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erminism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5초

지배이데올로기로서 생물학결정론 (Biological Determinism as Dominant Ideology)

  • 금인숙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31-158
    • /
    • 2008
  • 생물학결정론은 경험연구에 의해서 사실로 입증된 과학진리가 아니라 서유럽 백인중심의 가부장제 자본주의 지배질서와 억압구조의 실상을 은폐하거나 재생산하는 이데올로기에 지나지 않음을 드러내려는 의도에서 인간존재의 특수성을 문화인류학적으로 고찰한 결과는, 인간은 생물학적 유전요인에 의해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환경요인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존재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생물학결정론의 사회맥락에 대한 분석결과로 밝혀진 것은, 골상학과 사회진화론에서 사회생물학과 IQ옹호론에 이르는 생물학결정론 자체가 사회모순의 분출로 기존의 지배질서가 위태로워진 위기상황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타개책으로 등장하였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생물학결정론은 태생적으로 불평등한 사회구조를 은폐하고 재생산하는 인종차별주의와 자민족우월주의, 계급차등주의와 남성중심주의의 정당화기제로 작동할 수밖에 없는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생명과학이 인류의 희망이 되고자 한다면, 생물학결정론은 반드시 극복해야만 하는 문제로 불평등한 사회구조의 변혁이 선행되지 않고는 해결할 수 없는 난제 중의 난제이다.

  • PDF

한국판 자유의지와 결정론 척도(Free will and Determinism Plus: FAD+)의 타당화 연구 (The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Free Will and Determinism Plus Scale)

  • 안재경;최이문
    • 한국심리학회지:법
    • /
    • 제11권2호
    • /
    • pp.191-210
    • /
    • 2020
  • 자유의지와 결정론 척도(FAD-Plus; Paulhus & Carey, 2011)는 개인의 자유의지에 대한 믿음과 관련된 구성요소를 측정하는 검사도구이다. 폴란드, 프랑스, 중국 등에서 척도의 타당화가 이루어졌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FAD-Plus 척도를 타당화 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척도가 국내에서도 신뢰할 수 있고 활용 가능한지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20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FAD-Plus 척도의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자유의지에 대한 믿음이 다른 심리학적 기제들과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성격 5요인 및 주관적 안녕감을 추가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총 27개의 문항 중 6개의 문항이 제거되었을 때 측정검사도구로서 가장 적합한 수준의 신뢰성과 타당도를 보임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 정책적 함의,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결정론의 환상과 기능류어로서의 자유의지 (The Illusion of Determinism and Free Will as a Functional Kinds Term)

  • 모기룡
    • 인지과학
    • /
    • 제24권3호
    • /
    • pp.237-270
    • /
    • 2013
  • 결정론과 양립가능론은 그동안 자유의지론이 과학적인 견해와 맞지 않다고 생각해왔다. 이 논문은 친-과학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 자유의지가 존재한다는 것이 아무런 문제나 모순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오히려 결정론이 과학적, 논증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것을 논증한다. 먼저, 자아와 물리적인 신체(두뇌)의 동일론을 가정함으로써 이원론적인 자아를 거부한다. 자유의지는 다수실현이 가능한 기능적 개념이자 속성이다. 그래서 외계인이나 로봇의 행동 관찰을 통해서도 그들의 자유의지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자유의지'는 '소화' 처럼 기능류어이다. 우리가 소화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아는 것처럼, 인간-자유의지의 미시적 구조를 파악해서 존재의 필연성을 알기 전이라도 우리에게 자유의지가 있다는 것은 알 수 있다. 어떤 개체가 자유의지 기능을 가지는가의 판단은 그것이 특정한 행동들을 가지는가에 달려있다. 그러한 행동은 상황에 맞게 행동을 조절하고 절제하며, 미래를 예측하고, 정교한 조건문을 만드는 등의 행동이다. 자유의지의 실체는 그러한 행동을 만들어내는 기능의 물리적인 담당자이다. 결정론은 갖가지 오해와 착각에 기초하고 있다. 결정론자들은 종종 물리법칙의 필연성과 결정론을 혼동한다. 또 다른 큰 착각은 자유의지가 한 시점에서 동일한 조건과 서로 다른 결과를 가진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자유의지는 그 두 시점이 다르다는 것을 가정한다. 결정론은 종교의 영향을 받은 불필요한 추가적 가설이므로 오컴의 면도날에 따라 제거되어야 한다.

  • PDF

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행동적 특징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Genetic Determinism of Human Behaviors)

  • 윤세진;서혜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07-415
    • /
    • 2014
  • 유전자 결정론은 유전자가 인간의 생물학적인 특성 뿐 아니라 사회적인 특성까지도 결정한다고 보는 철학적 견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반대중과 생명과학자들이 유전자 결정론을 주장하곤 한다. 클레몽의 KVP모델에 의하면(Cl$\acute{e}$ment & Carvalho, 2007; Cast$\acute{e}$ra & Cl$\acute{e}$ment, 2012) 과학교육에서 교사들의 유전자 결정론은 학생들의 유전에 대한 개념 형성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 결정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Cast$\acute{e}$ra & Cl$\acute{e}$ment, 2012)의 설문지를 번역하여 생명과학, 국어 및 초등학교의 예비교사 151명, 현직교사 157명의 총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에 대해 요인분석을 활용하여 주요 요인들을 추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교사 집단별 요인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요인1은 남녀의 차이가 유전적으로 결정된다고 보는 관점, 요인2는 개인의 지적능력이 유전적으로 결정된다고 보는 관점, 요인3은 개인의 면역작용과 행동적 특징이 유전적으로 결정된다고 보는 관점이었으며, 요인4는 민족의 특징이 유전적으로 결정된다고 보는 관점이었다. 이 네 가지 요인에 대한 전공교과 집단별 인식 차이를 분석한 일원분산분석 결과 요인1(F=3.325, p=.006), 요인3(F=3.320, p=.006), 요인4(F=4.325,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후 비교를 한 결과 생명과학 교사와 다른 교사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현직교사와 예비교사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요인1(t=-3.938, p=.000)과 요인4(t=-3.121,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예비교사보다 현직교사가 더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이 강했다. 네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종교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One-chip determinism multi-layer neural network on FPGA

  • Suematsu, Ryosuke;Shimizu, Ryosuke;Aoyama, Tomo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89.4-89
    • /
    • 2002
  • $\textbullet$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textbullet$ flexible hardware $\textbullet$ neural network $\textbullet$ determinism learning $\textbullet$ multi-valued logic $\textbullet$ disjunctive normal form $\textbullet$ multi-dimensional exclusive OR

  • PDF

아동의 건강 자기 결정 지표에 대한 타당성 조사 (Validity test of the Health Self-Determinism Index for Korean Children)

  • 홍경자;이은주;신희선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5-94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Health Self-Determinism Index for Children (HSDI-C), an instrument designed to measure intrinsic motivation in health behavior. An convenience sample of 558,7 to 13 years old children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HSDI-C.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1. Construct validity was supported through factorial isolation of four theory-consistent subscales ; Internal-external cue responsive ness, Self-determinism in health judgement, Competency in health matters, and Self-determinism in health behavior /goal. The total percent of variance explained by 4 factors was 2 percent. 2.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our factors were ranged from -.06 to .29 indicating that factors are not redundant and each factor contributes uniquely to the total construct. 3. Cronbach alpha coefficient for internal consistency was .96 for the total, and .72, .56, .69, and .75 on the respective subscales. Test-retest reliability for the total scale was .85 at 2 weeks. 4. The Analysis of variance for the HSDI-C total scale and subscales according to grade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s for the total and factor one and two, indicating younger children were more extrinsically motivated.

  • PDF

기술변화가 산업입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 '개념적 틀'을 중심으로 (The Impac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upon the Locational Change in Manufacturing Industries: A Conceptual Framework.)

  • 소수진
    • 지역연구
    • /
    • 제10권1호
    • /
    • pp.19-37
    • /
    • 1994
  • The past studies on the change of industrial location can be reinterpreted as spatial determinism, decision making process determinism and industrial sturcure determinism according to the view of the mutual operation between the economic activity and spatial structure. From the point of the industrial structure determinism which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locational type of production activity can be differenciated by the structural change of industry itself, it is proper to explain the change of industrial location not only by spatial condition but also by containing the fundamental changing causes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spatial condi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ging causes for reorganizing economic space is industrial 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spatialization process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consists of the process of suggesting the hypothesis that the spatialization process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organization as the user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the user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the production system as using method. In other words, this study attempts to internalize the technology variable, which has been treated as external in the past studies on the industrial location, as an independent one and consider the production organization and production system as a paramenter, so that it can represent 'conceptual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change of industrial location.

  • PDF

Behaviour of students on social media sites : The Ghanaian Context

  • Nasir Koranteng Asiedu;Donus Worlanyo Buadi;Ebenezer Martin-Yeboah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71-88
    • /
    • 2023
  • Behaviour on social media sites need to be clearly defined so that students would know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acceptable and unacceptable acts they are supposed to exhibit whenever they get on social media platforms. With the adoption of the survey approach, this study randomly selected 204 students from two renowned universities in Ghana to participate in the study. Using the theory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echnology has the power to influence human behaviour in a positive and negative manner. The results also brought out the acceptable and unacceptable behaviour that should or should not be exhibited on social media sites by students. The study established the importance of the theory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to media use. It also gave a vivid description of what is right and not right on social media sites.

과학기술지식의 속성과 기술혁신

  • 홍정진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3-177
    • /
    • 1999
  • 전통적 혁신 이론에서 과학과 기술은 공공재와 지식으로 다루어지며, 이러한 관점은 선형모델과 기술 결정론을 자연스럽게 도출시킨다. 그러나 과학과 기술을 새롭게 규정하는 신혁신 이론에서는 기술의 사회적 형성을 강조하며, 선형 모델에서 탈피하여 혁신과정의 상호작용, 네트워크, 시스템 측면을 포섭하고 있다.

  • PDF

무법칙적 일원론은 결과논변에 대응할 수 있는가? (Can anomalous monism be interpreted as a counter theory against the consequence argument?)

  • 홍지호
    • 논리연구
    • /
    • 제18권3호
    • /
    • pp.359-387
    • /
    • 2015
  •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결과논변은 자유의지와 결정론이 양립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최근 최훈 교수는 데이빗슨의 무법칙적 일원론이 결과논변에 대한 대응이론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이려고 한다. 그러나 나는 그러한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다. 따라서 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왜 동의하지 않는지 보이려고 한다. 결과논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법칙적 일원론은 결과논변의 전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부정할 수 있거나 결과 논변의 타당성을 보증해 주는 베타규칙을 부정할 수 있거나 결과논변의 건전성에도 불구하고 자유의지가 결정론과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일 수 있어야 한다. 이 글에서 나는 무법칙적 일원론이 이것들 중 어떠한 것도 해낼 수 없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