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ta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33초

도시림에서 은수원사시나무 벌목 후 초기의 식생 변화 (Vegetational Changes in the Early Stages after Lumbering of Populus albaglandulosa in Urban Forest)

  • 민병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277-285
    • /
    • 1999
  • 도시의 식재림을 자연림으로 복원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청담근린공원 내에서 교목층을 구성하고 있는 은수원사시나무를 벌목한 후 초기 2년간 식물상, 식생, 목본식 물의 생장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았다. 첫째, 벌목의 결과 목본식물종의 변화는 없었으나 초본식물은 1년 후 콩제비꽃 등 3종이 사라지고 15종이 새로 출현하여 종 수가 44% 증가하였다. 새로 침입한 종은 대부분 박주가리 등의 교란지종이거나 붉은서나물 등의 귀화종이었다. 둘째, 벌목은 기존의 아교목층이나 관목층을 구성하고 있던 갈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팥배나무 둥의 피도를 급격히 증가시켰다. 싸리의 피도는 주변의 다른 식물에 따라 변화가 심하였다. 셋째, 초본층의 구성종 중 맑은대쑥의 피도 증가가 가장 뚜렷하였으며 이외의 종의 것은 큰 변화가 없었다. 넷째, 참나무류는 피음이 제거되면 생장이 상당히 증가되었다. 실험구에서는 벌목 후 다음해의 DBH 증가는 갈참나무, 신갈나무 및 떡갈나무에서 각각 53.0%, 22.9% 및 28.8%, 대조구에서는 각각 23.1%, 8.3% 및 6.1%이었다. 그리고 가지의 생장량은 벌목 전해를 기준으로 벌목 다음해 실험구의 갈참나무, 신갈나무 및 떡갈나무에서 각각 565%, 191%, 644%이었고, 대조구의 것에서 각각 117%, 100%, 42%이었다. 그런데 갈참나무와 떡갈나무는 상대적으로 줄기보다 가지의 생장 증가가 뚜렷하였지만 신갈나무는 그 반대이었다.

  • PDF

떡갈나무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the Extractives of Quercus dentata Thunberg)

  • 김민영;김윤근;김태홍;조종수;양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42-51
    • /
    • 2000
  • 떡갈나무의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활성을 시험하였다. 항균활성은 paper disk법과 bioautography법으로 시험하였다. 잎으로부터 추출된 ethyl acetate 가용부는 Klebsiella pneumoniae균에 대해서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수피로부터 추출된 ethyl acetate 가용부는 Bacillus subtilis, Klebsiella pneumoniae균에 대해 항균효과가 우수하였다. 목절부의 에탄올 추출물은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및 Vibrio parahaemolyticus균에 대해서 저해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떡갈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잎, 수피, 목질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Bioautography법에 의한 항균활성은 목질부 에탄올 추출물에 있어서 Rf치 0.41~0.63 영역의 물질이 가장 강한 저해를 나타냈다. 떡갈나무의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시험 결과, 잎 추출물에서는 petroleum ether 가용부가 매우 낮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으나, ethyl acetate 불용부에서는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냈다. 수피와 목질부의 추출물에 있어서. petroleum ether 가용부를 제외한 나머지 분획물의 항산화활성은 BHT의 항산화 성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 PDF

참나무류(類)의 비교내후성(比較耐朽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lative Decay Durability of Quercus Species)

  • 민경희;정대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16-25
    • /
    • 1987
  • 본(本) 연구(硏究)는 참나무 6수종(樹種)의 비교내후성(比較耐朽性)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실적(實驗實的)인 방법(方法)으로 실시(實施)되었다. 비교내후성(比較耐朽性)은 Lentinus edodes 균(菌)과 Pleurotus ostreatus 균(菌)에 의한 중량감소율(重量減少率)로 나타내었다. 본(本) 연구(硏究)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L. edodes 균(菌)에 대한 내후성(耐朽性)이 가장 강한 재종(村種)은 졸참나무(Q. serrata TH.)의 심재(心材)와 갈참나무(Qaliena BL.)의 변재(邊材)였으며, 상수리나무(Q. acutissima C.)의 심재(心材)와 떡갈나무(Q.dentata TH.)의 변재(邊材)가 가장 약하였다. 2. P. ostreatus균(菌)에 대한 내후성(耐朽性)이 가장 강한 재종(材種)은 졸참나무(Q. serrata TH.)의 심재(心材)와 갈참나무(Q. aliena BL.)의 변재(邊材)였으며, 굴참나무(Q. variabilis BL.)의 심재(心材)와 떡갈나무(Q. dentata TH.)의 변재(邊材)가 가장 약하였다. 3. 참나무 6수종(樹種)의 절단고(切斷高)에 다른 중량감소율(重量減少率)은 일관(一貫)된 변화(變化)가 없었다. 4.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고찰(考察)하여 볼 때 참나무 6樹種(수종) 자연상태(自然狀態) 하(下)에서의 P. ostreatus균(菌)과 L. edodes 균(菌)에 대한 내후성(耐朽性)이 가장 강한 수종(樹種)은 갈참나무(Q. aliena BL.)로 사료(思料)된다.

  • PDF

낙엽성(落葉性) 참나무의 엽(葉) 및 모용(毛茸) 형태(形態)의 수령(樹齡)에 따른 변이(變異) (Morphological Variations in Leaves and Foliar Trichomes Along with Developmental Age of Four Deciduous Quercus taxa)

  • 이정호;하시즈메 하야토;권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1호
    • /
    • pp.11-17
    • /
    • 1999
  • 유묘상태에서 잡종을 판정하기 위해 수령에 따른 잎과 모용(毛茸)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졸참나무, 떡갈나무, 갈참나무에서 잎의 크기는 1년생묘에서 가장 작고, 수령의 증가에 따라서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잎의 길이, 잎의 넓이, 잎자루 길이, 결각의 수, 결각의 깊이, 형상비, 잎자루 비율에 관하여서도 수령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 때문에 1, 2년생의 유령기에 잎의 크기, 형태만으로 종을 판정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잎 뒷면의 모용(毛茸)의 종류, 형상, 발생 밀도 등은 종에 따라서, 같은 종 중에서도 수령에 따라서 현저하게 차이를 보였다. 졸참나무의 성목은 소형성상모밀생(小型星狀毛密生) 장모소생형(長毛疎生型), 떡갈나무의 성목은 대형성상모밀생(大型星狀毛密生)~소생형(疎生型), 갈참나무의 성목은 소형성상모밀생형(小型星狀毛密生型), 일본 물참나무의 성목은 무모(無毛)~소형성상모산생형(小型星狀毛散生型)으로 성목에서는 모용(毛茸)으로 종의 판정이 가능하였다. 1, 2년생의 묘목에서는 모용(毛茸)의 발생이 좋지 않으며 졸참나무, 떡갈나무에서는 2년생 일부와 3년생에서 모용(毛茸)에 의해 종의 분류가 가능하였지만, 갈참나무 일본 물참나무에서는 유령기에 모용(毛茸)만으로서 종을 판정하기는 곤란하였다.

  • PDF

월출산국립공원 월각산-도갑재 지역의 산림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the Region from Wolgagsan to Dogabjae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Korea)

  • 김갑태;추갑철;김정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2-129
    • /
    • 2006
  • 월출산국립공원 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월각산-도갑재 지역에 14개의 방형구 ($2000m^2$)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4개 조사구는 굴참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상수리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월출산국립공원 월각산-도갑재지역은 대부분이 굴참나무, 소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졸참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는 굴참나무와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점점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굴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등의 참나무류의 상대 우점치가 점차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상관관계에서는 굴참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간, 때죽나무와 먹갈나무 및 상수리나무간, 리기다소나무와 비목나무 및 소나무간, 생강나무와 진달래간 자귀나무와 쪽동백나무간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감나무와 떡갈나무간, 굴피나무와 비목나무간, 노린재나무와 상수리나무간, 때죽나무와 쪽동백나무간, 리기다소나무와 생강나무 및 쇠물푸레 그리고 진달래간, 상수리나무와 자귀나무간 등의 수종들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1.2430{\sim}1.2892$로 나타났다.

대극속 Zygophy llidium절과 근연 분류군의 종자 형태 (Seed morphology of Euphorbia section Zygophyllidium and related taxa)

  • 진선미;박기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89-403
    • /
    • 2008
  • 대극과 대극속 Zygophyllidium절의 한계와 종간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Zygophyllidium절과 Poinsettia아속에 속하는 12종 종자를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2종에 대해 종자의 특징을 기재하였으며,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9개의 종자 형질을 이용한 수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6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Type I(Euphorbia uniglandulosa)는 종자표면에 작은 구멍이 있으며, 세포표면에 미세입자가 존재한다. Type II(E. exstipulata, E. lagunensis, E. bilobata, E. hexagonoides, E. chersonesa)는 종자 표면의 testa cell 사이에 미세과립을 가진다. Type III(E. cyathophora)는 종자의 선단이 뾰족, 세포 표면에는 동심원의 주름을 가진다. Type IV(E. dentata와 E. pentadactyla)는 종부를 갖고 있으며 testa cell 사이에 미세과립이 없다. Type V(E. hexagona)는 둥근 난형으로 세포 간 미세과립이 존재하지 않는다. Type VI(E. eriantha, E. lacera)는 종자의 모양이 사각형이며, 종부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Zygophyllidium절을 E. exstipulata, E. lagunensis, E. bilobata, E. hexagonoides, E. chersonesa만을 포함하는 Type II의 분류군들로 설정하는 것을 제안하며, 전통적으로 Zygophyllidium절에 포함시켰던 E. hexagona는 Poinsettia아속의 E. dentata와 유연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식용식물들이 MCF-7 cell의 chromosome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edible plants on changing chromosomal morphology, and apoptosis of MCF-7 cell)

  • 정용자;곽수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40-348
    • /
    • 2002
  • Capsicum annuum, Lactuca dentata Makino., Equisetum arvense, 들의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 line에서의 항증식효과는 현미경관찰과 세포수 관찰에서 얻은 결과와 거의 동일하게 Chromosome의 condensation, PI염색에서의 핵 변화, 전기영동과 흡광도법을 이용하여 관찰된 세포의 DNA fragmentation 결과에서도 시료에 따른 항종양증식억제효과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즉 그 결과는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 leaves 추출시료틀 첨가한 경우에는 세포증식을 위한 탁상조차도 제대로 되지 않음이 확인되었고, 세포변형과 apoptosis의 일부가 2∼3일후 부터 관찰되었다. chromosome 농축 현상도 시료첨가 37시간에 관찰되었고, PI염색법에서도 시료첨가 3시간에 핵 농축현상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그 핵 농축현상을 배양시간에 따라 농축현상이 더해가다가 48시간에 파쇄현상을 보였다. 이 실험결과에서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의 MCF-7cell은 apoptosis의 형태학적 특징인 chromosome의 degradation과 PI염색법에서 핵의 농축이 발견되었으며 48시간 위 핵파편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기영동을 이용한 세포의 DNA fragmentation관찰에서도 염색체 DNA의 관찰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260 nm 흡광도측정으로 부유층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은 배양초기부터 부유층의 흡광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결과에서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은 MCF-7 cell의 세포사를 유도하여 강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quisetum arvense L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에서도 배양 2∼3일에 세포성장이 억제되고 2일에 chromosome의 condensation과 degradation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apsicum annuum, Lactuca dentata Makino, Equisetum arvense 추출물에서 모두 항암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의 수분과 영양소 구배에 따른 생태지위 중복역 (Ecological Niche Overlap Between Quercus acutissima and Q. dentata with Soil Moisture and Nutrient Gradients)

  • 조경미;설아라;최윤경;김세희;김의주;김윤서;이정민;이주선;김규리;박지원;박재훈;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9-165
    • /
    • 2023
  • 본 연구는 토양의 수분함량과 영양소함량을 4구배로 처리한 후에 나타나는 생육반응의 변화에 따른 낙엽성 참나무 두 종-상수리나무와 떡갈나무-의 생태 지위 중복역을 측정하고 두 종간의 경쟁의 정도를 배열법으로 해석한 것이다. 수분환경 구배에서 두 종의 생태 지위 중복역은 광합성과 관련된 잎 기관에서 높았고, 생물량에서는 낮았다. 영양소 구배에서는 줄기 길이와 같은 식물기하학적 형태적 구조와 관련된 형질에서 높았다. 또한 두 종의 경쟁에서 수분구배의 경우 떡갈나무가 현저히 우세하였으나, 영양소구배에서는 오히려 상수리나무가 떡갈나무보다 약간 우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사한 환경에서 자라는 유사한 분류군이라도 환경의 종류에 따라 식물체의 형질에 대한 반응이 서로 다르게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해남의 김 양식장별 잇바디돌김(Neopyropia dentata) 3품종의 아미노산 성분 분석 (Analysis of the Amino Acids Content of Three Neopyropia Dentata Cultivars under the Two Different Aquafarm Environment in Haenam, Korea)

  • 남혜리;최성제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3호
    • /
    • pp.5-13
    • /
    • 2023
  • 본 연구는 전남 해남군 어란 어장과 임하 어장의 수질을 분석하고, 두 어장에서 양식한 잇바디돌김 3품종의 총 아미노산과 유리아미노산 성분을 조사하였다. 양식기간 중 수온 범위는 22.9℃~10.9℃였다. 수질분석 결과, 어란 어장의 NO2-N는 9월에, NH4-N와 COD는 10월에, NO3-N, DIN, DIP는 11월에 높게 나타났다. 임하 어장의 NH4-N와 COD는 9월에, NO3-N와 DIN은 10월에, NO2-N와 DIP는 11월에 높게 나타났다. 어란 어장에서의 율도 품종은 조지방 함량이 높고, 수품1 품종은 수분이 높았으며, 수품2 품종은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탄수화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임하 어장에서의 율도 품종은 조지방, 조회분의 함량이 높았고, 수품1 품종은 조단백, 탄수화물이 높았으며, 수품2 품종은 수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 분석 결과, 어란 어장에서는 잇바디돌김 3품종 모두에서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aspararic acid, alanine, leucine 순으로 나타났다. 임하 어장에서는 양식된 잇바디돌김 3품종 모두에서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alanine, aspara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분석 결과, 어란 어장에서는 잇바디돌김 3품종 모두 alan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taurine, proline, glutam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임하 어장에서는 잇바디돌김 3종 모두 alan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taurine, proline, aspara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