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al disabilities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7초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Using Robo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 Kim, Jeong-R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209-216
    • /
    • 2019
  • 소프트웨어 교육이 가지는 교육적 효과와 사회적 변화로 미루어 볼 때 일반 학생, 장애 학생 구분 없이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평등한 기회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연구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나,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달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 활용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발달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 활용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모두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기회 확대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과제 집중력이 낮고 단기 기억력이 부족하며 사회성이 다소 떨어지는 특성을 가진 발달 장애 학생들에게 로봇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은 교구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동기 유발이 용이하며, 발달 장애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개선 및 자기 관리 능력 신장 뿐 아니라 자아 효능감, 자신감 등 정의적인 부분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 것이다.

발달장애 성인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가족탄력성,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The caregiving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and coping styles)

  • 이원남;김경신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5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valuate the overall process that the caregiving stress of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levels of family resilience, and coping styles on the basis of stress-coping-adaptation model of Lazarus and Folkman(1984). Method: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by 394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data was analysed by AMOS 20.0 version. Result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various paths that parents' caregiving stress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The model's goodness-of-fit was fine($x^2=225.20$, df=95, p=000. RMSEA=.06, TLI=.95).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ing stress and family resilience(${\beta}=-.36$, p<.001), emotion-focused coping style(${\beta}=.47$, p<.001), life satisfaction(${\beta}=-.53$, p<.001). Second, family resilience and emotion-focused coping showe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ing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strategies for enhancing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ervices for applying effective coping methods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diminish the caregiving stress of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예측 모형 (A Predictive Model of Resilience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조유영;김현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07-420
    • /
    • 2022
  • Purpose: This structural model study was constructed and verified a hypothetical model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social resources, family resources, and positive coping on resilience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October 19 to October 30, 2018, with 214 mothers car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der the age of 20 years. Results: In the fitness test results of the hypothesis model, with the fit index 𝛘2 (p) = 69.27 (< .001), and the normed fit indices (𝛘2 = 1.87, GFI = .94, CFI = .97, NFI = .93, and TLI = .95, RMSEA = .06, SRMR = .06), this study satisfies the good fitness in standards. There are seven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s among the 10 paths set in the hypothetical model. The explanatory power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which affects the family resources was 41.4%, the explanatory power of parenting stress, social resources, and family resources affecting the positive coping was 58.9%,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parenting stress, social resources, family resources, and positive coping affecting resilience was 55.5%. Conclusion: Positive coping, family resources, and social resourc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rectly affect their resilience, and parenting stress indirectly affects it. Therefore,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nursing intervention that considers parenting stress, social resources, family resources, and positive coping.

발달장애인 부모의 대리 의사표시의 정합도와 편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reement and Bias between Parents' Proxy report and Self-repor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전동일;전지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01-20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부모가 발달장애인의 의사를 잘 대리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 자료는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발달장애인 본인이 응답한 내용과 발달장애인을 대신하여 부모가 응답대리한 항목의 값의 일치도를 통해 부모 대리응답자의 의사표시의 정합성과 편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 대리응답자는 발달장애인에 대해 삶의 만족도와 같은 실태에 대해 잘 응답대리하고 있으나 비용 항목은 심하게 과대 계상하는 긍정편향을, 차별 인식은 부정 편향 대리가 나타났다. 둘째, 자립과 관련되어 다수의 발달장애인 부모 대리응답자는 발달장애인 본인과 의사표시 정합성이 높았다. 다만, 약 5~10% 정도의 부모 대리응답자가 발달장애인과 의견과 달리 시설 형태의 비일반주택을 선호하여 자립정책을 왜곡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향후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욕구 및 자립의향 연구조사시 가능한 당사자의 응답을 받을 수 있어야 함을 제안하였고, 대리응답의 정합도 연구가 다차원적으로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Effects of Online Home Learning in Connection wi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t University on Cafeterias Cooking Assistance Skills of Job Search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im, Young-Jun;Park, Jae-Kook;Kwon, Rya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88-20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online home learning in connection wi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university on the cooking aids skills of cafeterias for the job search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ee people with job searc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ve been in a state of unemployment for three years after graduating from a special high school cours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In order to verify the meaningful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one of the main techniques of a single object study, was used.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design consisted of the steps of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the restaurant cooking aid skills in the cafeteria, and three subskills such as side dish arrangement, sink arrangement, and dish washing were combined by task analysi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procedures and methods to teach the environment, tools and materials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dependent variables to the developmental disabled people at home by using real-time image technique through zoom service, and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by stages of task analysis. In addition, independent variables were applied to the subjects in the course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with the theme and content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at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the above extracurricular activities practiced the intervention scene of the researcher through the screen sharing of zoom service. As a result, the subjec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ffectively acquired and maintained the positive response performance of dependent variables through independent variables. The subjects also showed high positive responses to generalization tests conducted in kitchens in cafeterias located elsewhere in the same university.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정서발달 및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animal-assisted therapy program o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이윤주;김옥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11-18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에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사회·정서발달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관하여 동물을 매개로 한 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아동으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측정 항목별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발달장애 아동은 비참여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사회정서 발달의 전체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z=-2.20, p<.05)를 보였으며, 하위요인으로는 교사에서의 비의존성, 또래와의 상호작용, 성취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을 나타냈다. 둘째,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발달장애아동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효과(z=-2.20, p<.05)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정서발달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아동들의 건강한 삶을 위한 사회·정서발달과 학습관련사회적 기술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욱 구체화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Parent-Implemented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Challeng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Review of Effective Approaches

  • Park, Ju 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4권2호
    • /
    • pp.25-40
    • /
    • 2013
  • Addressing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s an important issue.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literature on parent-implemented behavioral interventions designed to manage the challenging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der 8 years of age. Seventeen relevant studies published in peer-reviewed English journals during the last 15 years were selected for review. The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adequately trained parents can serve as a competent intervention agent, thereby making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mitigati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reviewed studies also demonstrated that parents could play a variety of important roles such as informants and trainers in behavioral interventions. However, the conclusions on parent-implemented behavioral intervention may be tentative rather than conclusive due to previous research limitations including the lack of treatment integrity and social validity data. In addition, this review discussed severa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indicated the limitations of the reviewed studies, and present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감소를 위한 집단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장애인 주간보호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To Reduc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oup Play Therapy Case Study-Focusing on the Daytime Protection Center Users with Disabilities)

  • 신준옥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76-184
    • /
    • 2020
  • 본 연구는 집단놀이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장애인 단기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아동 5명이다. 연구기간은 2018.1. 2. - 2. 28. 까지 겨울방학을 활용하여 매주 2회 4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문제행동 진단척도(K-CBCL)로 매 회기마다 행동변화를 질적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별 과정에서 장애아동들은 공격성, 위축, 우울, 불안 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활동적이 모습이 증가하였다. 둘째, 집단놀이치료 개입 후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외현화 문제보다 내재화 문제에서 더 많은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놀이치료는 장애아동의 개별적인 특성에 따라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의미가 있으므로 실천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발달장애 아동의 허약 증상에 관한 연구 (The Correlation Study between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Weak Symptoms)

  • 정선경;유선애;이승연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34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oriental medicine using diagnostic procedure based on the symptoms of weak children. Methods The questionnaire administrated to 42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in ${\bigcirc}{\bigcirc}$ Hospital's physical therapy room, and 90 general children in day care center. Results 1. The mean value of every organ's weak score was higher in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group than that of general children group. 2. Regardles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biggest portion among all children was lung weak children. 3. The percentage of the weak children was 38.1% in developmental disability group and 20% in general children group. 4. Heart, spleen, kidney weak children were significantly more in developmental disability group than in general children group. Conclusions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s weak symptom scores were higher than general children. Also,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were more prone to weaker heart, spleen, kidney than general children.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ception of Group Hom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orker on Sexually Problematic Behavior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임해영;홍영준;전주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75-586
    • /
    • 2019
  •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 6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관한 이들의 인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여, 장애인복지실천 현장에 필요한 유용한 논의점을 제시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과 성인식 2가지 본질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고, 성문제 행동은 '성적 욕구를 과도하게 표출하는 존재', '성범죄로 연결될 수 있는 부적절한 성행동' 2개의 하위주제로, 성인식에서는 발달장애인 성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방안의 부재', '성적 매력을 갖기에는 불리한 조건', '좌절된 성', '딜레마의 문제',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는 성', '연애와 성관계는 OK, 임신과 결혼은 NO' 라는 6개의 하위 주제로 총 8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은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이 없다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발달장애인의 성규범을 강화하고 재생산해내는 주요 주체로서의 역할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발달장애인의 성규범과 관련하여 가치관 혼란도 함께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성에 대한 종사자들의 고정관념적 시각에 관해 되짚어보고, 그들의 성을 바라보는 시각에 관하여 담론형성의 장과 발달장애들의 성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관한 보다 실효성 있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