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검색결과 3,746건 처리시간 0.037초

RAW 264.7 세포에서 담배잎산말의 TLR4/MAPKs/NF-κB 신호전달체계 조절을 통한 항염증 효과 (Desmarestia tabacoides Ameliorate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via Attenuated TLR4/MAPKs/NF-κB Signaling Cascade in RAW264.7 Cells)

  • 윤현서;안현;박충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63-470
    • /
    • 2023
  • Desmarestia tabacoides Okamura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갈조류 중 하나이다. 몇몇 산말류의 항종양, 멜라닌 생성 억제 및 광보호 활성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D. tabacoides Okamura의 항염증 기전에 대해서는 보고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LPS (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D. tabacoides Okamura 에탄올 추출물(DTEE)의 항염증 기전을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 (COX)-2의 발현 및 이들의 상위신호전달물질인 nuclear factor (NF)-κB,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그리고 phosphoinositide-3-kinase (PI3K)/Akt의 인산화 조절 정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DTEE의 처리는 세포 독성 없이 LPS로 유도된 NO와 prostaglandin (PG) E2의 생성과 이들의 생성 효소인 iNOS 및 COX-2의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리고 LPS에 의해 활성화된 NF-κB 및 상위 신호 전달 물질인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c-Jun NH2-terminal kinase (JNK) 및 p38은 DTEE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DTEE의 처리는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활성화되는 adaptor molecule인 Toll-like receptor (TLR) 4 및 myeloid differentiation primary response (MyD) 88 또한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DTEE는 LPS에 의해 유도된 TLR4와 NF-κB 및 MAPK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매개인자의 발현을 조절하였고, 이는 DTEE가 염증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장기요양시설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 수준 및 관련요인 (Physical Function(ADL, IADL) and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People Institutionaliz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안권숙;박승경;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80-488
    • /
    • 2016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ADL과 IADL을 측정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장기요양급여를 받고 있는 노인 205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5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면접조사를 통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ADL 수준은 $16.67{\pm}2.11$점(총득점 합계 범위: 6~18점)이었으며, IADL 수준은 $15.13{\pm}3.79$점(총득점 합계 범위: 7~21점)이었다. ADL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배우자 유무, 외출 빈도, 주관적인 건강상태, 치아의 부자유 유무가 선정되었으며, IADL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성별, 배우자 유무, 외출 빈도, 주관적인 건강상태, 신체의 부자유 유무, 건망증 유무가 선정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요양시설 입소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및 건강상태 등 여러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D대학 대학생들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수준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Students attending Tutoring Program)

  • 정현자;표창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70-18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D대학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연령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차이와 튜터와 튜티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차이를 인지조절과 동기조절 및 행동조절로 분류, 조사하여 효율적인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2010년 4월 26일부터 6주간 실시된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15개 학과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관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기입식 응답법으로 응답한 183명의 자료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 중 20세이상의 대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능력 중 조직화, 메타인지전략의 사용, 계획, 자아효능감, 학업시간관리 능력이 유의 하게 높았다(p<0.05). 또한 튜터는 튜티에 비하여 인지전략의 사용, 시연, 조직화, 메타인지전략의 사용, 계획, 점검, 숙달목적지향성, 자아효능감, 성취가치, 행동통제와 도움을 구하기 능력이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1~2년의 학습과정을 통해 전반적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대학에서는 상대적으로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부족한 신입생 및 복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대적인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우수한 튜터를 양성하여 튜터링 프로그램과 같은 양질의 학생지원 프로그램을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성적이 우수한 선배가 후배들을 지도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한다면 튜터링 프로그램이 점차 차별화되고 효율적인 자기 조절 학습능력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아질 지각과민 처치제의 적용 중에 일어나는 상아세관액 유동의 실시간 측정 (Real-time measurement of dentinal fluid flow during desensitizing agent application)

  • 김선영;김은주;이인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5호
    • /
    • pp.313-320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 유체 흐름 측정장치를 이용해서 각 상아질 지각과민 처치제의 적용 과정 중 발생하는 상아 세관액 흐름의 유동을 관찰하고, 상아질 지각과민 처치제 간 적용 후 투과도 감소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CEJ 5 mm 하방에서 절단한 소구치를 미세 흐름 측정장치에 연결하여 20 cm $H_2O$의 정수압을 가하였다. 치경부에 상하 3 mm, 근원심 4 mm, 깊이 2 mm의 V자 형태의 5급 와동을 형성하고 smear layer를 제거하기 위해 15초 동안 산 부식한 후 상아질 지각과민 처치제를 적용하였다. 사용된 상아질 지각과민 처치제는 Seal&Protect (SP), SuperSeal (SS), BisBlock (BB), Gluma desensitizer (GL), Bifluoride 12 (BF) 이다. 상아세관액의 흐름은 지각과민 처치제 도포 전부터 도포 후 5분까지 실시간으로 측정되었다. 결과: 실험에 사용한 모든 상아질 지각과민 처치제는 적용 후의 상아세관액 흐름율이 적용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SP는 GL과 BF에 비해 유의하게 투과도 감소가 나타났다 (p < 0.05). SS와 BB는 BF에 비해 유의하게 투과도 감소를 보였다 (p < 0.05). 결론: 지각과민 처치제의 도포 과정 동안 각 처치제의 특징적인 상아세관액의 유동을 미세 유체 흐름 측정장치를 통해 관찰 할 수 있었다.

Cardiometabolic Index, Triglyceride-glucose Index를 이용한 대사증후군 진단 예측지수에 대한 고찰: 부산지역 건강검진대상자 중심으로 (Consideration of Predictive Indices for Metabolic Syndrome Diagnosis Using Cardiometabolic Index and Triglyceride-glucose Index: Focusing on Those Subject to Health Checkups in the Busan Area)

  • 안현;윤현서;박충무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6권5호
    • /
    • pp.367-377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tility of the Triglyceride-glucose(TyG) index and Cardiometabolic Index(CMI) as predictors for diagnosing metabolic syndrome. The study involved 1970 males, 1459 females, totaling 3429 participants who underwent health checkups at P Hospital in Busan between January 2023 and June 2023. Metabolic syndrome diagnosis was based on the presence of 3 or more risk factors out of the 5 criteria outlined by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AHA/NHLBI), and participants with 2 or fewer risk factors were categorized as normal.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independent sample t-tests, chi-square tes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 program. Significance was established at p<0.05.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metabolic syndrome group exhibited attributes such as advanced age, male gender, elevate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high blood sugar, elevated triglycerides, reduced LDL-C, elevated HDL-C, higher Cardiometabolic Index, Triglyceride-glucose index, and components linked to abdominal obesit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waist circumference/height ratio, waist circumference, Cardiometabolic Index, and triglycerides. Weak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LDL-C, body mass index, and Cardiometabolic index, while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ardiometabolic Index and HDL-C. RO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ardiometabolic Index(CMI), Triglyceride-glucose(TyG)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demonstrated the highest Area Under the Curve(AUC) values, indicating their efficacy in diagnosing metabolic syndrome. Optimal cut-off values were determined as >1.34, >8.86, and >84.5 for the Cardiometabolic Index, Triglyceride-glucose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respective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age(p=0.037), waist circumference(p<0.001), systolic blood pressure(p<0.001), triglycerides(p<0.001), LDL-C(p=0.028), fasting blood sugar(p<0.001), Cardiometabolic Index(p<0.001), and Triglyceride-glucose index (p<0.001). The odds ratios for these variables were 1.015, 1.179, 1.090, 3.03, and 69.16,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Cardiometabolic Index and Triglyceride-glucose index are robust predictive indicators closely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diagnosis, and waist circumference is identified as an excellent predictor. Integrating these variables into clinical practice holds the potential for enhancing early diagnosis and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Probiotics의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길항적 억제효과 (Antagonistic inhibitory effects of probiotics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vitro)

  • 육영삼;이영기;김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10-116
    • /
    • 2019
  • Probiotics와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간의 혼합배양에서의 길항적 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국내 김치로부터 다양한 probiotics 균주를 분리하여 16S rRNA sequencing을 통한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140주의 프로바이오틱스를 동정하였다. 이중 항균력이 우수한 probiotics 4종(Enterococcus faecali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obacillus reuteri )과 병원성 미생물 6종 (Candida albicans, Salmonella Enteritidis, E. coli O157:H7, Shigella flexneri,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간의 혼합배양에서의 길항적 억제시험에서 probiotics 균주들은 대부분 배양 후에 균수가 정상적으로 크게 증가했지만 C. albicans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병원성미생물들은 S. Enteritidis 를 제외하고 거의 완전하게 성장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in vitro 에서의 길항적 억제효과는 생성된 젖산과 유기산등의 낮은 pH에 의한 효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 김치에서 분리된 probiotics 균주 4종은 여성질염, 대장 및 피부관리 관련 치료제로써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러한 치료제는 probiotics 관련 국민건강 및 보건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만성 성인성 치주염 치료시 비외과적, 외과적 방법에 대한 의사결정 (Decision Making on the Non surgical, Surgical Treatment on Chronic Adult Periodontitis)

  • 송시은;이승원;조규성;채중규;김종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8권4호
    • /
    • pp.645-66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d ascertain a decision making process on the base of patient-oriented utilitarianism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of chronic adult periodontitis. Fifty subjects were chosen in Yonsei Dental hospital and the other fifty were chosen in Severance dental hospital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Fifty four patients agreed in this study. NS group(N=32) was treated with scaling and root planing without any surgical intervention, the other S group(N=22) done with flap operation. During the active treatment and healing time, all patients of both groups were educated about the importance of oral hygiene and controlled every visit to the hospital. When periodontal treatment needed according to the diagnostic results, some patients were subjected to professional tooth cleaning and scaling once every 3 months according to an individually designed oral hygienic protocol. Probing depth was recorded on baseline and 18 months after treatments. A questionnaire composed of 6 kinds(hygienic easiness, hypersensitivity, post treatment comfort, complication, functional comfort, compliance) of questions was delivered to each patient to obtain the subjective evaluation regarding the results of therapy. The decision tree for the treatment of adult periodontal disease was made on the result of 2 kinds of periodontal treatment and patient's ubjective evaluation. The optimal path was calculated by using the success rate of the results as the probability and utility according to relative value and the economic value in the insurance system. The success rate to achieve the diagnostic goal of periodontal treatment as the remaining pocket depth less than 3mm and without BOP was $0.83{\pm}0.12$ by non surgical treatment and $0.82{\pm}0.14$ by surgical treatment withou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moderate success rate of more than 4mm probing pocket depth were 0.17 together. The utilities of non-surgical treatment results were 100 for a result with less than 3mm probing pocket depth, 80 for the other results with more than 4mm probing pocket depth, 0 for the extraction. Those of surgical treatment results were the same except 75 for the results with more than 4mm. The pooling results of subjective evaluation by using a questionnaire were 60% for satisfaction level and 40% for no satisfaction level in the patient group receiving nonsurgical treatment and 33% and 67% in the other group receiving surgical treatment. The utilities for 4 satisfaction levels were 100, 75, 60, 50 on the base of that the patient would express the satisfaction level with normal distribution. The optimal path of periodontal treatment was rolled back by timing the utility on terminal node and the success rate, the distributed ratio of patient's satisfaction level. Both results of the calculation was non surgical treat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non-surgical treatment may be the optimal path for this decision tree of treatment protocol if the goal of the periodontal treatment is to achieve the remaining probing pocket depth of less than 3mm for adult chronic periodontitis and if the utilitarian philosophy to maximise the expected utility for the patients is advocated.

  • PDF

안면 비대칭환자의 악교정 수술을 동반한 완전구강회복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Orthognathic Surgery in Facial Asymmetry Patient : Case Report)

  • 임소민;신형주;김대곤;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3호
    • /
    • pp.359-371
    • /
    • 2010
  • 안면 비대칭 중 가장 흔히 나타나는 하악 비대칭은 성장 중 골격성장의 비대칭을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안면 비대칭이 있을 경우 외모 뿐 아니라 저작과 기능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심한 골격성 악간관계 부조화가 있는 경우 보철치료만으로는 이상적인 교합관계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힘의 분산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자연치와 수복물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악간관계 부조화로 인한 부정교합이 존재하여 치아의 수복 시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먼저 교정치료를 통한 악간관계의 개선을 위한 교합안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부조화가 심한 경우 기능적 및 심미적인 치료 결과를 위해 악교정 수술이 필요하며, 진단결과에 따라 편악 또는 양악수술이 시행된다. 상 하악 또는 안면 비대칭증의 악교정 수술시 이부 성형술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는 하악골의 이부의 수직적, 횡적, 전후방적 위치를 외과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더욱 심미적인 안모개선을 얻기 위해 시행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안모의 비대칭과 돌출된 하악 및 불량 보철물을 개선하고자 술전 교정을 시행한 뒤 상악 Le-Fort I 골절단술, 하악 시상분할골절단술, 이부 성형술(전방 4 mm), 우측 하악각 증대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교정치료를 진행하고 치관연장술 및 완전구강회복을 진행하였다. 보철 수복 완료 후, 환자의 평가와 객관적 결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poptotic Activity of Curcumin and EF-24 in HTB-41 Human Salivary Gland Epidermoid Carcinoma Cells

  • Kim, Ji-Won;Lee, Seul Ah;Go, Dae-San;Park, Byung-Sun;Kim, Su-Gwan;Yu, Sun-Kyoung;Oh, Ji-Su;Kim, Chun Sung;Kim, Jeongsun;Park, Jong-Tae;Kim, Do 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0권2호
    • /
    • pp.63-69
    • /
    • 2015
  • Curcumin (diferuloylmethane), a constituent of turmeric powder derived from the rhizome of Curcuma longa, has been shown to inhibit the growth of various types of cancer cells by regulating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However, a need exists to design more effective analogs because of curcumin's poor intestinal absorption. EF-24 (diphenyl difluoroketone), the monoketone analog of curcumin, has shown good efficacy in anticancer screens. However, the effects of curcumin and EF-24 on salivary gland epidermoid carcinoma cells are not clearly established.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rcumin and EF-24 on cell growth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salivary gland epidermoid carcinoma cells. Our studies showed that curcumin and EF-24 inhibited the growth of HTB-41 cell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and the potency of EF-24 was > 34-fold that of curcumin. Treatment with curcumin or EF-24 resulted in nuclear condensation and fragmentation in HTB-41 cells, whereas the control HTB-41 cell nuclei retained their normal regular and oval shape. Curcumin and EF-24 promoted proteolytic cleavages of procaspase-3/-7/-9,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leaved caspase-3/-7/-9 in the HTB-41 cells. Caspase-3 and -7 activities were detected in viable HTB-41 cells treated with curcumin or EF-24.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urcumin and EF-24 inhibit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 apoptosis in HTB-41 human salivary gland epidermoid carcinoma cells, and that they may have potential properties as an anti-cancer drug therapy.

Ginsenoside Rd inhibits the expressions of iNOS and COX-2 by suppressing NF-κB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and mouse liver

  • Kim, Dae Hyun;Chung, Jae Heun;Yoon, Ji Sung;Ha, Young Mi;Bae, Sungjin;Lee, Eun Kyeong;Jung, Kyung Jin;Kim, Min Sun;Kim, You Jung;Kim, Mi Kyung;Chung, Hae Yo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1호
    • /
    • pp.54-63
    • /
    • 2013
  • Ginsenoside Rd is a primary constituent of the ginseng rhizome and has been shown to participate in the regulation of diabetes and in tumor formation. Reports also show that ginsenoside Rd exerts anti-oxidative effects by activating anti-oxidant enzymes. Treatment with ginsenoside Rd decreased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 $E_2$ ($PGE_2$) in lipopolysaccharides (LPS)-challenged RAW264.7 cells and in ICR mouse livers (5 mg/kg LPS; LPS + ginsenoside Rd [2, 10, and 50 mg/kg]). Furthermore, these decreases were associated with the down-regulat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and of nuclear factor (NF)-${\kappa}B$ activity in vitro and in vivo. Our results indicate that ginsenoside Rd treatment decreases; 1) nitric oxide production (40% inhibition); 2) $PGE_2$ synthesis (69% to 93% inhibition); 3) NF-${\kappa}B$ activity; and 4) the NF-${\kappa}B$-regulated expressions of iNOS and COX-2.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insenoside Rd are due to the down-regulation of NF-${\kappa}B$ and the consequent expressional suppressions of iNOS and COX-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