. CONCLUSIONS: Daraesoon effectively suppressed postprandial hyperglycemia via the inhibition of ${\alpha}$-glucosidase in STZ-induced diabetic rats. Chronic consumption of Daraesoon alleviated fasting hyperglycemia and oxidative stress in mice fed a HFHS diet.

보건소 내소 당뇨병 환자의 건강신념, 건강 통제위성격과 환자역할행위 이행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atients Sick-role Behavior Compliance, Health Belief and Health Locus of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Visiting Public Health Center)

  • 강경자;태영숙;손수경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3-113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belief. health locus of control and patients sick-role behavior compliance of diabetic mellitus patients visiting public health center.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3 of the diabetic patients who were visiting 4 Public Health Center in B city. The instrument used for measuring health belief was Park's(1985). for health locus of control was Wallston. et al's(1978) and for sick-role behavior compliance was Park's(1984).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total 58 items contained about health belief. health locus of control and sick-role behavior compliance from 1st to 31st July. 2001.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PC programs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and Scheffe-test. Result: The average score of the health belief was $57.99\pm9.45$ health locus of control was $66.83\pm9.48$ and sick-role behavior compliance was $42.81\pm7.00$.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belief among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family number(F=3.818. p=0.024), monthly income(F=5.153, p=0.002), time of diagnosis(F=3.937. p=0.002) and difficult to control disease(F=5.803. p=0.000).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locus of control were marital status(F=4.669. p=0.010). Also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sick-role behavior compliance were monthly incomes(F=5.245, p=0.000). the time of diagnosis(F=4.424. p=0.001) and admission to hospital with diabetes(F=9.031. p=0.000). There was negative mild correlation comparatively between health belief and sickrole behavior compliance(r=-0.142, p<0.05) but no correlation in sensitiveness/severity, barrier, benefit(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external.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and sick-role behavior compliance (P>0.05). Conclusion: There was a negative weak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patient's sick role behavior compliance. Therefore further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ng factor of the sick role behavior compliance among above of middle aged diabetes mellitus patients is necessary.

  • PDF

당뇨병 환자에서 우식경험영구치지수, 치주질환지수 및 구강위생 상태 (DMFT Index, Periodontal Index and Oral Hygiene Status in Diabetic Patients)

  • 이경동;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62-71
    • /
    • 2005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구강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당뇨병 환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과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여 당뇨병의 적절한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의 일개 보건 진료소에서 당뇨병 환자 및 내당능 장애로 진단되어 관리하고 있는 50명을 환자군으로 먼저 선정하였고 대조군은 환자군의 연령과 성비를 고려하여 같은 지역에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50명을 대상으로 구강 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당뇨병 환자군과 대조군의 평균우식경 험영구치지수(DMFT index)는 각각 $18.10{\pm}8.34$, $14.54{\pm}7.98$로 당뇨병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우식치지수와 충전치지수는 두 군간의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실치지수는 당뇨병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당뇨병 환자군과 대조군의 평균 치주질환지수(PI)는 각각 $3.48{\pm}0.95$, $2.90{\pm}0.93$으로 당뇨병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연령대별로 보면 50대와 60대에서는 당뇨병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p<0.01, p<0.05), 70대에서는 두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구강위생상태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당뇨병 환자군과 대조군의 평균 잔존치아수는 각각 $16.1{\pm}10.35$, $20.04{\pm}8.70$으로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 결과로 볼 때 당뇨병 환자군에서 평균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 상실치지수(MT index), 치주질환지수(PI)가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잔존치아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구강상태를 파악함으로 당뇨병 환자의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우리나라 당뇨병의 역학적 규모와 당뇨병 관리현황 파악을 위한 표본설계의 평가 (An Evaluation of Sampling Design for Estimating an Epidemiologic Volume of Diabetes and for Assessing Present Status of Its Control in Korea)

  • 이지성;김재용;백세현;박이병;이준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2호
    • /
    • pp.135-142
    • /
    • 2009
  • Objectives : An appropriate sampling strategy for estimating an epidemiologic volume of diabetes has been evaluated through a simulation. Methods : We analyzed about 250 million medical insurance claims data submitted to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with diabetes as principal or subsequent diagnoses, more than or equal to once per year, in 2003. The database was re-constructed to a 'patient-hospital profile' that had 3,676,164 cases, and then to a 'patient profile' that consisted of 2,412,082 observations. The patient profile data was then used to test the validity of a proposed sampling frame and methods of sampling to develop diabetic-related epidemiologic indices. Results : Simulation study showed that a use of a stratified two-stage cluster sampling design with a total sample size of 4,000 will provide an estimate of 57.04%(95% prediction range, 49.83 - 64.24%) for a treatment prescription rate of diabetes. The proposed sampling design consists, at first, stratifying the area of the nation into "metropolitan/city/county" and the types of hospital into "tertiary/secondary/primary/clinic" with a proportion of 5:10:10:75. Hospitals were then randomly selected within the strata as a primary sampling unit, followed by a random selection of patients within the hospitals as a secondly sampling uni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 and the parameter value was projected to be less than 0.3%. Conclusions : The sampling scheme proposed will be applied to a subsequent nationwide field survey not only for estimating the epidemiologic volume of diabetes but also for assessing the present status of nationwide diabetes control.

제2형 당뇨 모델 db/db 마우스에서 4개월의 자화수 섭취 후 혈당, 항산화 상태 및 세포 DNA 손상 개선 효과 (Four months of magnetized water supplementation improves glycemic control, antioxidant status, and cellualr DNA damage in db/db mice)

  • 이혜진;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6호
    • /
    • pp.401-410
    • /
    • 2016
  • 자화수는 가격이 비싸지 않고 쉽게 만들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음용수임에도 불구하고 자화수 섭취의 건강상의 유익에 관해서는 과학적인 문헌이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유전적 소인에 의해 제2형 당뇨병이 발현되는 모델인 db/db 마우스 6주령 14마리를 당뇨군과 자화수군으로 나누어 각 7마리씩 배치하고, 이형접합체 마우스 10마리를 대조군으로 하여 총 3군으로 나누어 16주 동안 자화수를 투여하였다. 혈당 강하 효과를 보기 위해 공복혈당, 인슐린 농도, 내당능 검사, 당화 헤모글로빈을 측정 하였고, DNA 손상 감소 효과, 항산화 상태를 알아보았다. 당뇨군과 자화수군의 혈당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당뇨군의 혈당은 자화수 섭취 16주까지 높게 지속되었으나 자화수군의 혈당은 섭취 10주 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중 당화헤모글로빈 함량도 마찬가지로 대조군보다 당뇨군에서 증가하였고 자화수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경구 당부하 검사 결과, 혈당 곡선하면적 (area under the curve, AUC)은 당뇨군과 자화수 투여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뇨쥐의 DNA 손상 정도는 세 가지 지표 (DNA in tail, tail length, tail moment) 모두 자화수군이 당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혈액과 간에서 모두 나타났다. 적혈구 항산화 효소인 SOD, GSH-Px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도는 대조군, 당뇨군, 자화수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혈장 총항산화능인 TRAP 수준도 자화수 섭취로 인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자화수 투여가 db/db mouse를 사용한 제2형 당뇨의 혈당 강하를 포함한 glycemic control에 유리한 개선효과를 보일 뿐 아니라 혈액과 간의 DNA 손상 감소효과까지 보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그 기전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규명하지 못하였으므로 앞으로 자화 수음용 효과를 뒷받침할 더욱 깊고 다양한 기전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 당뇨환자에서 혈당조절에 따른 식사의 질과 당뇨자가관리상태 (Dietary Quality and Self-Management Status according to the Glycemic Control in the Elderly with Type 2 Diabetes)

  • 박수진;우미혜;조여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30-535
    • /
    • 2008
  • Evidence for the effects of different health behaviors, including diet, in elderly diabetes is currently limi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quality of diet and health behaviors in Korean elderly T2DM patients, using a glycemic control. T2DM elders(>65 yr, n=48) were recruited and categorized by the concentration of glycated-hemoglobin HbA1c; subjects with HbA1c<7% were the good control(GC) group, and subjects with $HbA1c{\geq}8%$ constituted the poor control(PC) group. General characteristics, self-management behavior questionnaires, and 3-d diet records were all collected and assess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GC and PC were detected, with the exception of a higher level of education in GC(p<0.05). A twofold longer duration of diabetes was observed in PC as compared to GC(p<0.01). The GC group did exercise for a longer time(p<0.001), and had an earlier beginning of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DSME) by healthcare practitioners using a team teach as compared with the PC group(p<0.05). The total dietary quality index(p<0.001) and individual index for carbohydrate(p<0.001) or vegetables and fruit(p<0.05) were better in GC than in PC. Therefore, the earlier DSME including intensive exercise and balanced diet selection should be expected to improve glycemic control in diabetic Korean elders.

한국산 야생식용물의 혈당강하효과 (Hypoglycemic Effects of Korean Wild Vegetables)

  • Sook Ja Lim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511-517
    • /
    • 1992
  • 한국산 야생식용식물의 형당강화 효과를 보기위해서 일차적으로 5가지 식물(냉이, 닭의장풀, 메꽃, 며느리배꼽 및 참마)을 채집하였다. Strcpotozotocin(45mg/kg)을 미정맥으로 주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킨 130~180g Sprague-Dawley계 흰쥐를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이를 5가지 식물을 adlibitum으로 공급하였다. 식용식물섭취에 따른 각군의 체중변화는 제 3주까지는 점차 증가하다가 냉이군과 메꽃군을 제외하고는 제4주째에 증가추세가 둔화되었다. 식이이용효율은 닭의장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냉이군, 메꽃군, 참마군과 며느리배꼽군에서는 식이이용효율에 차이가 없었다. 닭의장풀군, 참마군과 며느리배꼽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당 감소 경향이 지속적으로 나타났고, 뇨당의 경우에서도 닭의장풀군과 참마군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며느리배꼽군에서도 한마리를 제외하고는 뇨당이 검출되지 않아 당뇨유발쥐에서 혈당강하에 효과가 있는것으로 추정된다. 혈장 중의 cholesterol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며느리배꼽군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야생식용물의 건조시료 중 조섬유의 함량은 며느리배꼽이 24.4%로 가장 높았고, 가장 낮은 것은 참마로 2.5%였다. 생시료중 Vitamin C의 함량은 냉이가 193.73mg으로 가장 높았고 닭의장풀, 며느리배꼽, 메꽃슨이었고 참마가 24.6mg으로 가장 낮았다. Fe의 함량도 냉이가 14.86mg으로 높았고 참마가 가장 낮았다. Cr과 Zn의 함량도 냉이에서 높았고 참마에서 낮았다. 앞으로 야생식용산채류에 대한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대하여 영양학적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함초(Salicornia herbacea)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이 스트렙토조토신-유발 당뇨쥐의 혈당 강하 및 혈청 지질 개선효과 (Effects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mposi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경란;최정화;우미희;김영희;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0-1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STZ-유발 당뇨쥐에서 함초 효소가수분해물의 공급이 혈당 강하 및 혈청 지질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STZ-유발 당뇨쥐 체중증가량은 STZ 투여군 모두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STZ-유발 당뇨쥐에서 혈중 포도당 함량은 DM군에 비해 DM-4군과 DM-8군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으며, 또한 소장의 중간 부분에서 이당류 분해효소 활성을 저해하여 혈당 강하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간조직 손상의 지표를 나타내는 GOT 및 GPT 효소 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함초 가수분해물은 유의적으로 GOT 및 GPT 활성 변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청 중의 중성지질 함량은 당뇨대조군(DM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으나 함초 효소가수분해물 공급군에서 정상군 수준이었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DM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함초 효소가수분해물 공급군에서 정상군 수준이었다.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DM군에 비해 함초 효소가수분해물 공급군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DM-16군에서 정상군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효소처리에 의해 제조된 함초 효소가수분해물의 공급은 STZ-유발 당뇨쥐에서 혈당 강하효과 및 혈청의 총지질,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등의 지질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지질 상태 개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revalence, Awareness, Control,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Korean Cancer Survivors: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Fourth and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 Choi, Kyung-Hyun;Park, Sang Min;Lee, Kiheon;Kim, Kyae Hyung;Park, Joo-Sung;Han, Seong H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685-7692
    • /
    • 2013
  • Backgrou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cancer survivors is an important issue; however, not much is known about the level of management of such chronic disease in Korea. This study therefore assessed the prevalence, awareness, control,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Korean cancer survivors compared to non-cancer survivors. Materials and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employed, wherein data were obtained from standardize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943 cancer survivors and 41,233 non-cancer survivors who participated in the Fourth and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2007-2011). We calculated adjusted proportions for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non-cancer survivors and cancer survivors. We also assessed the associated factors with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cancer survivors. Results: Cancer survivors are more likely than the general population to have higher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However, diabetic management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in cancer survivors than in non-cancer survivors, despite their having a higher prevalence. Several factors, such as, age, drinking, years since cancer diagnosi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specific cancer types were found to affect to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cancer survivors appear to be better than non-cancer survivors at management of hypertension, but not diabetes. There is a need for healthcare provide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ong-term chronic disease management for cancer survivors and for the care model to be shared between primary care physicians and oncolog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