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infection

검색결과 655건 처리시간 0.025초

치과위생사와 치위생과 학생의 B형 간염에 대한 지식과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Hygiene Students about Hepatitis B)

  • 김정숙;최미혜;강은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3-239
    • /
    • 2008
  • 본 연구는 진료의 특성상 B형 간염에 노출될 위험성이 매우 높은 치과진료실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와 치위생과 학생의 B형 간염에 대한 지식과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B형 간염에 대한 예방과 감염관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현재 자신의 B형 간염에 대한 HBsAg과 HBsAb 상태 인식은 치과위생사 115명(32.5%)으로 치위생과 학생 57명(15.6%)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 2. B형 간염 예방접종 유무 조사에서 치과위생사는 254명(71.8%), 치위생과 학생은 173명(47.3%)이 받았다고 응답했으며, 치과위생사가 치위생과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 3. B형 간염 예방 접종을 받은 사람 가운데 언제 접종했는지 접종시기를 물은 결과 '5년 이내'라고 응답한 경우는 치과위생사 158명(62.2%), 치위생과 학생 70명(40.5%)으로 치과위생사가 높게 나타나, B형 간염에 대한 인식을 치과위생사가 높게 하고 있었으며, 3회 완전접종 여부는 치과위생사는 130명(51.2%)이, 치위생과 학생은 44명(25.4%)이 받은 것으로 나타나 치과위생사가 높게 나타났다(p=.000). B형 간염 예방접종 후 항체형성여부를 확인했는지를 묻는 질문에 치과위생사는 152명(59.8%)이, 치위생과 학생은 44명(25.4%)이 응답 해 치과위생사가 높게 나타났다(p=.000). 4. B형 간염에 대한 감염 경로를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확인한 결과 혈액에 의해서(p=.030), 성관계(p=.000), 오염된 주사바늘(p=.003), 양성인 어머니 출산과정(p=.000), 칫솔과 면도기(p=.000), 술잔 돌리기(p=.000)에 의해서 등 항목에서 치과위생사가 치위생과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치과위생사와 치위생과 학생의 건강 정도에 따른 B형 간염 감염 경로에 대한 지식 차이는 '건강하지 않은 경우' 치과위생사($5.12{\pm}1.36$)와 치위생과 학생($4.60{\pm}1.55$) 모두에서 B형 간염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은 '보통이다'와 '건강하다'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6. B형 간염과 관련하여 가족의 기왕력에 대한 인식률을 조사한 결과 간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있다는 항목에 치과위생사는 14명(4.0%)이, 치위생과 학생은 9명(2.5%)이 응답했으며, 간질환을 앓은 경험이 있는 사람이 있다는 항목에는 치과위생사 3명(0.8%), 학생 7명(1.9%)이, 그리고 간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이 있다는 항목에는 치과위생사 12명(3.4%), 학생 16명(4.4%)이 응답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수도권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인식조사 (A Survey on Recognition of H1N1 Influenza in some Undergraduates for the Health Division in Metropolitan Area)

  • 황선희;임미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19-524
    • /
    • 2009
  •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식정도와 자기 효능감, 감염의 심각성, 행동의도를 조사해 보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여학생이 57.0%이었으며, 전공은 치위생과 학생이 56.8%로 가장 많았으며,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교육경험은 78.1%가 받아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2.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식은 '신종인플루엔자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전염될 수 있다(94.6%)', '젊고 건강한 사람도 아이나 노인과 같이 신종인플루엔자에 감염될 수 있다(93.4%)', '열이 37.8도가 넘으면 신종인플루엔자 감염이 의심된다(93.2%),' '신종인플루엔자는 주로 감염된 사람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감염된다(91.3%)' 등의 항목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였고, '신종인플루엔자는 조류인플루엔자와 동일한 것이다(16.3%)', '돼지고기를 잘못 먹으면 신종인플루엔자에 감염될 수 있다(20.5%)', '보통 독감백신주사를 맞으면 신종인플루엔자를 예방할 수 있다(25.6%)' 등의 항목은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식을 점수화하면 평균은 7.8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성별에 따른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4. 성별에 따른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감염의 심각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 0.01). 5. 성별에 따른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행동의도는 '아는 사람이 신종인플루엔자에 걸리면 만나는 것을 고려해 볼 것이다'가 남학생 3.79점, 여학생 3.98점으로 여학생이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P < 0.05), '신종인플루엔자가 발생한 지역은 여행이 망설여진다'는 남학생 3.93점, 여학생 4.07점으로 여학생의 행동의도가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P > 0.05).

  • PDF

치과 수술에서 유경 협지방대의 이용: 증례보고 (The Use of Pedicled Buccal Fat Pad Graft in Dental Surgery: Case Reports)

  • 김영균;윤필영;이창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1권9호통권412호
    • /
    • pp.637-646
    • /
    • 2003
  • Euccal fat pad is special fat tissue which is different from subdermal fat. Anatomically, buccal fat pad is easy to harvest in the course of dental surgery procedure. In 1802, it was introduced by Bichat, Since Egyedi used buccal fat pad flap for the closure of oro-antral fistula and oro-nasal fistula, it has been widely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the reconstruction of small to medium-sized intraoral defects in oral and mzxillofacial surgery. Kim et al. reported successful results in the all cases they applied buccal fat pad for the reconstruction of intraoral defect from their 31 months follow-up data. Because intraonal wounds are difficult to complete the layered suture and there are high risks of infection related with wound dental implant surgery, double layer closure using some kind of local flaps or other procedure is recommended. So we are to introduce the useful applications of the pedicled buccal fat pad in the dental surgery procedure from the various case presentations.

  • PDF

치과대학 임상 시뮬레이션 실습실 치과용 유니트 수계의 세균 오염도 조사 (Bacterial Contamination of Dental Unit Water Systems in a Student Clinical Simulation Laboratory of College of Dentistry)

  • 윤혜영;이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2-237
    • /
    • 2015
  • 이 연구는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학생들의 임상실습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DCU에서 배출되는 물 속 종속영양세균의 수준을 평가하면서 사용빈도에 따른 세균 오염수준의 차이를 확인하고 기회 감염성 병원균의 존재를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임상 실습실에서 사용되는 DCU 36개를 대상으로 초음파치석제거기에서 물 시료를 수집하여 평균 CFU/ml를 조사하고 초음파치석제거기의 한달 사용빈도에 따라 DCU를 세 집단으로 분류하여 세균오염수준을 비교하였다. 또한 수집한 물 시료에서 세균의 genomic DNA를 추출한 후 PCR 분석을 통해 기회감염성 병원균의 존재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 실습에 사용한 DCU에서 수집한 물 시료의 평균 종속영양세균수준은 16,095 CFU/ml로 ADA에서 권장하는 200 CFU/ml 이하의 수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초음파 치석제거기의 한 달 사용빈도에 따라 3집단으로 나누어 CFU/ml를 조사하였을 때, 초음파치석제거기를 한 달에 1번 이상 3번 미만 사용한 DCU에서 평균 CFU/ml가 20,070 CFU/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번 이상 사용한 유니트는 CFU/ml 평균이 8,420 CFU/ml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3개군의 CFU/ml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을 보여주었고(p<0.05), 그 중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CFU/ml를 보여주었다. 치과에서 사용하는 DCU에 존재하는 기회감염성 병원균이 학생실습에 사용하는 DCU에서도 분리되었다. 36개의 genomic DNA 시료 중 1개의 시료에서 Pseudomonas species가 검출되었고, 2개의 시료에서 비결핵성 Mycobacterium species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학생실습용으로 사용되는 DCU는 학생들과 대상자에게 잠재적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실습 전 학생들의 보호장비 착용과 실습 후 수관관리가 필요하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신종인플루엔자 인식도 및 예방태도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attitude in an influenza A (H1N1))

  • 이향님;심형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1-311
    • /
    • 2011
  • Objectives : In order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influenza A (H1N1) having currently high frequency and risk as an infectious disease, to find problems and to reflect them on curriculum improvements from students before/after clinical practices. Methods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79 dental hygiene students of 1st and 2nd years at G health college university from December 6th 2010 to December 10th 2010. The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awareness of influenza A (H1N1), preventive attitud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 1. 1st year was 51.6%, the case having dental experience was 51.2%, in the infection control training experience 'had' was 46.6%. In the route acquiring the information, the mass media was 70.6%, in obtained information, personal hygiene was 82.1%. In the impact on human body, 'great impact' was 58.1%. In terms of the most need for response and preparedness, vaccination was the highest, 67.4%. People who experienced influenza A (H1N1) were 10.7%. 2. Awareness of influenza A (H1N1) was 0.71 points, and treatment and spreading mechanism was 0.78 points, prevention was 0.63 points, causes and definition was 0.53 points. 3. In the attitude for infection prevention of influenza A (H1N1), 'washing hands before practice' was the highest, 0.99 points and 'wear the mask only in case of contact with patient within 1~2 meters upon occurrence of no aerosol' was the lowest, 0.72 points. 4. Awareness of influenza A (H1N1)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upon the impacts on systemic health (p<0.05). Preventive attitude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clinical experience, experience in infection control training, acquiring rmation routes, the possibility for occurrence, impact on systemic health, the most need for prevention, experience in influenza A (H1N1) (p>0.05). 5. The significantly correlated between awareness of influenza A (H1N1) and preventive attitude(p<0.01). Conclusions : Information and preventive attitude for influenza A (H1N1) as well as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to identify actual affecting factors and to improve the practice are needed. Also government's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예비치과위생사의 임상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dental hygiene student experiences of clinical practice : Focus group interview)

  • 문상은;홍선화;이보람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09-419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basic resource on the role of dental hygienists. It also intend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future dental hygienists by analyzing the clinical roles of currently practicing dental hygienists through the perspectiv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nd it involved 11 participants enrolled between November 20, 2019 and January 20, 2020. Methods: The analysis was done in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n total 11 participants from November 20, 2019 to January 20, 2020. Results: They were exposed to various types of learning. They did not have a sense of belonging, and they experienced the burden of self-learning. They experienced work burden beyond the legal work boundary and a lack of infection control by clinical institutions. They were not respected as professional workers, and they had poor working conditions. Their expertise was not recognized. Conclusions: This study will facilitate appropriate awareness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dental hygienists by critically evaluating their challenges and working conditions and presenting alternatives.

Improved Cleaning Method for Dental Instruments

  • Kim, In-Geol;Lee, Yun-Ji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3권2호
    • /
    • pp.26-33
    • /
    • 2010
  • We searched at the "PubMed.gov" and "jendodon.com" sites to conduct a literature review on dental instruments that are reused in clinical settings and on infection control involving pre-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cleaning/rinsing. The keyword "dental clean" was used for the Web search. We found the present official definition of instrument cleaning performed prior to 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rather limiting ("removal of foreign matter (soil, organism, etc.) from the instruments"). Thus, we proposed to expand the definition to include the removal of oils applied to protect the metallic instruments and from corrosion, stains, and rust resulting from the frequent reuse of the instruments. Clinicians are found to clean their dental instruments (a) immediately after treating their patients or (b) following their treatment but not immediately afterward. In the latter case, we recommend presoaking to be added. Ultrasonic sterilization of 5~15 minutes i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terms of eliminating residual matter from the instruments compared to other methods. To check on the cleaning results, we recommend visual inspection, which can be quick and practical in clinical settings. The latest products being developed and marketed on the market address the related problems. Nonetheless, research must be continued on the effects of presoak, cleaning/rinsing, disinfection, and high-temperature or heating-based sterilization on the dental instruments and on dental clinicians' practices in cleaning,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We advise dental clinicians to select the proper cleaning methods and detergents for their instruments to help eliminate or prevent corrosion, staining, and rusting,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s, and to ensure user-friendly instruments/apparatuses.

  • PDF

Lemierre's Syndrome Originated from the Odontogenic Infection: A Case Report

  • Park, Chang-Joo;Hwang, Kyung-Gyun;Chang, Kun-Soo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5권2호
    • /
    • pp.88-92
    • /
    • 2012
  • Also called necrobacillosis or postanginal sepsis, Lemierre's syndrome (LS) is an uncommon but potentially lethal complication of odontogenic infection. A 27-year-old male diagnosed with Ludwig's angina was transferred from a local hospital due to continuous fever and chills after incision and drainage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swelling of both submental and submandibular area subsided, but the fever and chills persisted. While generalized malaise improved, sepsis developed together with the deterioration of liver function. The chest computed tomography scan revealed multiple cavitations throughout both lungs, which were diagnosed as septic pulmonary embolism. After consulting the department of infectious disease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intravenous antibiotics focusing on vancomycin and additional antibiotics. After 3 weeks of treatment, the patient recovered completely. Despite its decreased mortality, dentists are not familiar with LS, and it is difficult to diagnose correctly. In this paper, we report a case and present a review of literature.

심한 근관 감염에서의 항생제 선택 (Antimicrobial choice of severe endodontic infection)

  • 조주연;하정홍;진명욱;김영경;김성교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7호
    • /
    • pp.425-431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penicillin as a still drug of choice for severe endodontic infection, by analyzing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from endodontic infections with swelling to figure out appropriate antibiotics as empirical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involved 18 patients who attended for emergency treatment because of facial or periapical swelling associated with root canal infections. Identific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of each pathogen were performed by Vitek2 Systems (bioM$\acute{e}$rieux, Marcy l'Etoile, France). Results : The most frequent bacteria was Streptococcus spp.(77%), and the resistance against penicillin was 35% in overall patients, followed by clindamycin and erythromycin (17%), which was much higher than previous studies. Conclusions : In our study, the higher resistance made penicillin alone not to be chosen as the first antibiotic drug for severe endodontic infections. Combinations with other drug, penicillin with wider spectrum of activity, or changing to other antibiotics was considered while remembering the increased risk of resistant microorganism.

소아의 치성감염에 관한 분석연구 (ANALYSIS OF ODONTOGENIC INFECTION IN CHILDREN)

  • 김성오;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6-117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의 치아우식증이 치은농양 및 봉와직염으로 진행될 수 있는 위험요소들을 분석하여 소아에서 이 질환의 성격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함이다. 1991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 7,936명을 대상으로 치성감염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소아의 치은농양과 봉와직염의 원인은 대부분이 유치였다. 2. 치은농양의 원인치아는 상악에서 A, D, B, C의 순으로, 하악에서 D, E, A, C의 순으로 호발하였다. 3. 봉와직염의 원인치아는 상악에서 D, A, E, B, C의 순으로, 하악에서 D, E의 순으로 호발하였다. 하악 A, B, C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4. 소아에서 치성감염의 발생은 기후와는 관계가 없었다. 소아의 치아우식증은 중증의 질환을 유발시킬 위험성을 갖고 있는 질환으로 반드시 치료 해야 하고, 예방적인 치아우식증의 치료도 권장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