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ritus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4초

서해 곰소만에서 바지락 소화관 내용물의 변동 특성 (Phytoplankton variability in digestive tract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 김형섭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5-174
    • /
    • 2016
  • 바지락의 섭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서해의 곰소만에서 바지락의 소화관 내용물과 표층 해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대해 정량 및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바지락의 소화관에는 규조류 (71.5%), 와편모류 (13.1%), 미소플랑크톤 (6.6%) 과 중형동물플랑크톤을 포함한 유기쇄설물 등이 관찰되었다. 소화관내에서 섭식량은 겨울과 봄에 많았고 여름과 가을에 낮게 나타난 반면, 표층 해수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가을에 가장 많았다. 또한 바지락의 크기가 클수록 섭식한 먹이생물의 양은 증가하였다. 소화관에서 관찰된 우점종은 저서성 규조류인 Paralia sulcata 및 Navicula arenaria와 와편모류의 cyst 이었던 반면 표층해수에서 우점종은 부유성 규조류인 Chaetoceros 속, Skeletonema 속, Asterionellopsis 속 등과 cryptomonads 및 P. sulcata이었다. 소화관 내용물 분석을 통해 바지락의 주요 먹이원은 저서성 규조류이며, 식물플랑크톤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섭식함을 확인하였다.

소형장치에 의한 잉어의 성장실험 (REARING EXPERIMENT OF COMMON CARP IN SMALL AQUARIUM)

  • 김인배;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5-279
    • /
    • 1977
  • 전성장실험기간을 통하여 잉어의 먹이 섭취와 성장 및 사료효율은 스트레이너의 지소회수, 오탁된 사육수의 교환정도, 먹이의 분할공급의 회수, 적량내의 먹이 공급 및 용존산소량에 직접적이고 직각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소나, 물 교환을 위한 취급에는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특히 해로운 점은 식욕이 왕성하지 못할 때 먹이를 주는 일과 일시에 과량의 먹이는 주는 것이었다. 특히 직각적으로 삼킬 수 있는 량을 주면 물에 녹아나는 것이 거의 없고, 먹이를 준 후에도 물이 투명하지만, 그 이상의 먹이를 주면 식욕이 왕성할 때는 입속에 여분의 먹이를 머금고 삼킬 노력을 함으로써 녹아서 물에 흩어져 나오는 량이 많고, 먹이를 준 후 물이 혼탁해 진다. 그리하여, 여과조를 포함한 사육수질을 악화시키고, 성장이 불량해지고, 또 사료의 효율을 심하게 저하시킨다.

  • PDF

부산 동백점 연안에 서식하는 노래미 Agrammus agrammus의 먹이생물 (Diets of the Rock Trout, Agrammus agrammus, in the Shore Area of Tongbaeksom, Pusan)

  • 김종관;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11-422
    • /
    • 1986
  • 부산해운대 동백섬 연안천해에 분포하는 노래미 개체군의 식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래미의 위내용물을 분석하고 환경생물을 조사했다. 노래미의 주된 먹이 생물은 amphipoda 및 isopoda에 속하는 갑각류였다. 특히, Gammaridae는 모든 계절에서 어느 연령군의 노래미의 위내용물로부터 우점적으로 출현했다. Caprella sp.는 산란직전의 $8{\sim}9$월에 많이 나타났다. Synidotea laevidorsalis는 위내용물에서 개체수로서는 조성비가 낮았지만, 용적으로서는 Gammaridae 다음으로 조성비가 높았다. 저연령어는 크기가 작은 Gammaridae, Caprella sp., Dynamene sp.를 많이 먹었으며, 고연령어는 크기가 큰 S. laevidorsalis, Polychaeta, Reptantia를 많이 먹었다. 노래미 암수 간의 먹이 생물 차는 없었다. 연중 적극적(positive)으로 선택섭식된 먹이 생물은 Caprella sp.였다. Gammaridae는 봄과 가을(10,11월)에는 적극적으로 섭식되었으나, 여름과 9월에는 소극적(negative)으로 섭식되었다. 먹이 생물의 섭식량은 고연령군일수록 많았다. 노래미가 성장할수록 섭식하는 먹이 생물의 종류는 다양했다. 소형의 먹이 생물은 노래미의 어느 연령군의 위내용물에서도 고루 출현하였다. 한편 대형의 먹이 생물의 경우에는 노래미의 나이가 많을수록 위내용물에서 출현하는 크기가 증가했다.

  • PDF

연안 조간대에 표착된 기름이 입자상 물질의 토양침투에 미치는 영향의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Stranded Oil on the Penetration of Particulate Matters in Tidal Flat)

  • 정정조;이영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030-103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파도에너지가 비교적 작은 폐쇄성수역의 사질 조간대를 대상으로 하여 입자상 물질의 토양 침투거동을 파악하고, 유출된 기름의 조간대 사면표착이 입자상 물질의 토양침투 차단 여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모의 조간대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폐쇄성 수역과 같은 파도에너지가 작은 조간대에서는 쇄파대에서 붕괴된 파도에 의해서 입자상물질이 orbital 운동을 하면서 반원형태의 침투거동 (semi-circular penetration behavior)을 보였다. 또한 사면의 구배와 쇄파파고의 증가에 따라서 입자상물질의 침투속도도 증가하였다. 조석에 의해서는 토양중 해수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45^{\circ}$ 각도를 이루며 토양중으로 침투하였다. 유출된 기름이 토양사면에 표착됨으로 인해 형성된 점착성의 유막은 입자상 물질의 토양침투를 차단하였으며, 이로인해 해수중의 식물성 플랑크톤, 세균, 유기쇄설물과 같은 입자상물질의 침투를 방해하여 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생물의 먹이 공급을 감소시켜 연안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된다.

인공 수초재배섬에서 세균의 활성과 세균 군집 구조 (The Activity and Structure of Bacterial Community within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AVI))

  • 전남희;박혜경;변명섭;최명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76-682
    • /
    • 2007
  • The bacterial number,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and structure of bacterial community which are major constituent of aquatic ecosystem within the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AVI)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nearby pelagic lake waters in order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the AVI as a eco-technological measur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restoration of littoral zone in man-made reservoir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but the number of active (viable) bacteria within the AVI was about 0.7 to 4.1 times higher than nearby pelagic lake water. The ratio of the number of active bacteria versus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was also higher in the AVI than nearby pelagic lake water. The activities of ${\beta}$-glucosidase and phosphatase were 1.0 to 13.1 and 0.8 to 7.3 times higher respectively in the AVI than nearby pelagic lake water, showing that microorganisms were more active within the AVI. The bacterial communities of the two waters, examined by FISH method, did not indicate a clear difference in the springtime when the growth of macrophytes was immature, but during summer and fall it showed a clear difference indicating the formation of distinct bacterial community within the AVI compared to nearby lake water.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clude that AVI can contribute to make up the littoral ecosystem which show rapid cycling of matters through active detritus food chain in the dam reservoirs which have unstable aquatic ecosystem due to short hydraulic residence time and to strengthen the self-purification capacity of the lake.

쏙의 생물학 - 최근 서해안 바지락 양식장에 이상 증식한 쏙의 제거 대책을 중심으로 - (Biology of the Mud Shrimp Upogebia major (de Haan, 1841),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est Management for Shrimp Control in Manila Clam Bed in the West Coast of Korea)

  • 홍재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323-349
    • /
    • 2013
  • The mud shrimp Upogebia major (Upogebiidae: Decapoda: Crustacea) is a common species on muddy and sandy mud tidal flats in the west coast of Korea. They reside in Y-shaped burrows that can extend up to more than 2 meters below the sediment surface. They feed on suspended detritus carried into their burrow by the beating of their pleopods and captured by their hairy first two pairs of thoracic legs. Mud shrimp burrows provide a habitat for a variety of small organisms such as crabs, shrimps, polychaetes, and mollusks. Ovigerous females are observed from December to May. Females deposit eggs only once per breeding season. They start hatching in March and the pelagic larvae of first zoea appear in March and April, followed by benthic settlement in May. Growth over the first year is rapid, and females deposit their first eggs in the third breeding season, 31 months after their settlement. Adult shrimps live for 4~5 years. Depth of the burrow increases with body length. The deep burrows provide refuge from predators and physical stress, allowing the shrimps to survive for a long time. The mud shrimps supply oxygen-rich water to their deep burrows, and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 structure and metabolism of the tidal flat benthic community. However, recently this type of mud shrimp has posed a serious threat to the Korean clam industry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The extensive burrowing shrimp populations suddenly invaded the tidal flats from 2010 where the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are raised. As a consequence, clam production has decreased by about 10% over the past three years in some Korean clam bed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iology of this mud shrimp in order to seek solutions to control the burrowing of these shrimps.

Isotopic Determination of Terrestrial Food Sources for a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PRIME in an Estuarine System of Youngil Bay, Korea

  • Lee, Won-Chan;Park, Jin-Il;Choi, Woo-Jeung;Kim, Young-Seop;Lee, Pil-Yong;Kang, Cha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5권1호
    • /
    • pp.56-64
    • /
    • 2000
  • The importance of terrestrial organic matter as a food source for a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was evaluated using stable carbon isotope ratios (${\delta}^{13}$C) in its tissues and potential food resources in an estuarine system of Youngil Bay, Korea. Suspended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 had distinct ${\delta}^{13}$C values from riverine (-31.8 to -27.2%$_o$) to marine waters (-21.0 to -16.6%$_o$). Estuarine macroalgae had a wide ${\delta}^{13}$C range of -22.8 to -15.0%$_o$. The ${\delta}^{13}$C values of riverine POM were more negative than that of riverine phytoplankton (-26.5 to -24.2%$_o$) but similar to that of freshmarsh plant species (-29.1 to -27.5%$_o$ for Phragmites communis and -28.5 to -27.0%$_o$ for Salix gracilistyla), These ${\delta}^{13}$C values suggest that the POM transported by the Hyungsan River is predominantly of terrestrial origin rather than riverine autochthonous sources. The ${\delta}^{13}$C values of Corbicula japonica tissues (-28.7 to -27.2%$_o$) were most similar to values for riverine POM and freshmarsh pla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sotopic composition of the clam individuals. The results indicate a predominant contribution of organic carbon derived from terrestrial and fresmarsh plant detritus to the diet of Corbicula japonica. Our results also confirm previous suggestion that terrestrial organic matter can be incorporated into estuarine food webs although its role is confined to the upper estuarine reaches.

  • PDF

무지개송어와 산천어의 백점충에 대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nd cherry salmon Oncorhynchus masou against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 김이청;김진도;지보영;정승희;서정수;박성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3-200
    • /
    • 2009
  • 무지개송어와 산천어에 있어서 백점충의 자연 감염 및 수온별, 어종 유래별 인위 감염에 의한 폐사율을 비교하였다. 백점병은 수온이 낮은 시기에는 산천어가 무지개송어에 비해 잘 감염되었으나, 수온이 높은 시기에는 두 어종간의 차이가 없었다. 백점충의 밀도가 높았던 5월을 제외하고는 양어지의 사육수, 찌꺼기에서 백점충이 검출이 되지 않았다. 수온 10℃에서는 무지개송어에 비해 산천어가 백점충에 대한 감수성이 높았으나, 수온 17${^{\circ}C}$에 서는 폐사에 있어 별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무지개송어보다 산천어가 저수온에서 백점충에 대한 감수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西海 京畿 植物플랑크톤에 對한 생態學的 硏究 II. 光度, 透明度, 浮游物質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l. Light intensity, Transparency, Suspended substances)

  • 최중기;심재형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1-109
    • /
    • 1986
  • 경기만 식물플랑크톤 생태에 영향을 미치는 광조건을 알기 위하여 광도, 보상 깊이, 소광계수, 투명도, 부유물질등이 조사 연구되었다. 봄부터 가을까지는 식물플 랑크톤성장에 적절한 광도를 유지하였으나 가을에는 플랑크톤 성장을 제한할 정도 의 낮은 광도를 보였다. 투명도 및 보상깊이도 계절적인 변화를 보여 동계에는 표 층하 1-2m내에 국한되었다. 소광계수는 만 전체에 전반적으로 높은 양상을 보이고 뚜렷한 계절변화를 보였다. 이와같은 낮은 광도, 낮은 보상깊이, 투명도, 높은 소광 계수는 경기만 내 특징인 높은 탁도와 높은 부유물질 농도에 기인된다. 특히 겨울 철의 나쁜 광조건은 조류와 북서계절풍에 의한 심한 수괴의 혼합으로 미세 퇴적물 의 재 부유 현상에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 PDF

동해 대륙붕에 분포하는 주요 다모류의 서식지 환경 (The Distribution and Feeding Characteristics of Some Dominant Polychaetes i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Sea, Korea)

  • 최준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6-244
    • /
    • 1986
  • 본 연구는 한국 동해 대륙붕에 출현하는 주요 저서 다모류의 서식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1985년 4월에 수행되었다. 총 95출현종 중 조사 지역에서의 출현빈도, 출현량 또는 개체군 밀도에 있어서 중요한 우점종들로는 Terebellides stroemi, Chaetozone setosa, Magelona japonica, Ampharete arctica, Aglaophamus sinensis, Nothria holobranchiata, Lumbrineris japonica, Myriochele gracilis, Notoproctus pacificus 등 9개 종이다. 이들 우점동의 주된 먹이는 규조류와 기타 유기파편들로 구성되었으며 식이형에 있어서는 표층하 퇴적물 식자(subsurface deposit feeder)와 표층퇴적물 식자(surface deposit feeder)에 속하는 종들이 대부분 이다. 육식자로 간주되는 M. holobranchiata 와 L. japonica 의 경우에도 그들의 내 장 내용물이 세립질 퇴적물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사질 또는 역질의 조립질 퇴적 물이 우세한 환경에 서식하는 관서 다모류는 내장이 매우 세립질의 퇴적물로 채워 져 있고 , 또한 그들의 서관도서식지 퇴적물에 비해 세립질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이들 다모류가 식이와 서관 형성에 서관의 구조와 지역적인 분포 양상은 동해 대륙붕에서의 서식지 환경 특징인 해저지형 구조 또는 수심, 먹 이의 공급원, 퇴적환경의 에너지 분포에 의한 퇴적물 입도 조성등과 잘 일치됨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