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health behavior

검색결과 874건 처리시간 0.023초

근로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요인 -경남지역 남성 성인근로자를 중심으로- (The Factors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of workers -Industrial workers in Gyeong-Nam province-)

  • 차정단;장경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04-4611
    • /
    • 2012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27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신건강지수, 연령, 식생활 행동, 구강건조증의 4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중 전신건강지수와 식생활 행동은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연령과 구강건조증은 부적 영향을 미쳐, 전신건강지수가 높고, 좋은 식생활 행동을 가질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으며, 연령이 낮고, 구강건조증이 없을수록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근로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힘을 써 구강질환이 발생되기 전에 예방하고 나아가 근로자의 건강과 구강건강영향지수를 향상 시켜야 할 것이다.

일부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탄력성과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연관성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and Self-Resilience, Oral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Some High School Students)

  • 지민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69-7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탄력성과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규명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생 287명으로 하였고, 연구도구는 본 목적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한 구조화된 무기명 개별자기기입법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Pearson correlation,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등으로 분석하였다.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과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은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자아탄력성과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도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어머니 학력, 과거 구강건강행동,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은 32.3%의 설명력으로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구강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연관성이 있으므로 이를 접목하여 향상시킬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활성화 증대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ssessment of Cellular Proliferation in Oral Verrucous Carcinoma and Well-Differentiate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Using Ki67: A Non-Reliable Factor for Differential Diagnosis?

  • Zargaran, Massoumeh;Eshghyar, Nosratollah;Baghaei, Fahimeh;Moghimbeigi, Abba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811-5815
    • /
    • 2012
  • Background: Non-invasive oral verrucous carcinoma (OVC) and invasive well-differentiate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have similar histopathologic findings but different biological behavior. These two malignancies must be correctly differentiated by pathologis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mmunohistochemical (IHC) expression of Ki67 in OVC and well-differentiated OSCC. Methods: Expression of Ki67 was evaluated by IHC in 15 cases of epithelial hyperplasia with no dysplasia (A group), 15 cases of OVC (B group), 12 cases of microinvasive OSCC(C group) and 15 cases of well-differentiated OSCC (D group).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i67 expression based on pattern distribution of immunostaining positive cells, with quantitative and semi-quantitative analyses, among the four groups ; also, between A group and each of the other three groups (P=0.0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 and C, C and D, and B and D groups (P>0.05). Conclusions: The three evaluation methods of Ki67 expression showed Ki67 (Mib-1) is not a good immunohistochemical marker to assess invasion status and differentiate OVC from well-differentiated OSCC; also, it cannot be used as a diagnostic tool to distinguish between variants of OSCC with similar grade.

Comparative efficacy of three topical anesthetics on 7-11-year-old children: a randomized clinical study

  • Dasarraju, Rupak Kumar;SVSG, Nirmala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0권1호
    • /
    • pp.29-37
    • /
    • 2020
  •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three intraoral topical anesthetics in reducing the injection needle prick pain from local anesthetic among children aged 7-11 years old. Methods: It is a prospective, Interventional, parallel design, sing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in which subjects (n=90) aged 7-11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based on an inclusion criteria.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computer-generated randomization with an allocation ratio of 1:1:1. Groups A, B, and C received benzocaine 20% jelly (Mucopain gel, ICPA health products Ltd, Ankleshwar, India), cetacaine anesthetic liquid (Cetylite Industries, Inc, Pennsauken, NJ), and EMLA cream (2% AstraZeneca UK Ltd, Luton, UK), respectively, according to manufacturer's instructions, for 1 minute prior to local anesthetic injection. After application of topical anesthetic agent, for all the groups, baseline pre-operative (prior to topical anesthetic administration) and post-operative scores (after local anesthetic administration) of pulse rate was recorded using Pulse oximeter (Gibson, Fingertip Pulse Oximeter, MD300C29, Beijing Choice Electronic). Peri-operative (i.e.,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local anesthesia) scores were recorded using Face, Legs, Activity, Cry, Consolability (FLACC) Scale, Modified Children hospital of Eastern Ontario Pain Scale (CPS) behavior rating scale, and Faces Pain Scale (FPS-R) - Revised (For self-reported pain). Direct self-reported and physiological measures were ascertained using FPS-R - Revised and Pulse oximeter, respectively, whereas CPS and FLACC scales assessed behavioral measures. To test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a one way ANOVA with post hoc tests was us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 two-tailed probability value of P < 0.05 was considered as significant. Results: The Cetacaine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pain scores for self-report (P < 0.001),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measures (P < 0.001) than the other two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enzocaine group and EMLA group during palatal injection prick. Conclusion: Cetacaine can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topical anesthetic agent compared to benzocaine 20% jelly (Mucopain gel) and EMLA cream.

양극산화와 열수처리한 순수 니오비움 금속의 생체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compatibility of Anodized and Hydrothermally Treated Pure Niobium Metal)

  • 원대희;최운재;이민호;배태성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9-88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urface properties of electrochemically oxidized pure niobium by anodic oxide and hydrothermal treatment technique. Niobium specimens of $10\times10mm$ in dimension were polished sequentially from #600, #800, #1000 emery paper. The surface pure niobium specimens were anodized in an electrolytic solution that was dissolved calcium and phosphate in water. The electrolytic voltage was set in the range of 250 V and the current density was 10 $mA/cm^2$. The specimen was hydrothermal treated in high-pressure steam at 300$^{\circ}C$ for 2 hours using an autoclave. Then, specimens were immersed in the Hanks' solution with pH 7.4 at 37$^{\circ}C$ for 30 days. The surface of specimen was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energy dispersive X-ray microanalysis(EDX), potentiostat/galvanostat test, and cytotoxicity test. The results obtained was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 of measuring corrosion behavior at 0.9% NaCl, corrosion resistance was improved more specimens treated with anodic oxide than in hydrothermal treated ones. The multi-porous oxide layer on surface treated through anodic oxidation showed a structure that fine pores overlap one another, and the early precipitation of apatite was observed on the surface of hydrothermal treated samp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DX after 30 days deposition in Hanks' solution, Ca/P was 1.69 in hydrothermal treated specimens. In MTT test, specimens treated through anodic oxidation and hydrothermal treated ones showed spectrophotometer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u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ytotoxicity was observed (P>0.05).

  • PDF

Dryness of Mouth: A More Valuable Predisposing Factor of Self-perceived Bad Breath than Mechanical Cleansing in Dental Students

  • Ok, Soo-Min;Kim, Kyung-Hee;Heo, Jun-Young;Ahn, Yong-Woo;Jeong, Sung-H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0권2호
    • /
    • pp.41-46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among oral hygiene habits, dryness of mouth, and self-perceived oral malodor and therefore to find out self-care methods which could be a help to reduce oral malodor. Methods: A survey of 296 dental undergraduate students of School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who wrote consents voluntarily 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7 questions and analyzed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among oral hygiene habits (frequency of tooth brushing, water gargling, and drinking water, etc.), dryness of mouth indicating the amount of salivary secretion, and self-perceived oral malodor.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chanical cleaning factors and self-perceived oral malodor. The factor showing a strong correlation with severe self-perceived oral malodor was dryness of mouth (p=0.000). Conclusion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echanical cleaning habits and self-perceived oral malodor. Participants who felt self-perceived oral malodor more tended to have rather good mechanical cleaning habits. The factor showing a strong correlation with severe self-perceived oral malodor was dryness of mouth. Therefore trying to increase salivary secretion is considered to be a help to reduce self-perceived halitosis.

내부마케팅이 치과위생사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nal Marketing on Customer Orientation of Dental Hygienists)

  • 이병호;김정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7-44
    • /
    • 2016
  • 이번 연구는 2014년 8월 1일부터 2014년 8월 20일까지 부산, 울산, 경남지역 소재 12개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번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내부마케팅과 고객지향성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치과마케팅의 고객만족을 위한 차별화된 경영전략 수립의 일환으로 내부마케팅을 제안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치과위생사의 내부마케팅 하부요인별 인식도는 교육훈련이 3.88로 가장 높았으며, 권한위임 3.35, 내부커뮤니케이션 3.10, 경영층 지원 3.05, 보상시스템 2.79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치과위생사의 고객지향성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내부마케팅 하부요인은 교육훈련(r=0.381), 권한위임(r=0.380), 내부커뮤니케이션(r=0.216), 보상시스템(r=0.201), 경영층 지원(r=0.189)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부마케팅의 하부요인 중 교육훈련(${\beta}=0.277$), 권한위임(${\beta}=0.276$)의 순으로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의료 기관의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위해 고객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서비스 마인드를 높여 고객을 만족시키고자 하는 고객지향성 향상의 방안으로, 외부고객뿐만 아니라 내부고객인 직원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내부마케팅이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준 이번 연구 결과가 향후 차별화된 치과 경영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치과위생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Ethical Values and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 정정화;김민아;김효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57-364
    • /
    • 2022
  •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들의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2021년 1월 10일부터 2월 28일까지 서울, 경기 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하여 265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 특성에 따른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에 대한 인식 차이는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고, Scheffe test로 사후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윤리적 가치관에서 윤리적 사고는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치과병원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고, 윤리적 사고와 윤리적 직무행동은 공통적으로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에서의 윤리교육 경험과 졸업 후 윤리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전문 직업성에서 자율성은 나이가 많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에서 윤리교육 경험이 있을 경우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고, 소명의식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근무일수가 적을수록,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에서 윤리교육 경험이 있을 경우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전문조직 준거성과 공공 봉사심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이 연구의 결과로 치과위생사에게 보수교육 등의 정기적인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임상에서 직무수행 시 윤리적 가치관과 전문 직업성을 유지하며 올바른 윤리적 직무판단과 행동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페루 도시 빈민 지역 청소년들의 칫솔질 빈도와 건강위험행동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 Behaviors and Toothbrushing among School-Going Adolescents in Poor Urban Areas of Peru)

  • 김연주;남은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5-322
    • /
    • 2017
  • 본 연구는 2014년 페루 리마 및 까야오 지역 학생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조사 자료를 활용한 단면연구이며, 연구대상은 페루 리마북부 및 까야오 지역 내 일반 국 공립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11~19세의 청소년 959명이었다. 연구의 목적은 페루 도시 빈곤 지역 학생들의 각 건강위험행동과 칫솔질 빈도 간에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페루 리마 및 까야오 지역 청소년들의 12.1% (116명)는 하루 1회 이하로 칫솔질 하였으며, 87.9% (843명)는 하루 2회 이상 칫솔질을 하였다. 하루 칫솔질 빈도의 평균은 2.42회였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보정 한 후에 두 가지의 건강위험행동과 칫솔질 빈도 간에 관련성이 나타났으며, 해당 건강위험행동은 여가시간에 주로 비활동성 여가생활(TV, game, internet)을 하는 학생과 외출 후 비누를 이용하여 손을 씻지 않는 학생(never/rarely)이 하루 칫솔질을 1회 이하로 할 OR이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페루 리마 및 까야오 지역 연구대상 청소년들의 하루 칫솔질 평균치는 WHO에서 권장하는 최소 수준인 2회 정도로 파악되었으며, 건강위험행동(비활동성 여가생활, 외출 후 손씻지 않기)을 하는 학생들은 하루 칫솔질 빈도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페루 도시 빈곤 지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ODA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신체활동 프로그램과 개인위생 프로그램에 구강보건교육을 통합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구강보건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 of High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 김영경;정재연;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5-50
    • /
    • 2003
  • 초등학교 고학년의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학교계속구강관리가 실시되고 있는 초등학교 4학년과 5학년 및 6학년 학생 644명을 대상으로 잇솔질 시기 및 횟수, 우식성 식품 섭취빈도, 구강진료기관 방문 경험 및 방문 목적, 예방처치 경험, 학교불소용액 양치사업에 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잇솔질 시기는 전반적으로 식사 전보다 식사 후에 잇솔질 하는 학생이 많았다. 하루 2회 이상 잇솔질을 하는 응답자는 79.5%이었고, 학년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여학생과 남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0.01). 2. 우식성 식품 섭취빈도는 전체 응답자의 30.4%가 매일 섭취하였고,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여학생과 남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0.01). 3. 구강검사 실시 후 2달간의 구강진료기관 방문경험자율은 40.1%이었고,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여학생과 남학생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구강진료기관 방문목적은 치료목적 방문이 27.2% 이었고, 검진을 받기 위한 방문은 10.3% 이었다. 4. 구강진료에 대한 공포는 30.7%의 응답자가 너무 무섭다고 응답하였고, 학년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P>0.05),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너무 무섭다고 응답한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5. 치면열구전색 경험자율은 14.4%이었고, 학년간과 남 녀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불소도포경험자율은 20.2%이었고, 학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0.01). 6. 불소용액양치사업 선호자율은 48.1%이었고, 학년간, 남 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불소용액양치사업 계속 실시 희망자율은 46.9%이었고, 학년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불소용액양치사업 선호 이유 중 충치예방이라고 답한 자의 율은 43.92%이었고, 불소용액양치사업이 싫은 이유는 귀찮아서가 41.3%로 가장 높았다. 7. 2000년의 연구결과와 비교하면 잇솔질 횟수, 불소용액양치사업의 선호와 불소용액양치사업 계속실시 여부에서 높게 나타나 교육의 효과가 있다고 사료되었으며, 구강진료기관 방문 경험률과 예방처치 경험률은 낮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