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ressive disorder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3초

뇌파의 의사 결정 트리 분석과 가능성 기반 서포트 벡터 머신 분석을 통한 우울증 환자의 분류 (EEG Classification for depression patients using decision tree and possibilistic support vector machines)

  • 심우현;이기영;채정호;정재승;이도헌
    • Bioinformatics and Biosystems
    • /
    • 제1권2호
    • /
    • pp.134-138
    • /
    • 2006
  • 우울증은 가장 유병율이 높은 '기분 장애'(mood disorder)의 일종으로, 약 20%의 인구가 일생동안 우울증 증상을 한번쯤 경험한다. 이러한 우울증은 크게 '우울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와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로 구분된다. 환자의 질병 분류에 따라 사용되는 약과 의학적 처방이 다르기 때문에, 우울증 환자의 빠르고 정확한 진단 및 분류는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다면성 인성검사(MMPI)와 같은 통계적인 방법이 우울증 환자의 진단을 위해 사용돼 왔으나, 장시간의 집중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집중력 저하의 특징을 보이는 우울증 환자들에게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빠른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동안 집중력을 요하지 않는 EEC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우울증 환자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EEG 채널 간 정보 흐름에서의 비선형성과 근사 엔트로피(approximate entropy)의 크기를 속성(attribute)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와 가능성 기반 서포트 벡터머신(possibilistic support vector machines)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30명의 주요 우울장애환자와 24명의 양극성 장애 환자를 통해 위의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의사 결정 트리의 경우 85.19% 의 정확도를 가지며 분류해냈고, 가능성 기반 서포트 벡터머신의 경우 77.78%의 정확도를 보여줬다. 본 연구는 가능성 기반 서포트 벡터 머신 분석이 우울증 환자는 진단하고 분류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18 : 소아/청소년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Bipolar Disorder 2018 : Children and Adolescents)

  • 심세훈;박원명;윤보현;전덕인;서정석;김원;이정구;우영섭;정종현;김문두;손인기;송후림;민경준
    • 우울조울병
    • /
    • 제16권3호
    • /
    • pp.109-122
    • /
    • 2018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se the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Bipolar Disorder (KMAP-BP) 2014: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We performed the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comprising 22 questions according to each situ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bipolar disorder. Results : First-line pharmacotherapeutic strategies for manic episode in children with bipolar disorder were a combination of mood stabilizer (MS) and an atypical antipsychotics (AAP), monotherapy with an AAP, risperidone, and aripiprazole. Aripiprazole was selected as first-line medication for depressive episode in children with bipolar disorder, and aripiprazole, and risperidone were selected as first-line at high-risk children. First-line pharmacotherapeutic strategies for manic episode in adolescents were a combination of MS and an AAP, monotherapy with an AAP valproate, lithium, risperidone (Treatment of Choice, TOC), aripiprazole, and quetiapine. First-line pharmacotherapeutic strategies for depressive episode in adolescents, were a combination of an atypical antipsychotics and lamotrigine, valproate, aripiprazole (TOC), risperidone, and quetiapine. For depressive episodes in adolescents at high risk for bipolar disorder, valproate, aripiprazole (TOC), and risperidone were selected as first-line medication. Conclusion : We expect that the present KMAP-BP 2018-children and adolescents, is useful for clinicians to treat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bipolar disorder.

Predictors of Cognitive Improvement during 12 Weeks of Antidepressant Treatment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Lee, Jeong-Ok;Kim, Ju-Wan;Kang, Hee-Ju;Hong, Jin-Pyo;Kim, Jae-Min
    •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 /
    • 제16권4호
    • /
    • pp.461-468
    • /
    • 2018
  • Objective: Cognitive disturbance is one of the major symptoms of depression and may be improved by treatment with antidepressan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cognitive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who were taking antidepressa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86 patients with MDD who completed 12 weeks of antidepressant monotherapy. Cognitive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the Perceived Deficits Questionnaire-Korean version (PDQ-K), which addresses four domains of cognitive functioning (attention/concentration, retrospective memory, prospective memory, and organization/planning) and was administered at study entry and at the 12-week end point. A variety of demographic, clinical, and treatment-related variables were evaluated as predictors of changes in total and domain scores. Results: All PDQ-K domain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12 weeks of antidepressant treatment. More severe initial depressive symptoms, fewer sick-leave days at study entry, and reduced use of concomitant anxiolytics/hypnotics during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eater cognitive improvement. Conclusion: Cognitive symptoms are more responsive to antidepressant treatment in patients with severe MDD. Reduced use of anxiolytics and hypnotics could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ing of patients with MDD taking antidepressants.

경두개 직류 자극-정신과적 활용과 현황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Psychiatric Application and Its Current Status)

  • 김평규;김도형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4호
    • /
    • pp.175-187
    • /
    • 2017
  •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is a clinically safe and effective method of delivering weak electric current to modulate cortical activities. And based on the cumulating scientific evidences, the method is recommended to treat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and other psychiatric disorder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development of TDCS in the rising field of neuromodulation. Then with suggested biochemical and physical mechanism of TDCS, we summarize the reported cases of using TDCS to alleviate major neuropsychiatric disorders. And, in particular, the treatment of MDD is highlighted as an illustrative example of using TDCS. We discuss here the therapeutic potentials of this method in psychiatry. And in closing remarks, we evaluate the current technical limitations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method in both the clinical and research aspects.

항우울제의 복약 순응도 (Treatment Compliance of Antidepressants)

  • 이문수;고영훈;조숙행
    • 생물정신의학
    • /
    • 제17권1호
    • /
    • pp.5-14
    • /
    • 2010
  • Depressive disorder is a chronic disabling condition with recurrent episodes. Medication noncompliance is a significant problem for effective management of depressive disorder. However, compliance with antidepressant medication is poor. There are difficulties in assessing compliance accurately. Various methods for assessing compliance are in use. A patient's compliance with antidepressant may be affected by many factors including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pharmacologic properties of antidepressants, patients' characteristics, accessibility treatment, and doctor-patient relationships. For enhancing the treatment compliance, psychotherapeutic considerations in patient-therapist relationship are needed.

한 집단 농원 한센병 환자들의 우울장애 (Depressive Disorders among Hansen Disease Patients Living in a Collective Farm)

  • 김연구;박민호;박재원;송준호;심성균;이주형;이희영;윤동일;정성환;민영선;배근량;정철;임현술;정해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9권1호
    • /
    • pp.133-145
    • /
    • 2004
  • 우울장애는 인식되지 않고 치료받지 않는다면 생명에 위협적일 수 있는 중요한 건강상의 문제이다. 우울장애는 다른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일반인구에 비해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한센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우울장애에 대한 조사가 부족한 상태로 본 연구는 한센병 환자군에서 우울장애가 일반인에 비하여 높은지와 우울장애와 그들 일상생활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작하였다. 84명의 일반노인 대조군과 74명의 한센병 환자군을 대상으로 우울장애 및 일반적 특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우울증상은 30문항의 한국형 노인우울검사(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지표를 이용하였다. 일반노인 대조군에서 우울장애 양성률은 31.0% 이었고, 한센병 환자군에서 우울장애 양성률은 70.2%이었다. 성별로 층화하여 두 군의 우울장애 양성률을 비교하였을 때 남자, 여자 모두에서 한센병 환자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연령으로 층화하여 두 군의 우울장애 양성률을 비교하였을 때 59세 이하 연령을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한센병 환자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외출 횟수로 층화시켰을때 모든 군에서 한센병 환자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가족 수입 60만원 미만군과 60만원 이상군 모두 한센병 환자군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한센병 환자군의 우울장애 관련 요인 분석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가족수입이 60만원 미만군이 60만원 이상인 군에 비하여 우울장애 양성률이 유의하게 높았고(p<0.05), 가족 형태, 외출 횟수, 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큰 문제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체 대상을 한센병 환자군과 일반노인 대조군, 성별, 외출 횟수, 가족 수입, 가족 형태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에서 한센병 환자군이 일반노인 대조군보다. 여자가 남자보다, 가족 수입 60만원 이하군이 60만원 이상군보다, 외출 횟수가 한달에 한번 이하인 군이 일주일에 한번군보다 우울장애 양성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 PDF

주요 우울장애와 준임상적 우울증에서의 감정표현불능증 (Alexithymia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Subclinical Depression)

  • 김석주;유승희;김성연;김동욱;조인희;조성진
    • 정신신체의학
    • /
    • 제15권2호
    • /
    • pp.100-106
    • /
    • 2007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주요 우울장애 환자들과 준임상적 우울증 환자들의 감정표현불능증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386명(남/여=148/238, 평균 연령 : $43.0{\pm}13.9$, 연령 범위 : 19~79)이 연구에 참여했다. 구조화된 임상면담(Structured Clinical Inteview for DSM-IV, SCID)를 이용하여 주요 우울장애 및 기타 1축 정신질환을 진단했다. 우울증상를 평가하기 위해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를 자가 작성하게 했다. 감정표현불능증은 토론토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oronto alexithymia scale, TAS)로 평가했다. 주요 우울장애의 병력이 없는 이 중 SCID에서 경도 우울장애가 있거나, CES-D 점수가 16점 이상인 경우를 준임상적 우울증으로 정의했다. 주요 우울장애군, 준임상적 우울증군, 정상 대조군 세군으로 나누어 TAS 총점과 각 요인별 점수를 비교했다. 결과 : 전체 386명 중, 38명(9.8%)이 DSM-IV 주요 우울장애의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병력이 있었고, 57명(14.8%)이 준임상적 우울증군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간 TAS 총점($F_{2,383}=14.0$, p<0.01), 요인 1(감정인식의 장애) ($F_{2,383}=23.4$, p<0.01), 요인 2(감정표현의 장애)($F_{2,383}=7.8$, p<0.01)에 차이가 있었다. TAS 요인 3(외부지향적 사고)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_{2,383}=1.8$, p=0.16). 주요 우울장애군과 준임상적 우울증군은 모두 대조군에 비해 TAS 총점, 요인 1, 요인 2의 점수가 높았다(모두 p<0.01). 반면, 주요 우울장애군과 준임상적 우울증군은 TAS 총점 및 각 요인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준임상적 우울증 환자는 우울증상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감정표현불능증이 더 심했다. 한편, 주요 우울장애와 준임상적 우울증은 감정표현불능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표현 불능증이 주요 우울장애 뿐아니라 준임상적 우울증과도 관계있음을 시사한다.

  • PDF

소아 청소년 양극성장애 환아군에서의 첫 기분 삽화의 극성에 따른 단기 예후 비교 : 단일 기관 연구 (The Comparison of the Short-Term Prognosis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First Episode in Children and Adolescent with Bipolar Disorder : A Single Center Study)

  • 권국주;박수빈;이수민;김재원;신민섭;유희정;조수철;김붕년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1-105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first episode polarity of pediatric bipolar disorder and prognosis. Methods : We analyzed the clinical records of 66 inpatient subjects with DSM-IV defined pediatric bipolar disorder. The patients were split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illness onset [depressive onset (DO) vs. manic/hypomanic/mixed onset (MO)]. Clinical feature and prognosi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of patients. Results : In our sample, 68% of patients experienced a depressive onset. In DO patients, rates of suicidal attempt, episodic illness course and comorbid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were higher than rates in MO patients. Conclusion :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polarity of illness onset may be useful in predicting the prognosis of pediatric bipolar disorder.

입원한 기분장애 소아청소년의 임상특성 - 주요 우울증과 양극성장애의 우울삽화 비교를 중심으로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WITH MOOD DISORDER)

  • 조수철;백기청;이경규;김현우;홍강의;임명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2호
    • /
    • pp.209-220
    • /
    • 2000
  •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에서의 우울증 및 조울증의 우울삽화에 대한 임상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3년 3월 1일부터 1999년 10월 31일까지 OO대학교 어린이 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에 입원하였던 34명의 우울증 환아와 17명의 조울증 우울삽화 환아를 대상으로 병록지 기록을 통해서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진단적 분류, 입원시 주 증상 및 문제점, 증상의 빈도, 주산기 모 병력과 아동기 발달력, 공존 정신질환 및 신경 심리학적 검사, 가족의 임상적 특성, 가족 정신병리 및 가족 병력, 치료반응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우울증에서 남자의 비율이 여성의 경우보다 높았으며, 조울증 우울삽화에서는 남녀의 비율이 비슷하였다. 2) 평균 발병 연령은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14.1세, 우울증에서 12.8세로 우울증에서 일찍 발병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입원 횟수에 있어서는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우울증에 비해서 많았다. 3) 조울증 우울삽화와 우울증 모두에서 식물증상의 호소가 신체증상보다 많았으며, 자살사고 증상은 우울증에서, 공격적인 증상은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많았고, 정신병적 증상에서는 망상은 우울증에서 환각은 조울증 우울삽화에서 많이 나타났다. 4) 두 집단 모두에서 불안장애가 가장 많이 동반되었으며, 신체형 장애, 정신지체, 인격장애 등이 동반되었다. 5) 조울증 우울삽화와 우울증 모두 높은 가족력을 보였고, 특히 우울증은 아동 학대력과 가족의 부적절한 양육과 관련성을 보였다. 성인에서 조울증과 우울증이 분명한 임상적 차이를 갖고있는 것처럼 소아에서도 조울증 우울삽화와 우울증은 발병연령, 신체증상 및 식물증상을 비롯한 임상증상의 차이, 공존질환 등에서 서로 다른 임상 양상을 나타내었다. 발병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다고 할 수 있었다. 2) 자신은 남들에게 인기도 없고, 따돌림을 당한다고 여기며 정신병적 증상을 가진 군(47명, 남자 31명, 여자 16명)은 단순히 정신병적 증상이 높은 군에 비해 불안 척도, 우울증 척도, 공격성, 대인 민감성, 학교 및 사회 적응 척도, 강박증상 척도, 공포불안 척도, 정신병적 증상, 신체적 증상 호소 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신이 따돌림을 받는다는 호소와 편집증은 더 높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학교폭력 피해자 중에서 정신병적 증상이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고, 스스로 인기가 없다고 생각하는 대상들에서는, 불안 증상, 우울증, 공격성, 대인 예민성, 강박증상, 편집증, 신체 증상 호소 등이 정신병적 증상을 잘 설명해주었다 ($r^2$=0.93). 즉, 따돌림을 당한다고 호소한 집단은 정신병적 증상이 유의하게 높았고, 이를 통해 왕따 피해자는 정신병 발병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다고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따돌림과 같은 학교폭력 피해자가 불안증상, 우울증, 공격성, 대인 예민성, 강박증상, 편집증, 신체 증상 호소와 같은 문제를 보였을 경우에는 정신병적 증상 유무와 학교 적응, 집중력 장애, 사고개념 형성 장애 등을 확인하여 정신병의 진단을 고려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탈트검사에서 기질성 뇌장애를 의심할만한 소견은 14명(63.5%)에서 보였다. 지능검사의 결과는 평균이상 IQ는 12명((54.5%), 지능지체 및 경계선 지능은 9명(41.0%)이었다. 5) 주 진단 및 공존진단:주 진단으로는 행실장애가 6명(27.3%), 경계선장애(borderline child) 5명(23.0%), 우울병 4명(18%)

  • PDF

우울 장애의 치료에 있어서 dothiepin-sertraline 병합과 dothiepin 단독 요법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Dothiepin-Sertraline Combination and Dothiepin Alone Therapy in the Treatment of Depressive Disorder)

  • 차지현;정인과;이민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4권2호
    • /
    • pp.251-258
    • /
    • 1997
  • The dysfunction of either or both noradrenaline and serotonin system are important in the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Previous reports have suggested that there may be an important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systems. Recently, some investigators have suggested that the combination of tricyclic antidepressants(TCAs) and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SRIs) would produce a rapid synergistic effect on down-regulation of either or both of these two systems and that this combination may produce a more rapid and absolute antidepressant effect. We compared the treatment efficacy, treatment associated side effects, treatment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combination therapy of dothiepin-sertraline as well as the therapy of dothiepin alone in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dysthymic disorder. In our study, the combination therapy of dothiepin and sertraline produced a more rapid and absolute antidepressant effect than dothiepin alone. And the patients with combination therapy experienced relatively high treatment satisfaction than the patients with dothiepin therapy.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improved more rapidly in the combination therapy, especially, in the health perception, social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than dothiepin alone.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the combination of TCA and SSRI may produce a rapid synergistic effect on either or both norepinephrine and serotonin system, and more rapid antidepressant effect and high treatment satisf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