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ing countries

검색결과 2,283건 처리시간 0.027초

Divergence of knowledge production strategies for emerging technologies between late industrialized countries: Focusing on quantum technology

  • Kang, Inje;Choung, Jae-Yong;Kang, Dong-in;Park, Inyong
    • ETRI Journal
    • /
    • 제43권2호
    • /
    • pp.246-259
    • /
    • 2021
  • Traditional wisdom on how late industrialized countries follow the technology trajectories of preceding economies is in need of reformation as these countries have attained industrial leadership in a growing number of fields. However, current understandings about these countries' development of their emerging technologies have yet to investigate the divergence of idiosyncratic technology trajectories.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how their knowledge production strategies in emerging technology sectors are diverging.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s of knowledge production in quantum technology in South Korea and China by developing a knowledge portfolio and knowledge strategic diagram. According to the knowledge portfolio, the relative literature position differs. In the knowledge strategic diagram, there are diverging patterns in the emerging keywords sector.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e diverging strategies of late industrialized countries in their transition from catch-up to post-catch-up paradigms and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countries developing an idiosyncratic trajectory in emerging technology sectors.

세계 주요국의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경제와 환경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시사점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the Voluntary GHG Reduction Targets of Major Countries)

  • 임재규
    • 환경정책연구
    • /
    • 제9권3호
    • /
    • pp.115-142
    • /
    • 2010
  • 최근까지 선진국 및 주요 개도국이 발표한 2020년까지의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Global CGE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선진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약 14.0% 감축하는 데 그칠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선진국의 선도적 역할과 역사적 책임이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Post-Kyoto 협상의 타결을 위해 선진국의 자발적 감축목표의 상향조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편 개도국의 자발적 감축목표 이행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BaU 대비 약 15.9%까지 감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중국과 인도의 참여가 크게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Post-Kyoto 체제의 환경적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선진국의 감축목표 강화와 더불어 개도국의 광범위한 참여와 의미 있는 수준에서의 온실가스 감축행동도 동시에 필요함을 시사한다. 한편 선진국과 주요 개도국의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이행은 전 세계 실질 국내총생산을 1.18% 감소시킬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Mendeley co-readership 정보를 활용한 한국 관련 논문의 글로벌 독자 국가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of Readers' Countries of Korean Studies using Mendeley Co-readership Data)

  • 조재인;박종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7-124
    • /
    • 2018
  • Mendeley의 독자 정보는 학계 밖에서 학문의 결과물이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지 다각도로 파악하여 피인용도로는 해석할 수 없었던 미지의 세계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Mendeley의 co-readership 데이터를 활용해 한국 관련 논문의 독자 국가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공통의 학문적 관심사를 공유하는 국가 군집을 이해하고 이들 국가가 네트워크 상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전 분야에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대체로 높은 전역중심성을 보여 한국 관련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협력과 잠재적 교류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개발도상국은 높은 지역중심성을 보여 상호간 공통의 학문적 관심사로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의학과 사회과학 분야는 OECD 국가와 개발도상국이 분리된 독자층을 이루었으며, 공학 분야는 신흥경제개발국이 대규모 독자 군집으로 형성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공학은 네트워크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국가간 학문적 교류와 지식의 확산, 협력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발도상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결정요인 분석 : 아시아·아프리카·남미 비교 (Determinants of FDI in Developing Countries : comparative analysis of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 나른츠;최창환
    • 무역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19
    • /
    • 2016
  •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인 65개국을 대륙별, 소득별로 구분하여 어떤 요인이 FDI를 유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3~2013년 기간의 패널자료를 가지고 GDP, Trade, ODA, 부가가치(Industrial value added), 사회기반시설(INFRA), 노동 가능한 인구(Labor), 인플레이션(Inflation)등의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성장률은 저소득보다 중간소득 국가와 아시아 대륙에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교역량은 저소득 국가보다 중간소득 국가와 아프리카 대륙에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ODA은 소득별 및 대륙별 구분 없이 FDI유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업부가가치율은 저소득보다 중간소득 국가와 아프리카 대륙의 FDI유입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노동 가능한 인구는 중간 소득보다 저소득 국가와 아프리카 대륙의 FDI 유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기반시설은 저소득국가보다 중간 소득국가와 아시아 및 아프리카 대륙의 FDI유입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플레이션률은 소득별 및 대륙별 구분 없이 FDI유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세계 주요 의류수출국의 의류수출 패턴 (The Pattern of Clothing Export in Leading Countries)

  • 지혜경;이은영
    • 복식
    • /
    • 제56권3호
    • /
    • pp.81-90
    • /
    • 2006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review trends of clothing export in important countries of the world and thus to know the present stage of clothing export in Korea. For the purpose, changes of export amount, competitiveness and product life cycle were analysed in the countries from the 1960's to the 1990'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on the aspect of export amount, industrialized countries lost the lead to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from the 1960's. Developing countries, as China, win the lead. Second, on the competitiveness aspect, industrialized countries lost competitiveness to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before the 1960's. And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were outpaced by China in the export competitiveness from the early 1990's. Third, on the aspect of product life cycle, industrialized countries go first through each period of product life cycle, introduction, growth, maturity and decline, and they all, excluding Japan, sustained period of Maturity for a long tim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go orderly through each period of product life cycle after industrialized countries. As to Korea, duration of each period was short. Specially characteristics of decline period appeared partly in the early 1990's. From the results, the theory of product life cycle, helping to explain changes in production and trade in new product lines, estimated to applicable to clothing export. The phenomena, Italy, Hong Kong and America sustain high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clothing market for a long time, is needed to be studied carefully. The study about strong points in their clothing industries and competitiveness drive program be to influence Korean export policy in the future.

기술혁신역량의 개도국 전수를 위한 전략 연구: KIST사례를 중심으로 (Transferring Innovation Capacities to Developing Countries: A KIST-based Strategy)

  • 이창근;김종주;정선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09-731
    • /
    • 2017
  • 흡수역량(absorptive capacity)에 관한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선 후진국 간의 빈부격차는 심화되고 있으며, 일부 성공사례를 제외하면 개발도상국의 기술혁신 역량의 향상은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KIST 설립 사례를 분석하여 개발도상국 측의 흡수역량과 더불어 선진국 측의 새로운 역량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이를 '공유역량(transplanting capacity)'이라 명명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흡수역량의 핵심요소, 즉 사전지식의 정도 및 노력의 강도에 대비되는 공유역량의 핵심요소로서 개발경험의 성문화(codification), 현지화(localization), 그리고 의지(committment)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지구 온난화 및 감염성 질병 등 글로벌 이슈에 공동대처, IT기술의 발달 및 신생기술의 출현에 의한 개도국의 혁신 가능성 확대, 개도국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공유역량의 확보가 개도국지원 차원뿐만 아니라 선진국 자신을 위해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역량임을 보여준다.

E-government Skills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Toward a Staged-Based User-Centric Approach for Developing Countries

  • Khan, Gohar Feroz;Moon, Jung-Hoon;Rhee, Cheul;Rho, Jae-Je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0권1호
    • /
    • pp.1-31
    • /
    • 2010
  • One of the prominent challenges of e-government identified in developing countries is low level of ICT literacy and skills of e-government users. For those countries at the nascent stage of e-government development, it is crucial to identify and provide e-skills needed from the demand side. However, prior research has mostly focused on the supply side of e-skills, ignoring the consumption side of e-skills. In addition, no user centric approach for e-skills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for e-service consumption, with respect to the stages of e-government development, have been proposed and validat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hus to: 1) Identify skills required for e-services utilization by all participants-citizens,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involved in G2C, G2B, and G2E e-government relationships respectively; assuming they are consumers of e-government and to 2) Propose and validate an user-centric approach for e-skills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based on stages of e-government utilizing the Delphi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a comprehensive list of e-skills (N = 81) was generated. We found that e-skills required for e-service consumption are not merely technical; they include a wide variety of related skills that can be applied to enhancing e-skills. Therefore, the findings can serve as a standard curriculum for training and educating both citizens and government employees in developing countries. Moreover,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may also facilitat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indentifying and measuring citizens' readiness for e-government in terms of e-skills.

글로벌 가치사슬에서의 부가가치 획득 영향요인 연구: 개발도상국가를 대상으로 (A Research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Value-Added Acquisition in the Global Value Chain in Developing Countries)

  • 구지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3-218
    • /
    • 2022
  • 현대 세계 경제 체제의 주요 특징인 글로벌 가치사슬은 주로 선진국에 의해 주도되어왔고 개발도상국은 상대적으로 저부가가치 활동을 담당함에 따라 가치분배의 지리적 불균형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분배의 불균형은 점차 완화되기 시작하였는데, 이와 같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다양한 영향요인 중 글로벌 가치사슬에서의 산업 업그레이딩 방식에 초점을 맞춰 개발도상국의 부가가치 획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OECD 부가가치 기준 교역자료(TiVA)의 전산업, 식료품·담배산업, 섬유·의류 산업, 컴퓨터·전자산업,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산업의 경우 개발도상국의 부가가치 획득은 총생산량을 증가시키고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며 전방참여도를 높일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부 산업별 분석결과는 산업별 특성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개발도상국 투자에서 MIGA의 분쟁해결제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ispute Resolution of MIGA in the Investment Guarantee for Developing Countries)

  • 유병욱
    • 무역상무연구
    • /
    • 제60권
    • /
    • pp.79-106
    • /
    • 2013
  • The world is significant increasing investment volume into developing countries from foreign investors. Foreign financial capital is searching in interesting place among the emerging market. However foreign investors put still their experience in the economical and social crisis with political risks in the host countries. MIGA entered into the political risks insurance market which has one of the basic matter of sponsored the private investment guarantee programs. They put guarantee or covering risks of currency inconvertibility, expropriation, breach of contract and political violence. In the case contracts of guarantee concluded between investor and MIGA which are disputes in relation to such MIGA service contract, it should be settled by negotiation, conciliation and arbitration under the convention establishing the Multilateral Investment Guarantee Agency(MIGA). All disputes within the scope to states and investor of MIGA members shall be settl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set out in the convention. Recently, MIGA is opening the office in Seoul to strengthen joint efforts between MIGA and Korea. It will be a good chance to consider sustainable improvement and dispute solutions for emerging countries in foreign investment to the korean investors.

  • PDF

과학기술연구자(科學技術硏究者)의 생산성영향요인(生産性影響要因)에 관한 분석(分析)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Productivity of Researchers in the Area of Science and Technology)

  • 장경;이진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22
    • /
    • 1980
  • The performance of scientific researchers has been studied from a number of different aspects, mostly in developed countries. This paper attempted to identify salient factors influencing scientific performance at individual level in a developing country. A model describing the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of scientific researchers was developed. Four hypotheses were derived from the model; i) the degree of diversity of a researcher will affect the degree of his scientific performance, ii) the degree of dedication will affect the degree of his performance, iii) the degree of research pressure will affect the degree of his performance, and iv)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ll affect the degree of his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responded by 48 researchers from two research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upported the hypotheses in part. Specifically, diversity measured by the number of research areas was related to the productivity of research reports (p<0.05); research pressure influenced the average number of research papers (p<0.05).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of the satisfaction showed mixed directions according to the indicators. Even though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did not support the hypotheses unanimously, probably due to the limitation of sample size, most of the descriptiv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irection of hypotheses in developed countries seemed to be similar in developing country too. However, more research efforts are needed to verify the research findings of developed countries in developing count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