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Amino Acids Content of Three Neopyropia Dentata Cultivars under the Two Different Aquafarm Environment in Haenam, Korea

해남의 김 양식장별 잇바디돌김(Neopyropia dentata) 3품종의 아미노산 성분 분석

  • Hye Ri Nam (Fisheries Seed Research Institute, Jeollanamdo Institute of Ocean and Fisheries Science) ;
  • Sung Je Choi (Department of Aquacultur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남혜리 (전남해양수산과학원 수산종자연구소) ;
  • 최성제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농수산융합학부)
  • Received : 2023.09.11
  • Accepted : 2023.10.13
  • Published : 2023.10.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water quality of the Eoran and the Imha aquafarm with different aquafarm environments in Haenamn-gun, and analyzed the composition of total amino acids (TAAs) and free amino acids (FAAs) in three Neopyropia dentata cultivars (Yuldo, Supum1 and 2) in two aquafarms. Mean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22.9 to 10.9℃ during September to November 2018. In Eoran aquafarm, the water quality analysis showed that NO2-N was high in September, NH4-N and COD in October, and NO3-N, DIN, and DIP in November. In Imha aquafarm, the water quality analysis showed that NH4-N and COD was high in September, NO3-N and DIN in October, and NO2-N and DIP in November. We confirmed the proximate composition, amino acid composition (TAA/FAA) in two auqufarms. In the Eoran aquafarm, the 'Yuldo' cultivar had significantly higher crude lipid content than two other cultivars (Supum 1 and 2). The 'Supum1' cultivar had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 whereas the highest content of crude protein, crude lipid, crude ash, and carbohydrates was found in the 'Supum2' cultivar. In the Imha aquafarm, the content of crude lipid and crude ash was highest in the 'Yuldo' cultivar. The highest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carbohydrates was found in the 'Supum1' cultivar, while the 'Supum2' cultivar had the highest content of moisture.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glutamic acid belong to TAAs is observed in all cultivars from Eoran and Imha aquafarm, while all cultivars in two aquafarm also contained higher content of alanine among the detected FAAs.

본 연구는 전남 해남군 어란 어장과 임하 어장의 수질을 분석하고, 두 어장에서 양식한 잇바디돌김 3품종의 총 아미노산과 유리아미노산 성분을 조사하였다. 양식기간 중 수온 범위는 22.9℃~10.9℃였다. 수질분석 결과, 어란 어장의 NO2-N는 9월에, NH4-N와 COD는 10월에, NO3-N, DIN, DIP는 11월에 높게 나타났다. 임하 어장의 NH4-N와 COD는 9월에, NO3-N와 DIN은 10월에, NO2-N와 DIP는 11월에 높게 나타났다. 어란 어장에서의 율도 품종은 조지방 함량이 높고, 수품1 품종은 수분이 높았으며, 수품2 품종은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탄수화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임하 어장에서의 율도 품종은 조지방, 조회분의 함량이 높았고, 수품1 품종은 조단백, 탄수화물이 높았으며, 수품2 품종은 수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 분석 결과, 어란 어장에서는 잇바디돌김 3품종 모두에서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aspararic acid, alanine, leucine 순으로 나타났다. 임하 어장에서는 양식된 잇바디돌김 3품종 모두에서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alanine, aspara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분석 결과, 어란 어장에서는 잇바디돌김 3품종 모두 alan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taurine, proline, glutam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임하 어장에서는 잇바디돌김 3종 모두 alanine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taurine, proline, aspara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균. 2020. 물김의 생산 지역과 수확시기에 따른 주요 식품 성분 분석.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pp. 38. 
  2. 권정노, 심정희, 이상용, 조진대. 2013. 낙동강 하구 해양 환경 및 기상 요인이 김(Porphyra yezoensis) 생산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과학지, 46: 868-877.  https://doi.org/10.5657/KFAS.2013.0868
  3. 문찬일, 김길주, 이생동, 정영균. 1995. 한국산 돌김류의 형질 특성에 관한 연구(I). 수진연구보고, 49: 127-140. 
  4. 민지현, 은종방. 2016. 대봉감 퓨레의 첨가량에 따른 감 젤리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48: 54-58.  https://doi.org/10.9721/KJFST.2016.48.1.54
  5. 박춘규, 박철훈, 박정임. 2001. 잇바디돌김의 함질소 엑스 성분조성 및 월별변동.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0: 579-588. 
  6. 박정광, 김은송, 장형석, 김주희. 2018. 2018 국가해양수산생물종 목록집 V 해산식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p. 20. 
  7. 백승연, 김수진, 김다희, 김미리. 2019. 한국산 방사무늬 김과 잇바디돌김의 영양성분, Phytochemicals 및 황산화 활성 비교.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8: 1233-1243.  https://doi.org/10.3746/jkfn.2019.48.11.1233
  8. 오수정, 김정인, 김향숙, 손수정, 최은옥. 2013. 돌김의 조성 특성 및 산화 방지 활성. 한국식품과학지, 45: 403-408.  https://doi.org/10.9721/KJFST.2013.45.4.403
  9. 이해인. 2021. 잇바디돌김 아임계수 추출물의 황산화 활성 및 흰쥐의 혈중 알코올 제거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50: 1275-1281. 
  10. 최성제. 2018. 한국 해남 양식장에서 홍조 잇바디돌김의 성장기 아미노산과 광합성 색소 성분 조서. 수산해양교육연구 30: 1244-1225. 
  11. 홍재상, 송춘복, 김남길, 김종만, 허형택. 1987. 광양만의 김 생산과 양식장환경과의 관계에 대하여. 한국수산과학지 20: 237-247. 
  12. 황미숙. 1994. 한국산 홍조류 김속 식물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pp. 277. 
  13. Brodie J, Hayes PK, Barker GL, Irvine LM. Bartsch I. 1998. A reappraisal of Porphyra and Bangia (Bangiophycidae, Rhodophyta) in the northeast atlantic based on the rbcL-rbcS intergenic spacer. Journal of Phycology 34: 1069-1074. https://doi.org/10.1046/j.1529-8817.1998.341069.x
  14. Gall EA, Chiang YM, Kloareg B. 1993. Isolation and regeneration of protoplasts from Porphyra dentata and Porphyra crispata. European Journal of Phycology 28: 277-283.  https://doi.org/10.1080/09670269300650391
  15. Kikuchi N. 2006. Studies on the morphology and life history of Bangiophycidae (Rhodophyta) from Japan. Ph.D. thesis. Yosu National University, pp. 230. Yeosu, Korea. 
  16. Kim NG. 2011. Culture study on the hybrid by interspecific crossing between Porphyra pseudolinearis and P. dentata (Bangiales, Rhodophyta), two dioecious species in culture. Algae 26: 79-86.  https://doi.org/10.4490/algae.2011.26.1.079
  17. Lee JH, Yoon JM. 2006. Genetic differences and variations in two Porphyra species (Bangiales, Rhodophyta). Journal of Aquaculture 19: 67-76. 
  18. Miura A. 1988. Taxonomic studies of Porphyra species cultivated in Japan, referring to their transition to the cultivated variety. Journal of the Tokyo University of Fisheries 75: 311-325. 
  19. Miura A, Aruga Y. 1987. Distribution of Porphyra in Japan as affected by cultivation. Journal of the Tokyo University of Fisheries 74: 4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