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services utilization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13-18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Dental Fear Survey 척도를 이용한 치과공포도 및 그 관련요인 분석 (ANALYSIS OF DENTAL FEAR AND ITS RELATED FACTORS USING DENTAL FEAR SURVEY AMONG 13 TO 18 YEAR OLDS)

  • 최준선;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8-126
    • /
    • 2008
  • 치과공포는 치과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방해요인 중 하나로, 정기구강검진이나 반드시 받아야 하는 치료를 피하게 만들어 구강건강상태를 악화시키며, 많은 치과의료인력에서 환자의 행동을 조절하는데 실패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치과공포는 구강건강증진과 진료 효율성 측면에서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이에 저자는 만13세 이상 18세 이하인 청소년 총 313명을 대상으로 Dental Fear Survey 척도를 이용하여 치과공포도를 측정하였고, 치과공포와의 관련된 요인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치과공포도는 구강건강상태가 좋은 선진국과 비교할 때 높은 수준이었다. 2. 진료동안 가장 강하게 경험한 생리적 반응은 '근육긴장'이었고, 치과공포를 유발하는 주된 자극요인은 '마취주사기'와 '치아삭제용 드릴'로 나타났다. 3. 치과공포도가 높을수록 치과의료서비스 이용 횟수가 적었고, 정기구강검진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자가 인지한 구강병 증상도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치과공포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접통증경험과 치과의사에 대한 신뢰도로 나타났다.

  • PDF

대학치과병원 예방치과운영 전·후의 환자진료행태와 진료비용 변화 (Changes in treatment behavior and cos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preventive dentistry in university dental hospital)

  • 홍효경;최성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07-716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high-quality dental services. In addition, we will promote the operation of preventive dentistry that implements preventive measures. It was conducted to study the change of patient's treatment behavior and treatment cost due to the discontinuation of preventive dentistry in university dental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data using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of the C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September 1, 2017 to August 31,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using SPSS version 24.0 statistical program, and T-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reventive dental treatment cases from 58.3% of preventive dental operation periods to 41.7% of preventive dental operation period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dical expenses, the total medical expenses during the preventive dental operation period decreased from 521,308,872 won to 379,724,995 won during the discontinuation period, 141,583,877 won. The number of medical treatments by treatment behavior decreased 3,835 (28.4%) from a total of 13,520 preventive dental operation periods to 9,685.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treatment behavior and the change in the cost of treatment due to the discontinuation of the operation of preventive dentistry at university dental hospitals.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lack of accessibility and the limitation of professional preventive care due to the discontinuation of preventive dentistry.

앤더슨 뉴만모형을 이용한 아동의 치과의료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CHILDREN'S DENTAL UTILIZATION: AN APPLICATION OF THE ANDERSEN MODEL)

  • 김수남;이흥수;김경회;김대업;박득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62-170
    • /
    • 1998
  • 아동의 치과의료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아동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이해를 증진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전라북도 익산시에 거주하는 아동과 그들의 모친 1907쌍을 대상으로 앤더슨-뉴만 모형을 적용하여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사방법은 자기개별 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법이었다. 모형에 의한 종속변수는 아동의 치과의료이용횟수였고, 독립변수는 소인성 요소, 가능성 요소 필요성 요소로 구분 된 39개 요인이었다. 소인성 요소는 인구 및 사회 경제학적 요소, 모친의 영향 요소, 아동 자신의 요 소로 세분된 32개 요인이었고 가능성 요소는 월 평균 세대소득 등 6개 요인, 필요성 요소는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약 및 활동불능일수였다. 아동의 치과의료이용행태에 대한 앤더슨-뉴만 모형의 설명력은 25%였다. 소인성 요소가 가능성 및 필요성 요소보다 아동의 치과의료용회수에 대한 설명력이 더 컸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변수는 치 의사에 대한 가치, 모친의 구강건강신념 중 감수 성, 아동의 구강건강신념 중 감수성과 유익성 및 장애도, 아동의 학년, 출생순위, 진료비에 대한 부담, 단골구강진료기관유무,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약 및 활동불능일수였다. 모친의 교육수준, 사회경제적지위, 가족수 등 12개 요인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모친의 치과의료이용횟수였고, 아동의 구강병으로 인한 활동제약 및 활동불능일수, 아동의 구강건강신념 중 감수성, 단골구강진료기관유무 등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이 아동의 치과의료이용에는 모친의 영 향이 매우 크며 다른 연령층과는 달리 소인성 요소에 속하는 요인들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동의 적절한 치과의료이용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모친의 행동이 중시되어야 하며, 모친과 아동을 함께 고려하는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치과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환자 기대도 조사연구 (A Study on the Patient's Expectation Toward Quality Care of Dental Services)

  • 최준선;이시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9
    • /
    • 2002
  • 2001년 4월 25일부터 6월 9일까지 서울시내 치과대학 병원 2곳과 서울시내 치과의원 2곳을 임의적으로 선정하여 그 곳에 방문한 환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치과 병 의원에 방문한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치과 의료 환경에 대한 기대, 치과 인력에 대한 기대, 편의시설에 대한 기대, 치과정보에 대한 기대, 예약/정산에 대한 기대, 대기시간에 대한 기대로 구성되어 있다.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치과의료서비스 기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과 의료서비스의 기대도 분석결과는 치과 병 의원의 환경에 대한 기대와 인력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치과 의료서비스의 각 요인별 기대수준은 다음과 같다. 1) 환경에 대한 기대요인 중 '치과 의료기관의 편리한 교통'의 기대가 가장 높았다. 2) 인력에 대한 기대요인 중 '치과의사의 친절'의 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3) 편의시설에 대한 기대요인 중 '어린이만을 위한 시설'에서 기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치과정보제공에 대한 기대요인 중 '치료방법 및 치료비 설명'에서 기대가 가장 높았다. 5) 예약/정산에 대한 기대요인 중 '예약/정산의 신속성'에서 기대가 가장 높았다. 6) 대기시간에 대한 기대요인 중 '대기시간을 알려주는 배려'에서 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3.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총 치과 의료서비스 기대분석 결과로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연령이 낮아질수록,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치과의료서비스의 기대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소득의 증대와 의료서비스 이용의 기회가 증가하면서 의료에 대한 개념이 바뀌고 고객들이 원하는 요구도 매우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이에 맞추어 치과 병 의원은 치료서비스 이외에 환자가 요구하는 여러 가지 부가적인 서비스를 포함하여 포괄적인 개념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그리고 병원자체의 의료서비스 평가를 통해서 고객의 기대와 실제로 환자에게 제공된 의료서비스간의 갭을 파악하고 그 갭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향으로 노력하여 고객만족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

  • PDF

우리나라 치과 외래의료비 지출규모와 치과 외래의료비 지출에 미치는 요인 (Expenditure in ambulatory dental care and factors related to its spending)

  • 김혜성;김명기;신호성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7-224
    • /
    • 2012
  • This study estimates the total health expenditure of ambulatory dental care and explores the factors related to disbursements. The study used two waves of a 2008 Korea Health Panel (KHP) survey, of which each wave is composed of 7866 households and 24,659 persons. The KHP includes missing expanses of reimbursement data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such as out-of-pocket, drugs, and private health insurance. The study estimates total monthly ambulatory dental expenditure and the sub-special categories of dental care. For influential factors analyses, the study exploits log-linear model with age, gender, education, job, equivalence income, the status of chronic diseases, means-tested benefit recipients, private insurance, and the composite deprivation index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total monthly outpatient health spending is estimated to be 102,468 won per household, and for dental, each household spends 31,115 won per month. Older age, means-test recipients, non-regular workers are more likely to spend less money on dental care, whereas private insurers, high income, and those who live in less deprived areas are more likely to spend more money for dental services. From the study we found that the KHP data are more suitable to estimate the total amount of health care markets, especially when the NHI coverage is low, such as for dental care in Korea.

치의학분야 3D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인·허가전략과 과제 (Licensing strategies and tasks for medical devices utilizing 3D printing technology in dentistry)

  • 신은미;양승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9호
    • /
    • pp.479-490
    • /
    • 2018
  • 3D printing technology supporting the specific patient medical services is actively being implemented in denti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onsiderations to the medical practitioners in dentistry who must observe when they manufacture medical devices using 3D printers, and to provide a ways to activate and enhance their utilization in the domestic approval point of view for medical devices. Through the public data of government agenc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the statutory system and compliance matters related to the manufacture of 3D printing medical devices have been examined and reviewed for the government's improvement efforts. Through the study, the government has been actively improving the system and making policy, but the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medical professionals and related workers are continually required to solve the problems which are scattered. 3D printing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more frequently utilized in the field of dentistry in near futur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measures to improve the regulation through continuous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ministries with the long-term point of view enhancing smooth entry to the market for the medical devices by taking data from the continued research.

  • PDF

국내 거주 외국인의 한국형 구강건강정보 이해능력 (Oral health literacy among foreign residents in South Korea)

  • 김현경;정주희;노희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79-891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ral health literacy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regarding their utilization of dental clinic services and oral care products. Methods: This study measured the oral health literacy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at were distributed among 145 foreign students in Seoul and 153 Korean students in Wonju, Gangwon province. The questionnaire is used to assess the oral health literacy with a total of 92 questions including 30 questions on linguistic oral health literacy, and 40 questions on functional oral health literacy (sentence translation ability 27 questions, document decoding ability 13 questions), and 22 question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est, ${\chi}^2$, independent t-test, and ANOVA with p-value of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linguistic oral health literacy awareness score was doubly lower in foreign students $20.5{\pm}22.4%$ than Korean students $53.9{\pm}18.4%$ (p<0.05), three word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less than 10% of all the foreign and Korean students. Correct answer rate of sentence translation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questions by foreign students $26.7{\pm}27.1%$ and Korean students $99.0{\pm}2.3%$ (p<0.05). Correct answer rate of document decoding ability showed a relatively small difference between foreig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with $54.7{\pm}33.1%$ and $87.3{\pm}8.7%$, respectively, bu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questions (p<0.05). Oral health literacy according to residence period and Korean language class level of foreign students were the most correlated among the other variables (p<0.05). Conclusions: Dental terminology wa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understand regardless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vels, so it is recommended and needed to express dental clinical terms in simple layman's term or to use illustrations to dental patients. In case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interpretation services are needed. Additionally, labels and instructions of oral hygiene products retailed in Korea with the consideration for foreigners are required.

한국 성인의 미충족 치과 치료와 DMFT index와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and the DMFT index among Korean adults)

  • 정선영;조자원;정윤숙;김혜영;김지영;최연희;송근배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1권4호
    • /
    • pp.267-273
    • /
    • 2017
  • Objectives: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are one of the potential contributing factors to poor oral health because oral health problems worsen if left untreated.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prevalence of and the causes for unmet dental needs,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and oral health status. Methods: Data on 3,883 subjects aged ${\geq}18years$ from the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2006 were analyzed. Information regarding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was obtained using standardized questionnaires. Eight trained dentists examined decayed, missing, or filled teeth (DMFT).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built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and the DMFT scores. Results: The prevalence of perceived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was 34.7% among the adult Korean population. Economic constraints were the main cause (38.6%) for unmet dental needs. The average DMFT scores were higher in the subjects with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than in those without. In individuals with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within the past 1 year, the number of decayed teeth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was likely to be greater by 0.58 and that of missing teeth by 0.27 compared to that in their counterparts with no unmet dental needs in the past 1 year. Conclusions: Perceived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oral health status among the adult Korean popul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unmet needs for dental treatment on an individual's oral health status by investigating critical variables of the causal pathways among perceived dental needs, dental care utilization, and oral health status.

교직원의 공무상 요양급여제도 이용 현황 (The Utilization of Medical Care Benefits of School Personnel on Duty)

  • 이희우;신선미;김주자;강세원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7-117
    • /
    • 2008
  • Purpose: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medical care benefits of school personnel on duty in Seoul. Method: The subjects were 551 workers under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male 301, female 250) who got medical care benefits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05. To analyze the data, frequency, chi-square test, and t-test by SAS package 9.12 were used. Result: The results show that elementary school personnel got the highest ranking, 314(57.0%). Among subjects, 57.2% personnel got accident when they were working on their own duty, 21% during school events and 13.5% were during commutes. They got medical care from orthopedics 75.9%, neurosurgery 7.6%, dental 4%, and 8 male and 2 female died during these days. The most frequent diseases of males and female were fracture and joints related disease. The reason of most health problem was due to injury(92.3%).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tinuous health care services like regular health check for school personnel, or social safety network to prevent injury are needed.

임산부의 임신 전과 임신 중의 구강건강관리 행태 비교 (Comparison of Oral Care Patterns Before and During the Pregnancy)

  • 박지현;이경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3-278
    • /
    • 2011
  • 이 연구는 임산부의 임신 전과 임신기간 중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실태와 지식, 실천행위, 구강건강신념 및 치과의료이용 양상을 비교분석하여 임산부의 구강질환 예방과 건강한 구강건강관리 행태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그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으며, 2010년 4월 1일부터 4월 29일까지 대구광역시와 경상남도 창원시에 소재한 9개 산후조리원에서 출산 후 산후조리를 하고 있는 산모 291명을 최종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잇몸출혈 경험여부에서 임신 전 잇몸출혈이 있는 경우가 45.0%이었고, 임신 중의 잇몸출혈 경험률이 55.7%였다. 2. 대상자의 평균 잇솔질 횟수는 임신 전은 3.05회이고, 임신 중에는 2.99회 였다. 3. 연구대상자 중에서 임신기간 중 치과치료 경험이 있는 사람이 17.5%였다. 4. 구강건강지식 점수는 10점 만점에 7.82점 이었고, 구강건강 실천행위점수는 10점 만점에 임신 전은 5.38점, 임신 중에는 5.14점 이었다. 5. 치과의료이용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임신 전 사전구강관리(p<0.01), 구강질환에 의한 활동제약 경험(p<0.01), 구강건강관심도(p<0.05), 단골치과 유무(p<0.01)등이 치과의료이용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임신기간 중의 구강건강관리 행태는 임신 전보다 구강건강관리 실천율이 낮았음을 알 수 있다.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교정하고, 임신 중 구강보건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