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w sensor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2초

온돌을 이용한 바닥복사냉방의 제습시스템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Dehumidification System for Radiant Floor Cooling Using Ondol)

  • 임재한;여명석;양인호;김광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4권7호
    • /
    • pp.607-616
    • /
    • 2002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control method in the dehumidification-integrated radiant floor cooling system in terms of stability of the room air temperature and the control variables through experiments. To do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ol variables in preventing floor surface condensation is first analyzed and the control method is predetermined through simul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ehumid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floor surface temperature and dew point temperature in the conditioned space. Second, outdoor reset with indoor temperature feedback control is better than on/off bang-bang control with respect to temperature stability in controlling the room air temperature and the possibility of energy savings. Finally, the humidity sensor can be located with the current thermostat in that there are small differences in absolute humidity in vertical distribution.

국지기상 모니터링용 필드서버를 위한 플러딩 라우팅 프로토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Flooding Routing Protocol for Field sever using Weather Monitoring System)

  • 유재호;이승철;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33-240
    • /
    • 2011
  • 산악지역이나 어떤 한정된 지역에서 급작하게 나타나는 기상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필드서버를 개발하였다. 국지적 기상변화에 의한 인명 및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지역내에 배치된 필드서버간의 데이터 전달이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일정한 국지적 지역에 배치 된 필드서버들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되는 온도, 습도, 조도, 기압, 이슬점, 수위의 기상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플러딩 라우팅 프로토콜 전송방식을 구현하였으며, 이를 제작 된 외부센서모듈과 Telosb 계열의 센서노드에 nesC 언어를 사용한 초소형 무선센서네트워크 플랫폼인 TinyOS로 프로그램 하여서 서버 컴퓨터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지기상 모니터링을 위한 WSN 기반 필드서버 제작 (Design of WSN based Field Server for Local Weather Monitoring)

  • 안성모;김재경;유재호;정상중;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93-500
    • /
    • 2011
  • 최근 갑작스러운 국지성 기후변화나 기상악화로 인해 다양한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해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난피해의 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국지적지역에서의 돌발적인 기후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기존의 광역 기상예보시스템에 의해서는 어려움과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소규모 센서네트워크를 활용한 국지적 기상 모니터링에 관한 방법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4 기반의 신뢰성 있는 기상데이터의 계측과 모니터링을 위한 기상 필드서버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된 기상 필드서버는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센서노드와 온도, 습도, 조도, 이슬점, 기압, 수위 등의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기상센서보드로 구성되며, 이를 통합한 필드서버를 구축하여 국지적 기상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서버 PC에서는 각각의 기상관련 정보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국지적 지형이나 지역에서 갑작스러운 기후변화를 감지하고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여 국지성 재해로부터 피해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플러딩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한 연안.해양 환경모니터링 시스템 (Coastal and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ing Flooding Routing Protocol)

  • 유재호;이승철;김종진;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0-183
    • /
    • 2011
  • 최근 환경문제가 급격히 악화되고, 지구 환경의 보존이 중요한 이슈로 거론되면서 환경보호 정책과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환경오염의 대상은 수질, 대기 등이 있으며, 대상 오염의 예방을 위한 오염원 절감 및 시스템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온도, 습도, 조도, 기압, 이슬점 등의 대기환경 정보와 용존산소량, 수소이온지수, 수온 등의 수질환경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이동성이 고려된 필드서버를 제작하여 연안 해양지역에 배치함으로서 일정 시간동안 변화하는 대기 상황을 판단하고 더불어 수질의 상태변화를 측정 및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무선센서네트워크 내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측정된 대기 및 수질 환경정보를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의 플러딩 라우팅 프로토콜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고안하였다.

  • PDF

포스포늄 염을 포함한 폴리스티렌 공중합체의 감습 성질 (Humidity Sensitive Properties of Copolymers of Polystyrene Contains Phosphonium Salts)

  • Paek, Jee-Seon;Gong, Myoung-Seon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715-722
    • /
    • 1995
  • Vlnylbenzyl triphenyl phosphonim chloride (VTPC) 단량체를 감습막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합성하였다. 감습막 성분은 서로 다른 조성의 VTPC와 스티렌의 공중합체(VTPC : ST=1 : 0, 7 : 3, 1 : 1, 3 : 7)들이며 감습막의 상대 습도 변화에 대한 전기적 성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임퍼던스는 감습막중 VTPC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또한 전극위에 도포한 감습막의 두께가 증가하면 임퍼던스 역시 감소하였다. 감습막중 VTPC와 ST의 성분비가 1대 1인 감습막의 임피던스는 상대습도 70~90%RH 범위에서 12M$\Omega$에서 100K$\Omega$ 사이에서 변하였으며 고습이나 결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서 응용이 가능하였다. 15$^{\circ}C$~35$^{\circ}C$범위에서의 은도 의존상수는 -0.5%RH/$^{\circ}C$이었으며 히스테리시스는 $\pm$2%RH의 범위 안에서 나타났다. 응답속도는 상대습도가 75%RH에서 95RH%까지 또는 역으로 변화할 때 40초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