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clinic worker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9초

울산 일부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Job Stress Factors of Dental Hygienists)

  • 김지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37-345
    • /
    • 2008
  • 본 연구는 울산지역 일부 치과의료 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파악하여 스트레스 주원인과 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168명 중 연령은 25세 이하가 66.1%였으며 결혼상태는 미혼이 87.5%였다. 업무영역에서 진료 담당이 86.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현 직장 근무경력별로는 1~4년 미만이 47.6%로 가장 높았다. 월평균 보수는 100~150만원 미만이 63.7%, 1일 평균 근무 시간은 8시간 이하가 57.1%였으며 주 5일 근무를 실시하는 경우가 58.3%, 야간 진료를 실시하는 경우가 78.0%였다. 2.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물리환경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25세 이하가 26세 이상보다 높았으며(p < 0.05), 월평균 보수가 적을수록(p < 0.05), 하루 평균근무시간이 길수록(p < 0.01) 높았다. 직무요구로 인한 스트레스는 야간 진료를 실시하는 종사자(p < 0.05)와 주5일 근무를 실하는 종사자(p < 0.05)가 높았다. 직무자율로 인한 스트레스는 현 직장 근무경력이 많을수록(p < 0.01), 월평균 보수가 많을수록 높았고(p < 0.01), 직무 불안정에 인한 스트레스는 미혼이 기혼보다 높았다(p < 0.05). 조직체계 스트레스는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많을수록(p < 0.05) 높았고, 직장 문화로 인한 스트레스는 25세 이하가 (p < 0.01), 월평균 보수가 많을수록(p < 0.05), 주 5일 근무를 실시하는 종사자가 높았다(p < 0.05).

  • PDF

제조업 근로자의 스켈링에 대한 행태와 관련요인 (Scaling Behavior of Manufacturing Industry Worker)

  • 정은경;남용옥;진석호;서남득;김정숙;남철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6
    • /
    • 2005
  • The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scaling behavior about dental heal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0 workers selected in Daegu. This survey was carried out during 2003. 7. 15 - 2003. 7. 31.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Distribution of respondent's class was male of $53.5\%, female of $46.2\%, and 30's age of $36.2\%, 20's age of $28.2\%. Concerning about dental health was appeared that female was higher rate than male. also, difference was related in their age, working department and residence. 2. In case of no experience to scaling for past 3 years was appeared that male of $67.6\% was higher rate than female of $56.8\%. The frequency of treat scaling was appeared that $46.2\% of the subjects was treated scaling per year. 3. The root cause of no treatment by regular was appeared that 'high expensive' was most high with $38.0\% and 2nd, 'didn't felt importance' was $24.2\%, 3rd 'lack of spare time' was $20.7\%, the last ranking 'only be frightened' was $14.3\%. 4. Method of learning knowledge about scaling was appeared that male and female were similar with their method of it. knowledge level of scaling was learned by internet were higher in worker of 20's age than any other age. also, other difference was related in school career and residence. Opinion about necessity of scaling answer which need or surely need were similar to male of $67.1\% and female of $72.6\%. 5. As for knowledge of scaling was appeared that male of $94.3\% and female of $87.1\% had corrective knowledge. The right answ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s, school career, working department and residence.

치과병원의 소음특성과 적절한 대화거리 (The Noise Characteristics and Appropriate Talk Distance in Dental Clinic)

  • 지동하;최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516-2523
    • /
    • 2013
  • 본 연구는 치과병원에서 진료 시 가동되는 소음이 환자들에게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어 진료 시(스케일링, 보존치료, 보철치료, 임플란트)에 소음도와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여 NR곡선과 NRN을 이용한 실내소음 수준 및 PSIL을 이용하여 환자와 근무자 사이의 대화거리 분석을 실시하였다. 진료 시 소음레벨dB(A)의 범위는 69.3~81.5dB(A)이고 고주파성분(4K(Hz)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NR곡선에 의한 평가 결과 작업장의 소음기준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이었으며 PSIL에 의한 환자와 치과병원근무자와의 대화가 이루어지는 거리는 1m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의 소음공포증을 해소시키고 환자와 근무자 사이의 만족스러운 대화가 가능한 여건 조성을 위하여 저소음 저진동 장비의 선택, ANC기술개발, 마스킹 효과, 흡음재 부착, 별도의 대화공간 확보 등의 다양한 대책을 수립하므로 치과의료 서비스 질 및 치과병원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치과위생사의 근무기관 유형별 유해인자 노출과 물질안전보건자료 인식 연구 (Dental Hygienist's Harmful Factor Exposure and Recognition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 of Workplace Type)

  • 김해경;김지영;오나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40-549
    • /
    • 2018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38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하여 근무유형별 치과재료에 대한 유해전달 실태를 파악하기위해 병원 유형별 유해인자 노출시간 및 근무환경특성 차이를 비교하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인지정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병원 유형별 유해인자 노출시간을 비교한 결과 병원의 경우 화학물질에서 발생하는 분진유발에 노출되는 시간이 가장 길었고, 레진충전, 소독제 접촉 순으로 나타났다. 치과재료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항에 대하여 '인지한다'고 답한 대상자는 병원근로자는 37명(29.4%), 14명(12.5%)로 나타났으며(p<0.001), 치과재료를 사용하기 전 MSDS를 읽어본 경험이 있는 근로자는 병원근로자는 18명(14.3%), 의원근로자는 6명(5.4%)으로 조사되었다. 사용하는 치과재료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비치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병원근로자의 경우 의원근로자에 비해 2.39배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비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병원 유형별 특성에 맞게 화학물질의 건강상의 유해성에 대해 인지하고 안전보건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MSDS 정보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립으로 근무환경이 개선되어져야 할 것이며, 치과재료의 제품에 사용설명서 및 MSDS 화학물질 정보제공 관리가 강화하여 전략적 접근 및 근로자의 알 권리를 보장할 수 있는 제도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울산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지식과 행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Industrial Workers at Ulsan Province)

  • 김연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23
    • /
    • 2009
  • 본 연구는 울산 현대 중공업 근로자 244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구강건강 수준 및 인식도와 행태를 분석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근로자의 예방목적 치과방문은 20대 보다 50대가 높았고(p < .001), 구강위생용품 사용은 중학교 졸업군보다 대학교 졸업 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5). 2. 구강보건지식은 중학교 졸업 군보다 고등학교 졸업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 .05). 1일 잇솔질 횟수는 3-5회가 높았고,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p < .01), 교육정도별로는 중학교 졸업보다 대학교 졸업이 높게 나타났다(p < .001). 3. 구강건강상태에서 연령별은 50대 군보다 20대 30대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1). 교육정도별은 중학교 졸업 군보다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 졸업 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 .001). 구강건강 감수성에 대한 자기평가는 중학교 졸업 군보다 대학교 졸업 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5). 4. 치과방문, 발치 수, 잇솔질 횟수 간의 상관관계는 치과방문과 구강보건지식 간에 가장 큰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r = .233, p = .001). 구강보건지식과 잇솔질 횟수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 = .161, p = .05). 또한 잇솔질 횟수와 발치 간의 관계는 음의 관계를 보였다(r = -.145, p = .05).

  • PDF

서울시 소재 일부 치과기공소의 개업연한, 규모, 임금제도 및 임금수준과 생산성과의 관계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Term of Establishment, the Scale, the Payment System and the Salary, and Productivity of Dental Laboratories in Seoul)

  • 김은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3-94
    • /
    • 1996
  • This study was aimed for evaluating the validity of relative-productivity index on the basis of working hour(RPHW index) designed by author as new productivity index and drawing up a plan of bettering productivity to cope with financial difficulty of dental laboratories. Fortyeight dental laboratories extracted by cluster-sampling method form all the dental laboratories in Seoul were subjected for this study. And in each of them, the term of establishment which was divied into three group as short-term, mid-term and long-term group, the scale of dental laboratory which as divided into two group by number of dental technician as small-scale group and large-scale group, the salary system which was composed of salary criteria, pay according to ablility criteria and collectiveagree, the salary level, simple labor productivity index(SLP index), relative-productivity index on the basis of worker number(ROWN) and relative-productivity index on the basis of working hour(RPWH index) were surveyed through the self-administractive questionaires. The results as follows : Most of dental laboratories(93.6%) were managed by non-professional managers. The establishment rate per year of dental laboratory was the increase. The mean number of employees of dental laboratories was $7.00{\pm}3.90$ person. The ratio of smallscale group(under the 5 employees) was 42.6% and as the term of establishment was shorter, the ratio of small-scale group was higher. The mean establishment area of dental laboratories was $24.49{\pm}10.97$ unit and the mean establishment area per head of dental laboratories was $4.05{\pm}3.90$ unit. The estabilshment area and area per head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ted with the term of establishment, but as the term of establishment was shorter, the estabkishment area per head was slightly wider. The establishment area per head in small-scale group was significantly wider than large-scale group(over the 6 emplayees) The salary criteria(54.4%), pay according to ability(79.2)m ability criteria(77.1%) and collectiveagree(79.2%) as salary systems were used in the most of all dnetal laboratoies. The all salary system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term of establishment and the scale of dental laboratories. The monthly mean salary level of dental laboratoies was $125.64{\pm}31.06$ milion won. The monthly salary level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term of establishment and the scale of dental laboratores. But the monthly salary level in the short-term group and the small-scale group were slightly lower than others. The SLP index, the RPWN index and the RPWH index of dental laboratories were $132.16{\pm}48.41$, $382.41{\pm}128.76$ and $76.06{\pm}25.11$, respectively. The SLP, the RPWN and the RPWH of dental laboratorie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term SLP, the RPWN and the RPWH of dental laboratori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rea of dental laboratory and the salary level. Except for only the association salary criteria among salary system with RPWH of dental laboratories, all other salary system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SLP, the RPWN and the RPWH of dental laboratories.

  • PDF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노인 구강건강관리 수행도 관련요인 (Performance of elderly oral health management and related factors among care workers in long-term-care hospitals)

  • 최세은;한미아;박종;류소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91-803
    • /
    • 2017
  • Objectives: Oral health managemen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elderly oral health management among some care workers in long-term-care hospital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74 care workers in 10 long-term-care hospitals. Data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 workers, attitude, recognition and knowledge of elderly health, performance of elderly oral health management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a SPSS version 23.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performance score of oral health management was $4.34{\pm}0.64$ on the 5-point Likert scale. The subjects who exercised more than 2 times a mont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ir performance of elderly oral health management compared to subjects who did not exercise (${\beta}=0.232$, p=0.035). And, the subjects who cared 10-19 pers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erformance of elderly oral health management compared to subjects who cared more than 20 elderly (${\beta}=0.246$, p=0.020). The oral health behavior of care worker (${\beta}=0.271$, p<0.001) and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care (${\beta}=0.055$, p=0.008)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elderly oral health management. Conclusions: The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o improve knowledge of care workers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textbook for training care worker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long term education program should be reinforc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for elderly oral health care. If care workers can care a proper number of old persons, they will give oral health care to them.

일부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usage status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in service workers behavior)

  • 김명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7-52
    • /
    • 2008
  • 본 연구는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시 S생명사와 L백화점에 종사하는 서비스군 200명과 사무직에 종사하는 비서비스군 200명을 대상으로 칫솔질 습관,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행태 및 만족도 등에 관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서비스군의 양치 횟수는 하루 3~4회(53.4%)가, 양치방법은 위 아래로 닦는 방법(50.8%)이 가장 많았으며, 양치 시기는 식후 5분 후(45.0%)가 하는 경우가, 칫솔 교환 시기는 모양을 보고 교환하는 경우(56.6%)가 가장 많았다. 2. 서비스군은 비서비스군에 비해 구강위생보조용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그 사용 빈도는 이쑤시개(30.9%), 구강양치용액(29.9%), 치실(13.5%), 혀닦이(10.1%) 순이었으며 그 외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 빈도는 매우 낮았다. 3. 각 구강위생보조용품 별로 두 군 간의 사용현황을 비교해 보면, 서비스군은 치실(66.1%),의 사용이 비서비스군(33.9%)에 비해 더 많았고, 혀닦이(64.4%), 역시 비서비스군(33.3%)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구강양치용액에서도 서비스군이 (64.43%) 비서비스군에(35.6%) 비해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쑤시개에 있어서는 비서비스군(54.6%)이 서비스군(45.4%)에 비해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동기는 치과에서 권유하여 사용하는 경우(53.6%)가 가장 많았고,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사용하기 불편하거나(45.4%), 사용하는 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21.60%)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5.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인지도에 따른 사용률을 조사한 결과 이쑤시개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강위생보조용품에서 서비스군이 비서비스군보다 높은 이용률을 보였으며 특히 구강양치용액(54.8%), 혀닦이(43.3%) 치실(35.8%) 등에서 다소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6. 서비스군(54.9%)은 비서비스군(45.1%)에 비해 정기검진을 더 많이 받고 있었으며, 정기검진의 기간에 있어서 1년마다 시행하는 경우가(43.5%) 가장 많았다. 조사결과 서비스 종사자들은 비서비스종사자들에 비해 구강위생활동을 더 활발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 또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일부 구강위생보조용품만을 사용하고 그 외의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함에 불편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지속적인 적극적인 홍보가 매우 필요하고, 다양한 교육매체를 이용하여 구강상태에 따라 다양한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아울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강위생보조용품을 개발하고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판매처를 증가시키고 보급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 서비스 종사자들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 종사자들을 모두 대표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구강위생보조용품 사용률은 평가하였으나 사용능력은 평가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즉, 구강위생용품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사용률 못지않게 중요하나 이를 조사하지 못했다. 셋째, 인지도에 따른 사용현황은 조사하였으나 구강건강 상태와 관련하여 사용실태를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보다 더 실용적인 자료가 되기 위해, 앞선 한계를 보완한 조사도구가 개발되어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